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을 진짜로 씹어 먹었다…트럼프 질 거라고 큰소리 친 ‘이 남자’ [김기정의 와인클럽]

김기정 전문기자(kim.kijung@mk.co.kr) 2024. 1. 28. 16: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기정의 와인클럽 35- 트럼프 와인(1)
지난 2016년 워싱턴 포스트(WP) 칼럼사진 캡쳐. 트럼프가 질 것이다, 아니면 내가 이 칼럼을 먹겠다고 적혀있다. 워싱턴 포스트 페이스북 화면 캡쳐.
“보나페티(Bon appetit), 잘 먹겠습니다.”

한 남성이 식사를 시작합니다. 음식을 씹는 남성의 얼굴에선 비장한 표정이 읽힙니다. 그는 음식 옆에 있던 화이트 와인을 한 잔 마십니다. “휘발유보다는 낫네요”라고 얼굴을 찡그리며 말합니다. 이 남성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올해 11월 치러지는 미국 대통령선거의 공화당 후보가 될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지금 같은 기세라면 바이든 대통령과의 재대결에서 승리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다시는 꺼내지 않을 것 같았던 ‘트럼프’ 와인도 언제 맛보아야 하나 쳐다보게 되네요.

이번 주와 다음 주 김기정의 와인클럽은 1, 2회로 나누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그의 와인에 관한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신문지로 만든 8코스 요리와 신문지로 내린 커피
미국 워싱턴DC의 유명 레스토랑 셰프인 빅토르 알비수가 워싱턴 포스트 신문지를 잘게 자르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 페이스북 영상 캡쳐
지난 2016년 5월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워싱턴포스트(WP) 본사. 유명 레스토랑 델 캄포(Del Campo)의 오너 셰프인 빅토르 알비수가 신문지를 잘게 자릅니다. 잘려진 신문조각에서 ‘민주당’이라는 단어가 슬쩍 보입니다. 셰프가 음식을 설명합니다.

“첫 번째 요리는 신문지를 이용한 세비체입니다.”

이날 요리는 신문지로 훈연한 와규 스테이크, 젖은 신문지 롤 등 ‘8코스’로 준비됐습니다. 후식은 신문지로 내린 쿠바산 커피가 나왔습니다.

음식을 마주한 남성이 식사의 주재료가 ‘신문지’가 된 상황을 설명합니다. 그는 워싱턴포스트의 칼럼니스트 다나 밀뱅크로 7개월 전 그는 트럼프가 공화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이기지 못할 것이란 내용의 칼럼을 썼습니다.

워싱턴포스트(WP)의 칼럼니스트 다나 밀뱅크(오른쪽)가 자신이 쓴 칼럼이 실린 신문지로 만든 음식과 트럼프 와인을 맛본 뒤 얼굴을 찡그리고 있다. 그는 음식을 먹기 전에 소화제(왼쪽 분홍색 병)를 마셨다고 밝혔다. 워싱턴 포스트 페이스북 화면 캡쳐.
“트럼프는 패배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내가 이 칼럼을 먹겠다(Trump will lose, or I will eat this column)고 약속했고 이를 지키려고 합니다.”

영어로 ‘말을 먹는다’(eat ones’s words)라는 표현은 ‘앞서 한 말을 취소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공화당 대선 후보 경선에서 트럼프가 승리하자 그는 문자 그대로 해석해 자신의 칼럼이 인쇄된 신문지를 요리로 만들어 먹은 겁니다.

밀뱅크는 식사 후 “(신문지 요리를 먹는 것은) 전혀 고통스럽지 않았다”고 밝힙니다. 이어 “(트럼프가 대통령이 된다면) 앞으로 겪을 고통과는 비교도 안 되는 정도”라고 트럼프를 향해 가시 돋친 독설을 날립니다

이날 식사에는 2종류의 트럼프 와인이 준비됐습니다. 미국 버지니아에 위치한 ‘트럼프 와이너리’에서 생산된 와인입니다. 밀뱅크는 트럼프 와인의 맛을 휘발유와 비교하며 혹평을 했지만 트럼프 와인은 버지니아에서 꽤 유명한 와인입니다.

오바마가 저격한 트럼프 와인의 맛은?
트럼프 와인 맛을 비평한 잡지 배니티 페어의 일러스트레이션 캡쳐.
“누가 그 와인을 사본 적이 있나요? 그 와인은 어떤 맛인지 궁금하네요.”

2016년 텍사스주 댈러스의 민주당 모금행사에 참석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웃으며 말을 이어갑니다.

“제 말은...여러분 아시잖아요. 그게 5달러짜리 와인같은 거죠. 그리고는 ‘라벨’을 붙여 50달러에 팝니다. 역대 최고의 와인이라고 말하면서요.”

오바마는 와인 이름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참석자들은 오바마의 농담을 이해하고 웃음을 터뜨립니다.

앞서 공화당의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트럼프와 경쟁하던 미트 롬니가 트럼프의 사업실패를 지적하자 발끈한 트럼프는 자신의 상표 붙은 와인과 스테이크를 연단 양쪽에 산처럼 쌓아 놓고 기자회견을 했습니다. 이를 오바마가 풍자한 겁니다. 트럼프가 5달러짜리 와인에 자신의 이름을 단 라벨을 붙여 50달러에 팔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지난 2016년 공화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선 트럼프가 자신의 와인과 스테이크, 물병을 진열해 놓고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CNN방송 캡쳐
민주당 지지자 ‘불매운동’에 트럼프 지지자 ‘돈쭐 맞짱’....품절사태 빚기도
트럼프 와인에 대한 평가는 어떨까요? 정치 성향만큼이나 의견이 갈립니다.

