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이씨’가 ‘정동 이씨’로…본관 바뀐 조선 양반, 무슨 사연 있었길래

권오균 기자(592kwon@mk.co.kr) 2024. 1. 19. 10: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역사박물관, ‘한양의 세거지’ 발간
모여사는 곳 기준 성씨 구분 역사 조명
조선 후기 동·서·남·북·중 5개 지역별 거주
한 곳에 모여 살았던 양반가 특징 연구
18세기 말 서울 사대부 세거지 중 주자동 권씨, 건천동 조씨, 아현 황씨, 순청동 유씨, 소정동 이씨와 김씨 표시. <자료 = 서울역사박물관>
조선 후기 한양은 주로 북촌에는 양반이, 서촌에는 하급 관리가 많이 살았으며, 양반들이 일정 지역에서 대대로 모여 살아 온 경우 본관이 아닌 지명을 따와 성씨를 구분하기도 했다. 다시 말해 조선 500년간 정동에 모여 산 여주 이씨를 ‘정동(貞洞) 이씨’라고 부르는 데 익숙했고, 회현동에 터를 잡고 살았던 동래 정씨를 ‘회동(회현동)정씨’라고 말해도 통했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조선시대 한양의 거주지 실태 양상 연구한『한양의 세거지(世居地)-서울기획연구 11』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안대회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책임으로 이종묵 서울대학교 교수, 오세현 경상대학교 교수, 김하라 연세대학교 교수, 김세호 경상대학교 교수가 참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선 후기 한양의 거주 양상을 살펴보면 신분이나 직업별로 모여 사는 경향이 있었다. 조선 후기 한양 인구는 약 19만명이었다. 한양을 동·서·남·북·중 5개 지역으로 나누면 ▴동촌에는 반인(伴人)과 무관 ▴서촌에는 하급관리 ▴남촌에는 남인과 소론·소북 ▴북촌은 양반과 종친 ▴중촌에는 중인과 시전 상인이 주로 살았다.

특히나 양반은 세대를 거듭해서 모여 사는 경우가 많다 보니 거주 지역명이 본관의 별칭처럼 따라붙기도 했다. 예컨대 조선 500년간 회현동에 대대로 살았던 동래정씨(東萊鄭氏)는 회현동의 이름을 따 회동정씨(會洞鄭氏)로 불렸다. 회동정씨는 조선 개국 이래 회현동에 세거하면서 한양 조망이 가능한 쌍회정, 재산루, 홍엽정 등을 조성했고 인근 남산의 경관을 형성하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한편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사대문 가문은 당파에 따라 거주지가 달리했는데, 소론은 회동의 동래정씨를 중심으로 남산 밑에 자리 잡고 풍산홍씨와 조씨, 전주이씨, 경주이씨, 대구서씨 등은 남산 자락 소론 명문가의 집단거주지를 형성했다.

한양의 동촌에 터전을 이룬 연안이씨(延安李氏)는 관동이씨(館洞李氏)로 불렸다. 초기 황해도 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석형이 동촌에 자리를 잡으면서 이곳에 연안이씨가 모이기 시작했고 그 후손 이정귀(李廷龜, 1564∼1635)가 관동에 거주하면서 ‘관동파’라는 조선 중기 문인들의 모임을 주도했다.

정동이씨(貞洞李氏)는 정동에서 거주하는 여주이씨(驪州李氏)를 일컫는 말이다. 고려후기 개경을 세거지로 삼았던 여주이씨 가문은 한양과 주변을 옮겨 다니다가 17세기 이상의(1560~1624)부터 정릉에 거주하였다. 그의 증손자인 실학자 이익은 그의 저서 성호전집, 단헌기에서 “우리 이씨는 증조부 이상공(貳相公, 이상의) 때 정릉동에 집을 정한 이래 사람들이 ‘정동이씨’라고 일컬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정동이씨 이가환은 한양 사대부의 거주지 양상을 정헌쇄록(貞軒鎖錄)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

“서울의 오래된 저택으로 국초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주인이 바뀌지 않은 것으로는 건천동(乾川洞)의 조씨(趙氏)저택, 주자동(鑄字洞)의 권씨(權氏)저택, 숭례문(崇禮門) 밖 순청동(巡廳洞)의 유씨(柳氏)저택, 돈의문(敦義門) 밖 아현(鵝峴)의 황씨(黃氏)저택 및 내가 살고있는 황화방(皇華坊)의 김씨(金氏) 저택이 있다”

마지막으로 인왕산 근처 장동에 자리 잡아 장동김씨(壯洞金氏)라 불리는 청풍계 안동김씨(安東金氏)가 있다. 장동김씨는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에서 순절한 김상용과 남한산성에서 항전하며 척화를 주장한 김상헌의 후손들로 장동일대에서 고유한 문화를 끌어낸 것으로 유명하다.

지역 이름이 붙지는 않았으나 북촌과 용산일대에서 세거한 전주이씨(全州李氏)도 꼽을 수 있다. 전주이씨 영해군 파는 인왕산 기슭과 용산의 본가, 두릉(반포)의 별서, 광주 및 저자도의 선영을 운영했는데 한 집이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본가와 거주지를 이동하면서 어떠한 생활을 영위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사례다.

한양의 세거지. <자료 = 서울역사박물관>
이번에 공개한 ‘한양의 세거지’는 서울시청 지하 1층 서울책방 매장과 누리집(https://store.seoul.go.kr), 서울역사박물관 내 뮤지엄 숍 에서 구매할 수 있다. 가격은 1만5000원이다.

최병구 서울역사박물관장은 “조선시대 한양의 명문가의 거주 실태를 연구한 결과 본관을 떠나 지역명을 성씨 앞에 붙여 통용하는 경우 등 흥미로운 사실들이 발견됐다”며 “앞으로도 시민들에게 서울의 역사를 알리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