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 난립... 하남시 선거구, 전략공천설 경계 역력 [4·10 총선]

김동수 기자 2024. 1. 25. 16:47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남시 전경. 하남시 제공

 

분구 예정지역인 하남시 선거구가 후보난립에다 전략공천설로 일찌감치 각 예비후보 진영마다 셈법 찾기에 골몰하는 등 경계하는 눈초리가 역력하다.

25일 하남지역정가에 따르면 이날 현재 예비후보 등록을 마친 여·야 출마자는 더불어민주당 6명, 국민의힘 6명, 진보당 1명, 자유통일당 1명 등 총 14명에 달하고 있다. 여기에다 잠재 후보군으로 알려진 Y전 경기도의원, K교수, K전 서울시 정무부시장 등이 조만간 출마를 공식화 할 것으로 보여 22대 총선 여야 후보군이 무려 20여명 가까울 것으로 점쳐진다.

이런데는 인구 33만여명에 달한 하남시의 경우 선거구 분구 조건을 충족, 사실상 분구 지역으로 분류되면서 조만간 선거구가 갑, 을선거구로 획정될 공산이 크게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자 지역 정가에서는 2개 선거구 중 여·야별로 최소한 1곳씩 전략공천을 예단하는 소문이 나돌면서 일찌감치 출마를 다져온 각 후보 캠프마다 경계의 눈초리가 매섭다.

민주당의 경우 최근 현역 최종윤 의원의 불출마 선언에 따라 전략공천 지역으로 분류되면서 1곳은 전략으로 후보 선정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국민의힘은 공천관리위원회가 단수 및 우선 추천 지역과 경선지역 구분에 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가이드를 확정해 발표하는 방법으로 시스템 공천에 무게를 뒀다는 점에서 하남시 선거구 또한 같은 원칙이 적용될 경우, 갑·을 선거구 모두 경선 원칙이 유력하지 않느냐는 분석이다.

하남시 국민의힘 관계자는 “원도심 선거구에서는 앞으로 후보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등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상당부문 예민한 선거구다”면서 “후보자 공천을 위한 경선 전에 현 비례대표 전략공천 루머는 당의 시스템 공천원칙,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이 지향하는 사천 배제원칙에 반하는 것으로 향후 공천관리위원회의 향후 판단이 주목된다”고 말했다.

김동수 기자 dskim@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