배니티 페어라는 잡지는 트럼프 와인을 ‘웰치스 포도주스에 알코올을 넣은 것 같다’고 혹평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와인은 한때 버지니아의 대표와인으로 명성을 날렸습니다.

트럼프가 와이너리를 인수하기 전의 일이긴 하지만 이 버지니아 와인은 2010년 빌 클린턴과 힐러리 클린턴 사이의 무남독녀인 첼시 클린턴의 결혼식에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와인은 2019년 한국에도 수입돼 롯데백화점 등에서 판매 됐습니다.

2019년 롯데백화점에서 판매된 트럼프 와인. 롯데백화점
트럼프 와인중에는 스파클링 와인과 비오니에로 만든 화이트 와인 등이 유명합니다. 레드와인으로는 메를로를 중심으로 한 보르도 스타일 와인이 생산됩니다. 지금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아들 에릭 트럼프가 버지니아의 트럼프 와이너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때 민주당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트럼프 와인 ‘불매운동’도 일어났습니다. 하지만 이는 곧 ‘역풍(?)’을 맞습니다. 트럼프 지지자들이 소위 ‘돈쭐 맞짱’을 뜨는 실력행사에 나서면서 트럼프 와인은 품절사태를 빚기도 합니다.

11월 트럼프-바이든 리턴매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공화당 두 번째 대선 경선인 뉴햄프셔 프라이머리(예비선거)에서 승리한 뒤 지지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사진 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아들 에릭 트럼프로 버지니아에 위치한 트럼프 와이너리를 운영하고 있다. AP연합뉴스
공화당 내 경쟁후보들이 줄줄이 사퇴하면서 공화당 대권후보는 트럼프로 굳어지는 모양새입니다. 과거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사건 때문인지 올해는 아직 트럼프가 공화당 후보가 되면 신문을 먹겠다는 칼럼니스트는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 대선에선 스윙 스테이트(swing state)라고 불리는 ‘경합주’의 표심이 당락을 좌우합니다. 지금 상황에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바이든 현 대통령을 제치고 오는 11월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도 가능해 보입니다. 물론 제 예상이 틀려도 저는 신문을 먹지는 않겠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 23일(현지시간) 뉴햄프셔에서 연설하고 있다. 공화당에서 트럼프 대세론이 힘을 받으며 오는 11월 바이든 대통령과의 리턴매치가 예상된다. AP연합뉴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올해 선거에서 이겨 대통령이 되면 2028년 대선에 다시 나와 연임을 할 수 있을까요? 미국은 원래 대통령 임기에 대한 특별한 규정이 없었습니다. 초대 조지 워싱턴 대통령 이후 두 번의 임기를 마치면 더 이상 대통령직에 도전하지 않는 것을 전통으로 이어왔습니다.

하지만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4선을 하면서 임기와 관련한 논란이 일었고 수정헌법 22조를 통해 임기 4년의 대통령직을 최대 2번까지만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술 안 마시는 트럼프, 와이너리는 왜 인수했을까
2017년 한미정상회담 만찬주로 한국 전통주 풍정사계가 선정됐다. 술을 마시지 않는 트럼프 당시 대통령은 술 대신 콜라를 마셨다. 연합뉴스
지난 2017년 한미정상회담 때 문재인 전 대통령은 만찬주로 한국 전통주 풍정사계(楓井四季)의 ‘춘(春)’을 내놓았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당시 와인잔에 콜라를 채워 마셨다고 합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술을 전혀 마시지 않습니다. 화려한 여성편력을 자랑하는 그는 자유분방할 것 같은 이미지가 강합니다. 그러나 드물게 자기 절제를 실천하는 분야가 ‘술’입니다.

트럼프 전기작가 그웬다 블레어는 “트럼프가 사업에 대한 욕망은 크지만 술에 대한 욕망은 없다. 술에 관한 관심도 없다”고 밝힙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이 술을 마시지 않는 이유에 대해 그의 비극적인 가족사를 자주 언급합니다. 트럼프의 형 프레드는 알코올 중독에 시달리다 1981년 43살에 세상을 떠납니다. 프레드는 잘생기고 성격도 좋았지만 항상 취해있었다고 트럼프는 회상합니다. 그런 형을 못마땅하게 여기는 아버지를 보고 자라면서 트럼프는 술을 마시지 않겠다고 결심합니다.

술도 마시지 않고 술에 관해선 관심도 없다는 트럼프가 와이너리를 보유한 이유에 대해 의아해할 수도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정치에 나서기 전 부동산 개발업자였습니다. 와이너리 매입도 부동산 개발 차원에서 이뤄졌습니다.

여기에 1980년대 미국 사교계의 여왕으로 군림한 패트리샤 클루기가 등장합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주 김기정의 와인클럽에서 전하겠습니다.

김기정 매일경제신문 컨슈머전문기자가 와인과 관련해 소비자들이 궁금해하는 내용들을 풀어드립니다. 김 기자는 매일경제신문 유통팀장, 식품팀장을 역임했고 레스토랑 와인 어워즈(RWA), 아시아와인트로피 , 한국와인대상 심사위원으로 활동했습니다. 기자페이지에서 ‘구독’을 누르면 쉽고 빠르게 와인과 관련한 소식을 접할 수 있습니다. 질문은 kim.kijung@mk.co.kr로 해주세요.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