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의 ‘한국 예언’ 현실화 임박…출생아수 8년 만에 반토막 났다

안서진 매경닷컴 기자(seojin@mk.co.kr) 2024. 1. 28. 10: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출생아 수가 8년 연속 빠르게 줄면서 저출생 문제가 다시 한번 수면 위로 떠올랐다.

출생아 수는 지난 2015년 43만8420명에서 2016년 40만6243명으로 3만2000여명 줄어든 것을 시작으로 8년째 급감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해마다 1만~3만명씩 줄면서 8년 전 약 44만명에서 최근에는 23만명도 간당간당한 수준으로 사실상 반토막이 나게 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출생아 수가 8년 연속 빠르게 줄면서 저출생 문제가 다시 한번 수면 위로 떠올랐다.

1970년 100만명에서 2002년 50만명으로 줄어드는 데 30여년 걸렸던 것과 비교하면 ‘반감 주기’도 확연히 짧아진 셈이다.

“한국의 저출산 추세가 지속될 경우 한세대가 지나면서 매번 인구가 반토막 날 것”이라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예언’이 현실화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미국 뉴욕타임스도 지난 연말 “한국이 사라지는가”라는 내용의 칼럼을 실어 충격을 준 바 있다.

2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출생아 수는 21만357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 2022년(24만9186명)과 비교하면 2만명 안팎 감소한 수치다. 실제 출생월과 차이가 있는 ‘주민등록기준 출생등록’도 2022년 25만4628명에서 지난해 23만5039명으로 2만명가량 줄었다.

월별 출생아가 2만명을 밑돌면서 1만7000명선으로 떨어진 데다 통상 연말엔 출생아 수가 꺾이는 계절적 흐름까지 고려하면 연간으로 23만명을 넘기기 힘들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출생아 수는 지난 2015년 43만8420명에서 2016년 40만6243명으로 3만2000여명 줄어든 것을 시작으로 8년째 급감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연간으로는 2017년 35만7771명으로 2016년 대비 4만8472명 줄면서 감소 폭이 가장 컸고 이후로도 ▲2018년 3만949명 ▲2019년 2만4146명 ▲2020년 3만339명 ▲2021년 1만1775명 ▲2022년 1만1376명씩 각각 감소했다.

해마다 1만~3만명씩 줄면서 8년 전 약 44만명에서 최근에는 23만명도 간당간당한 수준으로 사실상 반토막이 나게 됐다.

연간 출생아가 8년 연속으로 감소한 것은 1970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로 처음이다.

출생아수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도 눈에 띄게 짧아졌다.

1970~1971년 100만명을 웃돌았던 출생아 수는 1972~1974년 90만명대를 유지했고 이후로도 1983년까지 70만~80만명선을 오갔다.

이후 1984~1990년 60만명대로 떨어졌다가 1991~1995년 70만명대로 반등하기도 했다.

다시 1996년(69만1226명) 70만명 밑으로 떨어지면서 2000년까지 60만명대를 지켰지만 2001년 약 56만명·2002년 49만7000명으로 하락한 이후로는 50만명선을 회복하지 못했다.

40만명대에서 등락했던 출생아 수는 2015년을 기점으로 8년째 가파른 감소를 이어가면서 20만명선도 위협받는 상황으로 내몰리게 됐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