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선물도 양극화…백화점은 '프리미엄' 대형마트는 '가성비'

전성훈 2024. 1. 21. 07: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백화점서 불황에도 30만원 넘는 고가 세트 인기…2억원대 주류도
대형마트는 20만원 미만 실속 세트 잘 팔려…1만원대 세트도 선봬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이신영 기자 = 고물가와 불황이 이어지고 있는 올해 설 선물세트 판매시장에서 양극화가 두드러지고 있다. 백화점은 프리미엄 상품, 대형마트는 중저가 가성비 상품 중심으로 각각 뚜렷하게 양분되는 모양새다.

2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신세계·현대 등 백화점 3사가 설 선물세트 예약판매 매출을 중간 점검한 결과 축산은 30만∼50만원대, 청과는 10만∼20만원대, 수산은 20만∼30만원대 상품이 각각 잘 팔렸다.

최근 2∼3년 사이 백화점에서 꾸준히 강세를 보인 가격대의 선물세트 상품이 불황 속에서도 예외 없이 잘 나간 셈이다.

명절 선물세트로 가장 인기가 많은 축산의 경우 고가의 프리미엄 상품 판매가 특히 인기였다.

롯데백화점에서는 50만원대 로얄한우 스테이크 세트 판매량이 전체 1위를 차지했고 현대백화점에서도 30만원대 한우 세트와 40만원대 한우구이 세트가 나란히 전체 판매 순위 1∼2위에 올랐다.

롯데백화점 설 선물세트 [롯데백화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신세계백화점에서도 40만원에 가까운 한우 세트가 판매량 상위권에 들었다.

백화점에서는 팬데믹(pandemic·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여파가 한창이던 2021년 이래 명절 선물세트 구매 단가가 10% 안팎의 비율로 상승했다. 고향을 찾지 못하는 상황이 되자 선물 구매에 들이는 가계 예산을 확대한 것이다. 엔데믹(endemic·풍토병화한 감염병)이 본격화한 지난해와 올해도 이런 추세는 그대로 이어지는 양상이다.

이에 맞춰 백화점들은 고가 상품을 확대하는 전략으로 고객 발길을 유인하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100만원 이상 선물세트 물량을 지난해 대비 30% 이상 늘렸다. 200만∼300만원대 최고급 한우세트, 200만원대 참굴비 세트 등이 대표적이다. 롯데백화점도 400만원대 굴비 세트를 판매 중이다.

주류는 초고가 상품이 즐비하다. 명절 시즌 고급 주류의 선물 수요가 높다는 점을 반영했다.

신세계백화점은 병당 5천만원, 4병 세트에 2억원을 호가하는 꼬냑 '하디 라리끄 포시즌 에디션'을 내놨고, 현대백화점도 세계적으로 100여명만 생산된 희귀 싱글몰트 위스키 글렌피딕 50년산을 8천500만원대 가격에 처음으로 선보였다.

설 과일선물 가격↑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사과와 배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자 올해 설 과일세트 선물 가격도 작년보다 평균 20∼30%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1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과일 선물세트를 둘러보고 있다. 2024.1.14 mjkang@yna.co.kr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고가·프리미엄 선물에 대한 구매 수요는 꾸준하다. 특히 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상품의 희소성"이라고 말했다.

반대로 대형마트에서는 중저가 상품의 인기가 압도적이다.

이마트에서는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16일까지 판매한 설 선물세트 매출이 지난해 설 같은 기간 대비 19.4% 늘었다.

가격을 내린 한우세트와 샤인머스캣을 활용한 과일 세트, 가격과 실용성을 강조한 통조림세트가 매출을 견인했다. 한우가 37%, 과일은 60%, 통조림은 29%씩 매출이 늘었다.

우선 한우세트는 전체 매출의 약 60%를 차지하는 10만∼20만원 사이 가격대 상품 매출이 147% 급증하며 대형마트 선물세트 '최강자'임을 재확인했다.

과일 세트는 가격이 급등한 사과와 배 대신 상대적으로 시세가 안정적인 샤인머스캣 혼합 비중을 확대해 가격을 낮춘 게 주효했다.

햄류와 참치캔류가 대부분인 통조림 세트도 고물가로 명절 '집밥족'이 늘어나는 트렌드에 맞게 선물 수요가 꾸준하다. 특히 3만원대 세트가 인기를 끌며 매출이 56% 늘었다.

하이볼인기에 명절선물도 양주가 대세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MZ세대를 중심으로 위스키에 탄산수 등을 섞어 마시는 '하이볼'이 유행하면서 명절 선물도 양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마트는 이번 설 선물 세트 판매 행사에서 양주 세트를 예년보다 강화한다고 7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대형마트 위스키 판매대 모습. 2024.1.7 saba@yna.co.kr

롯데마트에서는 10만원이 채 안 되는 실속 한우세트와 과일 세트가 인기리에 팔리고 있다.

5만원대인 충주 프레샤인사과(5㎏)는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12일까지의 예약판매 매출이 2배 늘었고 9만원대 한우 정육세트도 70% 증가했다. 1만원을 밑도는 김 선물세트 매출이 2배가량 늘어난 것도 눈에 띈다.

홈플러스는 경기 불황이 깊어지면서 극가성비 수요가 높아졌다고 보고 올해 설 예약판매 상품의 67%를 3만원대 이하 상품으로 구성했다.

예약판매 기간 보리먹고자란돼지 BBQ 세트, 정성담은 표고혼합 세트 등 2만∼3만원대 상품이 판매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밖에 4만원대 당도선별 사과세트와 전통양념소불고기 냉동세트, 8만원대 LA식 꽃갈비 냉동세트 미국산 쇠고기 등 가성비 상품이 잘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백화점에서는 가성비 세트에 힘을 주고, 대형마트에서는 프리미엄 세트 물량을 늘리는 등 이른바 '크로스오버' 현상도 나타나지만 아직은 각 업종의 핵심 고객층에 맞춘 판매 전략이 더 두드러져 보인다"고 짚었다.

lucho@yna.co.kr, eshiny@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