“글 쓰는 사람은 무슨 책을 읽을까” 독서록으로 엿보는 작가의 삶은

전혼잎 2024. 1. 28. 1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람들은 대체로 이야기를 좋아한다. 세상은 이야기로 이뤄져 있고 이야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은 없으며 이야기는 인간을 이루는 일부이자 전부이다. 우리는 평생 이야기를 찾고 탐한다."

근대 소설가 이태준의 '무서록'을 시작으로 39권의 고전을 소개하는 '듣는 사람'은 '작가들이 사랑하는 산문가'로 불리는 박 시인이 읽은 책을 통해 그의 삶을 들여다보게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인 박연준·김언, 작가 은유
작가의 독서록 잇따라 출간
박연준 작가. 본인 제공
“사람들은 대체로 이야기를 좋아한다. 세상은 이야기로 이뤄져 있고 이야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은 없으며 이야기는 인간을 이루는 일부이자 전부이다. 우리는 평생 이야기를 찾고 탐한다.”

시인 박연준이 소개하는 중국의 사상가 ‘장자’의 한 대목이다. 그냥 장자가 아니라 ‘시인 박연준이 소개하는’ 장자라고 하면 어쩐지 다르게 읽힌다. 왜일까. 같은 이야기를 독자들은 저마다 다르게 해석한다. 세계의 80억 인구가 동시에 같은 책 한 권을 읽는다면 판본은 80억 개로 나뉠 테다. 누군가의 ‘독서록’이 마음을 끄는 이유다. 직업으로 글을 쓰는 이들의 기록과 사유라면 더욱 그렇다.

박연준·김언 시인과 은유 작가가 새해 들어 독서록과 함께 찾아왔다. 박 시인은 '듣는 사람'을, 김 시인은 '오래된 책 읽기'를, 은유 작가는 '해방의 밤'을 냈다.

근대 소설가 이태준의 ‘무서록’을 시작으로 39권의 고전을 소개하는 ‘듣는 사람’은 '작가들이 사랑하는 산문가'로 불리는 박 시인이 읽은 책을 통해 그의 삶을 들여다보게 한다. ‘호밀밭의 파수꾼’의 홀든 콜필드 추종자였던 천방지축 20대 시절의 그와 일기 첫 줄에 매번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를 아시오”라는 이상의 소설 ‘날개’의 첫 문장을 써내려 가던 10대 때의 그가 책 속에 있다.

듣는 사람·박연준 지음·난다 발행·260쪽·1만8,000원

주로 2000년대에 출간된 28권의 책을 이야기하는 ‘오래된 책 읽기’는 등단 26년 차가 된 김 시인의 독서 산문집이다. “빛을 사랑하는 두더지가 있었습니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하는 동화(‘양 한 마리 양 두 마리’)에서부터 인문, 과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글과 이를 둘러싼 질문을 나눈다. 청소년 노동자, 미등록 이주 아동 등을 만나 타인의 고통에 대한 공감을 꾸준히 글로 써온 은유 작가 역시 ‘해방의 밤’에서 “삶의 질문에 대한 힌트”를 준 책을 공유한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라는 계속되는 고민 앞에서 작가이자 두 아이의 엄마인 그를 이끈 책의 목록과 이야기들이다.

김언 시인이 펴낸 독서록 오래된 책 읽기(왼쪽 사진)와 은유 작가의 해방의 밤. 아침달·창비 제공

글을 쓰는 이들이 ‘독서’라는 주제로 펴낸 책에서 입 모아 이야기하는 건 한 편의 글이 읽는 사람에게 흔적을 남긴다는 것. “어떤 책을 읽든 나는 조금씩 변한다”는 김 시인이나 “어떤 이야기는 읽기 전으로는 결코 돌아갈 수 없게 만든다”는 박 시인. 그리고 “나를 변화시킨 이들의 바통을 이어받아 조금 더 애써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는 은유 작가까지. 어떤 책을 읽었는지는 제쳐두고라도 쓰는 사람이 아닌 ‘읽는 사람’으로 나선 작가의 독서록은 그 자체만으로도 하나의 이야기이다.

전혼잎 기자 hoihoi@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