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만에 풀체인지 E-클래스...벤츠 “BMW, 딱 기다려!”

2024. 1. 24. 11: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벤츠 브랜드 심장 ‘확실한 존재감’
BMW, 5시리즈 대대적 할인 맞불
업계 “올해 수입차 1위 진검승부”
벤츠 신형 E-클래스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BMW와 메르세데스-벤츠가 메인 라인업으로 꼽히는 중형 세단 시장에서 진검승부를 펼친다.

지난해 BMW가 이례적으로 신차(신형 5시리즈) 출시와 동시에 대대적인 할인 프로모션에 나서며 ‘수입차 1위’ 굳히기에 나선 가운데 벤츠가 8년 만에 11세대 풀체인지 E-클래스를 출시, 한치의 양보없는 경쟁을 예고했다.

24일 수입차 업계에 따르면 벤츠는 지난 1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11세대 신형 E-클래스의 론칭행사를 가졌다.

E-클래스는 ‘벤츠 브랜드의 심장’이라고 불리는 모델이다. 특히, 2016년 국내에 출시된 10세대 모델은 수입차 단일 모델 누적 20만대 판매를 돌파하며, 8년 연속 국내 수입차 베스트셀링 1위 기록 등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

지난해 역시 E-클래스의 존재감은 뚜렷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차 모델별 누적 판매량 상위 톱5 명단에 E-클래스는 E 250(1만2326대), E 350 4MATIC(5783대) 등 파워트레인별 2개 모델이 각각 1위, 4위에 올랐다.

새 모델의 흥행은 BMW와 매년 엎치락 뒤치락하는 판매량 1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벤츠는 지난해 국내 시장에서 7만6697대를 판매, BMW(7만7395대)에 단 698대 차이로 1위를 내줬다. 점유율 수치로 비교하면, 양사 간 차이는 단 0.26%p(BMW 28.56%, 벤츠 28.30%)다.

이번 신형 E-클래스 론칭행사에서 지난해 9월 벤츠코리아 수장이 된 마티아스 바이틀 대표이사가 국내 취재진 앞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것 역시 벤츠에서 신차 흥행에 거는 기대가 얼마나 큰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바이틀 벤츠코리아 대표이사 사장은 “더 뉴 E-클래스는 고유의 헤리티지와 기술력 및 안전성에 더해 수준 높은 디지털화 및 개인화를 구현해 다시 한번 ‘가장 지능적인 비즈니스 세단’의 명성을 공고히 할 모델”이라며 “이번 11세대 E-클래스는 지난 8년간 10세대 E-클래스가 쌓아온 성공의 역사를 새롭게 이어갈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벤츠가 풀체인지 E-클래스로 공세를 편 가운데 BMW는 한발 앞서 출시한 신형 5시리즈에 대한 대대적인 할인 프로모션을 앞세워 방어전에 나섰다. 업계에 따르면 딜러사에 따라 최대 신형 5시리즈를 적게는 400만원에서 많게는 850만원을 할인 중이다.

연식변경,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풀체인지(완전변경)를 앞둔 모델이 아닌 볼륨모델의 풀체인지 모델 출시 직후 할인에 나서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업계에서는 시장에서 직접 경쟁을 벌이는 신형 E-클래스의 ‘신차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신형 E-클래스와 5시리즈 간 경쟁 외에도 다양한 라인업에서 맞대결도 예상된다. 벤츠는 신형 E-클래스 출시를 시작으로 ▷CLE 쿠페 ▷CLE 카브리올레 ▷메르세데스-마이바흐 EQS SUV ▷전기 구동 G클래스 등 5개의 완전변경 및 신차와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EQA ▷EQB ▷G클래스 등 4개의 부분변경 모델 등 총 9개의 새로운 차량을 연내 선보일 계획이다.

BMW 역시 올해 2분기 쿠페형 SUV X2 풀체인지 모델 출시를 기점으로 신형 X2에 기반한 전기차 iX2, X3 풀체인지 모델 등 다양한 신차 출시를 예고하고 있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BMW와 벤츠는 올해도 지난해 못지 않은 치열한 1위 경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양사 모두 공격적인 신차 출시 계획을 밝히고 있어 중형 세단을 비롯한 승용부문은 물론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전기차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넓히기 위한 마케팅 경쟁도 치열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동화 전환에 공을 들이고 있는 벤츠와 BMW는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경쟁적으로 충전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다.

BMW는 올해 국내 시장에 1000기 이상의 전기차 충전기를 확보하는 ‘차징 넥스트’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미 지난해까지 1100기 이상의 전기차 충전기를 보급한 BMW는 연내 총 2100기 규모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갖추겠다는 구상이다. 새로 설치하는 충전기는 공공에 개방해 전기차 운전자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벤츠는 연내 고출력 충전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대대적인 투자를 통해 현재 독일과 미국, 중국 등 일부 국가에서만 운영하는 ‘벤츠 충전 허브’를 국내에도 설치할 예정이다. 2025년까지 25개의 고출력 충전 네트워크를 구축, 이를 통해 약 150개의 충전시설을 도입하겠다는 구상이다.

충전 허브의 충전소는 지역에 따라 최대 400㎾급 급속 충전이 가능하며, 지능형 충전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서재근 기자

likehyo85@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