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알 낳던 재건축 어쩌다 이렇게 됐니” 경매 낙찰가율 뚝뚝 [부동산360]

2024. 1. 21. 13: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16일 서울북부지법 경매1계.

21일 경매 정보업체인 지지옥션에 따르면 정부가 규제완화 대책을 내놓은 이후인 11일부터 일주일간 서울 경매시장에 준공된 지 30년 이상(1993년 이전 준공)인 아파트가 5건 낙찰됐는데, 평균 낙찰가율은 75.4%에 머물렀다.

같은 기간 준공된 지 30년 이상인 경기도 아파트가 법원 경매시장에서 12건 낙찰됐는데, 평균 낙찰가율은 82%를 기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안전진단 완화 수혜지역 하락세 여전
경매시장에선 평균 낙찰가율도 못미쳐

[헤럴드경제=박일한 선임기자] 지난 16일 서울북부지법 경매1계. 1992년 준공된 노원구 월계동 월계2단지 39㎡(이하 전용면적)가 경매에 나왔다. 감정가 4억8000만원인 이 아파트는 이미 3차례 유찰돼 2억4576만원을 최저가로 경매를 진행했다. 응찰자는 11명이나 몰렸다. 응찰자가 제법 많았지만 낙찰가는 3억520만원을 기록했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64%에 머물렀다.

정부가 재건축을 안전진단 없이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등 ‘1.10부동산 대책’을 내놓았지만, 수혜 아파트 인기가 시큰둥하다.

21일 경매 정보업체인 지지옥션에 따르면 정부가 규제완화 대책을 내놓은 이후인 11일부터 일주일간 서울 경매시장에 준공된 지 30년 이상(1993년 이전 준공)인 아파트가 5건 낙찰됐는데, 평균 낙찰가율은 75.4%에 머물렀다. 최근(2023년12월) 서울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80.1%) 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경기도와 인천도 마찬가지다. 같은 기간 준공된 지 30년 이상인 경기도 아파트가 법원 경매시장에서 12건 낙찰됐는데, 평균 낙찰가율은 82%를 기록했다. 지난달 경기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84.3%) 보다도 낮다. 인천의 경우는 해당 아파트가 2건만 낙찰됐는데 평균 낙찰가율이 63%였다. 지난달 인천 평균 낙찰가율은 80.6%였다.

일반적으로 경매시장에서 낙찰가율은 집값의 바로미터로 통한다. 응찰자들이 향후 해당 단지 집값 전망을 예상하고 입찰가를 정하기 때문에 집값이 오를 것으로 전망되면 낙찰가율이 오르기 마련이다.

서울 및 수도권의 준공된 지 30년 이상인 아파트 단지 낙찰가율이 평균보다 떨어지는 건 향후 매매시장에서도 시세가 내려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그만큼 많다는 의미다.

정부가 준공 30년 이상인 아파트 재건축 사업에서 안전진단 절차를 간소화하기로 한 이후에도 수혜 단지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서울은 아파트 182만7000가구 중 27.5%가 준공 30년을 넘겼고, 노원·도봉구 아파트의 60% 가까이가 여기에 해당한다. 지난 14일 오전 서울 강북구 북서울꿈의숲에서 바라본 노원·도봉구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

범위를 조금 넓혀 올해 준공 30년(1994년 준공)된 아파트도 마찬가지다. 지난 16일 서울남부지법에선 1994년 지어진 강서구 방학동 장미아파트 40㎡가 경매에 나왔는데, 2명이 입찰해 낙찰가율은 58%(감정가 6억2900만원, 낙찰가 3억6400만원)에 머물렀다.

경매시장 뿐 아니라 매매시장에서도 규제완화 대상지역 아파트값은 별로 힘을 못받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정부가 서울에서 재건축 규제완화 수혜지역으로 꼽은 노원구(-0.03%), 강남구(-0.01%), 강서구(-0.03%), 도봉구(-0.03%)는 이번 주(15일 조사 기준)에도 모두 아파트값이 하락했다.

경기도에서도 수혜지역으로 지목된 안산시(-0.06%), 수원시(-0.03%), 광명시(-0.15%), 평택시(-0.1%) 등의 아파트값도 모두 내리막길을 걸었다. 이중 광명시는 전주(-0.05%) 보다 낙폭이 3배나 커졌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재건축을 해도 돈이 안된다는 인식이 퍼져 있는 상태여서 지금은 안전진단 완화 같은 규제완화에 시장이 반응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재국 금융연수원 겸임교수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완화, 용적률 상향 등 사업성을 높일 수 있는 추가 대책이 없다면 당분간 규제완화가 집값을 움직일 동력이 되긴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jumpcut@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