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때부터 웃지도 울지도 못한다"..눈도 못감는다는 '뫼비우스 증후군' 뭐길래 [헬스톡]

문영진 2024. 1. 24. 06: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브라질의 한 여성이 웃지도 울지도 못하는 희귀병에 걸렸다는 사연이 공개됐다.

뫼비우스 증후군은 마비로 인해 눈을 좌우로 움직이거나 표정을 짓지 못하는 병이다.

한편, 파울라가 앓고 있는 뫼비우스 증후군은 신경 발육 이상으로 태어날 때부터 얼굴 근육이 마비되는 선천성 질환이다.

뫼비우스 증후군 환자는 가면을 쓴 듯한 표정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희귀병으로 웃지도 울지도 못하는 '파울라 파비바'. 사진=뉴욕포스트, 코메디닷컴

[파이낸셜뉴스] 브라질의 한 여성이 웃지도 울지도 못하는 희귀병에 걸렸다는 사연이 공개됐다. 국내에서도 약 3500명의 환자에게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2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브라질 홀란디아에 사는 파울라 파이바(26)는 얼굴 근육을 사용하지 못하는 희귀병 ‘뫼비우스 증후군’을 앓고 있다.

그는 “얼굴에 모든 근육이 마비돼 움직이지 않는다”며 “나는 웃을수도, 입을 다물 수도, 눈을 감을 수도 없어 어떤 감정도 보여줄 수 없다”고 밝혔다.

태어날 때부터 무표정이었던 그는 모유를 입으로 먹기조차 어려워 영양공급 튜브를 이용해야 했다. 3개월 동안 수많은 검사를 통해 파울라는 뫼비우스 증후군으로 진단받았다. 뫼비우스 증후군은 마비로 인해 눈을 좌우로 움직이거나 표정을 짓지 못하는 병이다.

현재 파울라는 인플루언서의 꿈을 갖고 콘텐츠 제작자로 활동 중이다. 2020년부터 온라인에 자신의 얼굴이 타인과 어떻게 다른지 등에 대한 영상을 올렸다.

한편, 파울라가 앓고 있는 뫼비우스 증후군은 신경 발육 이상으로 태어날 때부터 얼굴 근육이 마비되는 선천성 질환이다. 안구의 움직임을 관장하는 운동신경인 '외전신경'과 표정을 담당하는 근육을 움직이는 안면신경이 없거나 완전히 발달하지 못해 발생한다.

뫼비우스 증후군 환자는 가면을 쓴 듯한 표정이다. 눈꺼풀, 혀, 턱을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해 미소를 짓거나 얼굴을 찡그리기 어렵고 부자연스럽다. 눈을 깜빡이기도 힘들어 눈물의 분비가 줄어 쉽게 건조해지는 등 안구 질환에 취약하다. 눈 근육이 마비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시의 위험도 있다. 혀의 기능이 정상적이지 않아 치열이 무너져 입 안 구조가 변형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2006년까지 약 300명, 2015년 약 3500명의 환자에게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희귀한 병이지만 뫼비우스 증후군 및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한 의료진들의 노력도 한창이다. 의학전문지 코메디닷컴에 따르면 가천대 길병원 치과교정과 문철현 교수팀은 2세에 뫼비우스 증후군을 진단받았던 남아를 약 16년 동안 지속적으로 치료하고 있다.

11세 당시와 현재의 테일라 클레멘트. 출처=테일라 클레멘트 인스타그램, 허프포스트코리아

한편, 2022년에는 인플루언서이자 패럴림픽 수영 선수인 클레멘트 테일라도 해당 질병을 앓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뉴질랜드 출생의 클레멘트는 생후 8개월 당시 안면신경이 발달하지 않아 눈을 양 옆으로 움직이거나 눈썹을 치켜올리거나 미소를 지을 수 없다는 ‘뫼비우스 증후군’ 진단을 받았다.
#뫼비우스증후군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