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인가 이과인가 헷갈리는 아이, 잘 키우면 레오나르도 다빈치! [공부 뇌 만들기 프로젝트]

2024. 1. 19. 13: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간은 자신만의 고유한 뇌인지행동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외부환경으로부터 들어오는 자극을 어떻게 느끼고(perception), 어떻게 생각하며(conception), 어떻게 행동으로(behavior) 표출하는가에 따라 8192가지 뇌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자녀에게 최적화된 공부법, 최고의 성적을 얻는 법, 더 나아가 자신의 꿈을 찾고 꿈을 이루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이미지 출처=셔터스톡>
3. 코스모스처럼 가냘픈 이과성향의 우뇌형
자녀의 뇌유형가운데 세 번째로 좌뇌성향을 일부 띤 우뇌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이 유형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가을바람에 흔들리는 코스모스와 같습니다. 여기서 가을바람에 흔들린다는 의미는 아이가 문과 성향인 것 같기도 하고 이과 성향인 것 같기도 하고 아주 헷갈린다는 것입니다. 아이가 과학을 좋아하고 실험, 관찰을 좋아하는 것을 보면 분명히 이과 성향인 것 같은데 또 한편으로 보면 아이는 역사도 좋아하고 경제학도 좋아하는 것을 보면 문과 성향 같기도 하다는 것입니다.

이 유형의 가장 큰 특징은 엄마가 보기에 머리는 좋은데 욕심이 없고 좀 게으른 성향이 있습니다. 여기서 욕심이 없다는 뜻은 뭐든지 하겠다고 달려들지를 않는다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호불호가 강합니다.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이 분명합니다.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에서는 지적 호기심이 아주 많지만 다른 분야는 거들떠보지도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고집이 셉니다. 자기가 하기 싫은 것은 아무리 권해도 하지 않는 수동적 고집이 장난이 아닙니다.

또 부모가 보기에 노력 측면에서 보면 아이가 항상 2%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조금만 밀어붙이면 힘들다고 하면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렇다고 당근을 줘도 큰 반응을 보이지 않고 그냥 시큰둥합니다. 학교 다닐 때 조금만 더 노력하면 아주 잘할 수 있을 텐데도 그냥 그 정도에서 만족하는 스타일입니다. 참 키우기 까다로운 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아이가 왜 그러는지 아이의 뇌 속으로 잠시 들어가 볼까요.

<이미지 출처=셔터스톡>
첫째, 아이가 외부대상을 바라보고 느끼는 인지적 렌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이 유형의 인지적 렌즈는 강한 우뇌형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이 말은 대상을 전체적으로 한꺼번에 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대상을 부분부분 나눠서 본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금방 부분부분을 통합해 전체를 직관적으로 봅니다. 그래서 이 유형은 대상을 가만히 지켜보는 관찰력이 탁월합니다.

문제는 사람을 가만히 앉아서 지켜보기는 어렵다는 점입니다. 사람을 관찰하고 꿰뚤어 보는 데는 렌즈가 더 큰 우뇌형이 훨씬 더 뛰어납니다. 상대적으로 렌즈가 더 작은 이 유형은 사람보다는 정적으로 관찰하면서 파악하기가 더 쉬운 사물에 관심을 더 둡니다. 다시 정리하면 우뇌형이 사람을 직관적으로 잘 파악한다면 이 유형은 사람보다는 사물을 직관적으로 잘 파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둘째, 렌즈를 통해서 들어온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지처리방식을 알아봅시다. 이 유형은 대상을 몇 번만 관찰을 하면 그 대상의 원리를 금방 파악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로 그 대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가설이나 모델을 잘 만드는 뇌인지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유형 가운데 아이디어가 아주 좋은 아이들이 레오나르도 다빈치처럼 콘셉트 디자이너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는 아티스트나 디자이너가 이 유형에 속할 확률이 아주 높습니다. 이 말은 이 유형이 예술계통에서도 중심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아이디어나 과학적 사실에 기반한 SF쪽에서 많은 활동을 합니다. 한국에서도 현대 예술가들의 절반 이상이 이 유형에 속합니다.

이 유형 가운데 우뇌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내는 수준이 약간 낮은 아이들이 자연과학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유형은 몇 번 관찰하고 금방 새로운 가설을 만든 후 그 가설을 검증하는 실험을 지속해서 그 분야에서 최고의 자연과학도가 됩니다. 특히 호불호가 강한 장인정신의 소유자들이 바로 화학 분야나 생리의학 분야에서 노벨상을 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유형 가운데 일부가 문과 쪽으로 가서 경제 현상을 설명하는 가설이나 모델을 만들고 실증 데이터로 검증하는 경제학을 전공하거나 역사적 가설을 세우는 것을 좋아하면 역사학도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유형 가운데 창의성이 아주 낮은 경우, 즉 데이터 분석을 아주 좋아하고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를 좋아하는 아이들이 나중에 각 분야에 최고의 컨설턴트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세계적 컨설팅 회사인 맥캔지, 보스턴컨설팅그룹 등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이 유형에 속할 확률이 아주 높습니다.

셋째, 이 유형의 행동 특성을 살펴보면 욕심이 없고 좀 게으른 아이들이 위에서 말한 예술계통이나 자연과학 계통에서 활동을 많이 합니다. 진취성이 너무 높으면 다른 분야를 넘보지 않고 자기가 하는 분야에 몰입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진취성이 떨어지는 아이들이 호불호가 강하고 자기 고집으로 그 분야에 몰입해 큰 성과를 냅니다.

끝으로 한마디만 덧붙이면 이 유형 가운데 욕심 없고 게으른 유형은 대개 엄마가 만든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엄마가 세면 아이는 저절로 욕심이 없어지고 게으른 아이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먼저 엄마의 뇌성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 늦가을에 피는 국화처럼 대기만성인 좌뇌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안진훈 MSC브레인컨설팅그룹 대표]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