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만 표시’ 지도 소지한 한국인 한때 억류

이우중 2024. 1. 25. 19: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지품에서 '타이완'이 표시된 지도가 발견됐다는 이유로 중국에 입국하던 한국인이 한때 억류되는 일이 벌어졌다.

지난 24일 인천공항에서 대한항공 여객기 편으로 중국 랴오닝성 선양 타오셴공항에 도착한 70대 한국인 정모씨는 보안 검색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세관원들의 제지를 받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항 세관, 검색대 통과 과정 제지
다이어리에 부착 지도 문제 삼아
한국 총영사관 “경위 파악” 밝혀

소지품에서 ‘타이완’이 표시된 지도가 발견됐다는 이유로 중국에 입국하던 한국인이 한때 억류되는 일이 벌어졌다.

지난 24일 인천공항에서 대한항공 여객기 편으로 중국 랴오닝성 선양 타오셴공항에 도착한 70대 한국인 정모씨는 보안 검색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세관원들의 제지를 받았다. 세관원들은 정씨의 트렁크를 열라고 요구한 뒤 다이어리 속에 부착돼 있던 지도를 문제 삼았다. 가로 30㎝, 세로 20㎝ 크기의 작은 세계지도에 대만이 ‘타이완’으로 별도의 국가처럼 표시돼 있다는 것이었다.
24일 선양을 통해 중국으로 입국한 한국인 정모씨가 소지 중이던 세계 지도. 연합뉴스
세관원들은 “타이완을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별개의 국가인 것처럼, 타이베이는 다른 국가들의 수도와 동일하게 표기했다”며 “중국의 한 개 성(省)인 대만을 독립된 국가로 오인할 수 있어 ‘하나의 중국’ 원칙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조사해 봐야겠다”며 사무실로 데려가 정씨를 억류했다. 세관원들은 지도에 시짱(티베트) 일대 국경 표시도 모호하게 돼 있다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세관원들은 한 시간가량이 지나서야 정씨를 풀어주며 다이어리에서 해당 지도를 뜯어낸 뒤 “귀국할 때 찾아가라”고 말했다.

정씨는 “30년가량 중국에 오가며 사업했지만 이런 경우는 처음”이라며 “중국어를 할 수 있으니 항의라도 했지만 처음 중국 땅을 밟는 외국인이라면 얼마나 황당하고 두렵겠냐”고 말했다.

대만을 통일해야 할 자국 영토로 보는 중국은 대만을 독립된 국가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작된 지도의 유통이나 통관을 규제하고 있지만 이를 빌미 삼아 외국인을 억류한 것은 과도한 조치라는 지적이 나온다.

선양 주재 한국 총영사관은 “경위를 파악 중이며 세관 당국의 조치가 과도한 것으로 확인되면 재발 방지를 강력히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 입국 때 논란의 소지가 있는 지도를 휴대하는 것에 대해 주의를 당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3년간 ‘제로 코로나’로 틀어막은 중국은 지난해 1월 뒤늦게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며 봉쇄를 해제했지만 서방과의 갈등 고조와 제로 코로나 시기 부정적인 이미지가 겹치며 중국을 찾는 외국인이 급감했다. 지난해 상반기 중국 여행사들이 받은 외국인 관광객은 47만800명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상반기와 비교하면 5.5% 수준에 불과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지자 중국은 외국인 유치를 위해 지난해 12월 6개국에 비자 면제 혜택을 줬고 태국과 싱가포르, 스위스에 대해서도 무비자 입국을 허용할 방침이다.

또 미국인 비자 발급 절차 간소화, 한국 등 12개 국가에 대한 비자 수수료 25% 감면, 외국인 도착비자 발급 조건 완화에도 나섰다. 하지만 정씨 사례 같은 일들이 반복된다면 중국을 찾는 외국인의 발길은 끊길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베이징=이우중 특파원 lol@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