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후반 예금 인기···새마을금고 유동성 '숨통'

백주원 기자 2024. 1. 18. 17: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7월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위기를 겪었던 새마을금고가 4개월 만에 유동성 위기 진화에 성공했다.

현재도 속초중앙 새마을금고에서 연 4.7%, 북대구·대평 새마을금고에서 연 4.6%의 정기예금 상품들을 판매 중이다.

새마을금고의 4%대 정기예금으로 시중 자금이 몰리면서 저축은행의 수신 잔액은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홀로 고금리 앞세워 고객몰이
작년 11월 수신 5개월새 10조↑
뱅크런 발생 전 수준으로 회복
[서울경제]

지난해 7월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위기를 겪었던 새마을금고가 4개월 만에 유동성 위기 진화에 성공했다. 4%대 고금리 정기예금을 앞세워 시중 자금을 끌어모은 덕이다.

18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지난해 11월 수신 잔액은 252조 5417억 원으로 뱅크런이 발생했던 같은 해 7월 241조 8559억 원보다 10조 6858억 원 증가했다. 뱅크런 발생 전인 지난해 6월 수신 잔액 259조 4624억 원을 상당 부분 회복한 것이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뱅크런 당시 한 달 만에 수신 잔액이 17조 원 이상 줄어들며 휘청했지만 불과 4개월 만에 수신 잔액을 뱅크런 이전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가장 큰 효자 상품은 연 4%대 고금리 정기예금이다. 새마을금고는 1금융권과 저축은행 등 다른 금융 업계가 수신금리를 낮추는 사이 홀로 연 4%대 고금리 상품 판매을 유지했다. 실제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신규 취급액 기준 새마을금고의 1년 만기 정기예탁금 금리는 연 4.49%로 금융권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현재도 속초중앙 새마을금고에서 연 4.7%, 북대구·대평 새마을금고에서 연 4.6%의 정기예금 상품들을 판매 중이다. 판매 개시 1~2일 만에 완판되며 판매가 중단되기는 했으나 최근 경북 영덕군 영해 새마을금고가 연 5.1%의 특판 상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연 4%대 금리를 제공하는 정기예금은 1금융권은 물론 저축은행에서도 찾아보기 힘들다. 시중은행들은 주요 정기예금 상품 금리를 최근 상·하단 모두 3%대로 낮췄다.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이날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1년 만기 주요 정기예금 금리는 연 3.55~3.90%다. 저축은행에서도 연 4%대 금리는 찾아보기 힘들다. 저축은행중앙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저축은행 업계의 이날 기준 1년 만기 정기예금의 평균 금리는 3.86%다. DH·대백·더블·아산 등 일부 중소형 저축은행만 4.1% 수준의 금리를 적용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새마을금고의 4%대 정기예금으로 시중 자금이 몰리면서 저축은행의 수신 잔액은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저축은행 업계의 총 수신 잔액은 지난해 9월 117조 8504억 원, 10월 115조 2311억 원, 11월 110조 7858억 원으로 두 달 사이 7조 원가량 줄었다.

시장에서는 수신 잔액을 평균 수준으로 회복한 새마을금고가 향후 전개할 전략에 관심이 쏠린다. 특히 지난해 12월 첫 직선제로 선출된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이 새로 취임하면서 경영혁신안 이행에 속도를 내고 있다. 김 회장은 이달 12일 조직 개편을 통해 리스크 관리 기능 및 금고에 대한 지도 감독 기능을 강화했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금고여신금융본부와 금고여신관리부를 각각 여신지원부문과 여신관리본부로 격상했다. 행정안전부도 부동산·건설업 관련 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감독 기준’을 지난달 개정했다. 김 회장은 올해 신년사를 통해 “책임 경영 강화 및 위기 대응을 위한 리스크 관리 체계 구축을 통해 새마을금고의 건전성을 확보하겠다”며 “올해는 신뢰를 회복하고 지역사회와 더불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새마을금고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백주원 기자 jwpaik@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