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들다!"…'500' 모집에 안심소득 신청가구 '1만197'

정종오 2024. 1. 18. 09: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안심소득 500가구 모집에 1만197가구가 신청해 경쟁률이 20대1에 이르렀다.

서울시는 올해 추가로 안심소득 시범사업에 참여할 '가족돌봄청소년·청년(150가구)'과 '저소득 위기가구(350가구)' 모집 결과 500가구 모집에 총 1만197가구가 지원해 20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18일 발표했다.

이번 안심소득 신청 가구는 가족돌봄청(소)년 538가구(5.3%), 저소득 위기가구 9659가구(94.7%) 등 총 1만197가구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4월 최종 500가구 확정해 지원
서울시청. [사진=정종오 기자]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안심소득 500가구 모집에 1만197가구가 신청해 경쟁률이 20대1에 이르렀다. 안심소득은 이른바 ‘오세훈표 복지정책’으로 어려울수록 더 많이 지원받는 시스템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소득보장 정책실험이기도 하다.

서울시는 올해 추가로 안심소득 시범사업에 참여할 ‘가족돌봄청소년·청년(150가구)’과 ‘저소득 위기가구(350가구)’ 모집 결과 500가구 모집에 총 1만197가구가 지원해 20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18일 발표했다. 서울시는 1차로 1514가구를 랜덤방식으로 선정해 2~3월 자격 요건 조사 후 4월 최종 대상자를 발표할 계획이다.

올해는 기존 대상자 1600가구 외 다양한 복지정책에서 여전히 소외된 ‘가족돌봄청년’ 150가구와 위험 신호가 감지된 ‘저소득 위기가구’ 350가구를 추가로 선정해 총 2100가구를 대상으로 지원을 펼친다.

어려울수록 더 많이 지원하는 안심소득은 대한민국 최초의 소득보장 정책실험이다. [사진=서울시]

이번 안심소득 신청 가구는 가족돌봄청(소)년 538가구(5.3%), 저소득 위기가구 9659가구(94.7%) 등 총 1만197가구였다. 가구 규모 기준으로는 1인 가구가 절반인 5103건(50%)을 차지했고, 40~64세에 해당하는 중장년 가구가 5185건(50.8%)으로 가장 많았다.

자치구별로는 은평구가 699건(6.86%)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노원구 664건(6.51%), 강서구 627건(6.15%) 순이었다.

‘저소득 위기가구’ 1차 예비 선정은 최근 1년 동안 보건복지부의 위기정보 통보를 받은 신청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 규모(1인·2인·3인·4인)와 가구주 연령(39세 이하·40~64세·65세 이상)에 따라 12개 구간으로 나눠 9659가구 중 980가구를 선정했다. ‘가족돌봄청(소)년’은 신청가구 538가구 중 중복 신청 제외하여 534가구를 예비 대상으로 선정했다.

선정된 1514가구는 오는 22일부터 31일까지 거주지 동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해 안심소득 참여 신청서, 사회보장급여신청서, 소득․재산신고서, 금융정보 등 제공동의서 등 서류 4종을 제출하면 된다.

서울시는 참여 신청서류를 제출한 가구를 대상으로 3월 말까지 행복e음(사회복지통합관리망)을 통해 소득·재산조사를 거쳐 중위 소득 50% 이하이면서 재산 3억2600만원 이하인 가구를 선별한다. 동시에 안심소득 지급 전·후를 비교할 수 있는 기초통계 구축을 위한 사전 설문조사(기초선 조사)도 진행한다.

이후 소득‧재산 기준을 총족하고 기초선조사 완료 가구를 대상으로 무작위 방식으로 4월 초 최종 500가구를 선정한다. 최종 선정된 가구는 기준 중위소득 85% 기준액과 가구소득 간 차액의 절반을 4월부터 매월 1년 동안 지원받는다.

윤재삼 서울시 복지기획관은 “현 복지시스템에서 소외돼 있던 사각지대를 안심소득이 지원해 생계부담을 덜어주고, 수급 자격 탈락 걱정없이 안심하고 일도 할 수 있는 것이 안심소득의 큰 특징”이라며 “안심소득 시범사업이 서울을 넘어 대한민국의 대표 복지 모델로 안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