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관마저 치솟는 ‘밥값’… 배고픈 어르신들 ‘한숨’ [현장, 그곳&]

오민주 기자 2024. 1. 22. 16:53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루에만 수백명 찾아 ‘점심 한 끼’ 식사
주머니 사정 어려워 1천원 인상도 큰 부담
전문가 “고물가 직격탄, 지자체 지원 절실”
지자체 “운영비 추가 지원 현재는 어려워”
22일 오전 10시30분께 수원특례시 팔달구의 한 노인복지관. 어르신들이 점심식사를 하기 위해 식권을 발급하고 있다. 오민주기자

 

“수입이 없는 나 같은 노인들은 매일 나가는 몇천원도 큰 부담이에요.”

22일 오전 10시30분께 수원특례시 팔달구의 한 노인복지관. 아침 기온이 전날보다 큰 폭으로 떨어져 눈발이 휘날리는 날씨에도 목도리를 칭칭 둘러매고, 외투를 껴입은 어르신들이 종종걸음으로 노인 복지관에 모였다. 식사 시간은 11시부터 시작되지만, 무인 식권 발매기 앞에는 식권을 발급하려는 어르신들로 북적였다. 식권이 발급된 번호를 보니 이미 80번 대. 이곳에는 하루 평균 250여 명의 어르신들이 점심을 먹으러 온다고 한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이곳의 식당 점심 식권 가격이 3천원에서 4천원으로 인상되면서 어르신들 사이에서 부담이 크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박연희 할머니(77)는 “넉넉하지 않은 형편에 점심 한 끼라도 때우기 위해서 이곳을 자주 찾는다”며 “우리같이 어려운 노인들은 4천원도 부담이 크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오산시의 한 노인복지관도 지난해부터 점심 식사 가격이 1천원 올라 4천원이 됐다. 주로 이곳을 자주 찾는 70~80대 고령의 어르신들은 식당 점심 가격에 대해 부담된다고 입을 모았다. 박호상 할아버지(80대)는 “집에서 혼자 챙겨 먹기 힘들어 복지관에서 매일 점심을 먹었는데, 점심 식사 가격이 오르면서 오는 횟수를 줄였다”고 푸념했다.

가파른 물가 상승으로 노인복지관의 밥값이 오르면서 어르신들이 한 끼를 챙기는 일은 더 고단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경기도 등에 따르면 각 지자체는 사회복지재단 등에 위탁해 총 67곳의 노인복지관을 운영하고 있다. 만 60세 이상 어르신은 평일 점심시간에 복지관 내 식당 이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부 복지관이 식자재값 인상 등으로 인해 밥값을 올리면서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않은 어르신들에 대한 지자체의 관심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대해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물가가 상승하면서 전체적인 운영비가 올라가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며 “노인복지관당 운영비가 정액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추가 지원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박승희 성균관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소득이 없는 어르신들에게는 1천원이 늘어나는 것은 큰 부담”이라며 “복지관은 어르신들의 사회적 활동을 촉진하는 효과도 있는 만큼 지자체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조언했다.

오민주 기자 democracy555@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