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로 향수·비누 만든다…어떻게?

이현욱 기자 2024. 1. 17. 14: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후변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이산화탄소(CO₂)가 향수, 비누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16일(현지시간) 공기 중으로 배출되면 지구 온도를 높이는 대표적 온실가스 CO₂에 새로운 삶을 부여하는 스타트업들을 소개했다.

에어컴퍼니는 CO₂를 에탄올로 바꾼 뒤 에센셜오일(방향유) 그리고 물과 섞어 향수를 생산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에어컴퍼니의 이산화탄소로 만든 향수. 회사 홈페이지 캡처

‘기후변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이산화탄소(CO₂)가 향수, 비누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16일(현지시간) 공기 중으로 배출되면 지구 온도를 높이는 대표적 온실가스 CO₂에 새로운 삶을 부여하는 스타트업들을 소개했다. 가장 눈길을 끄는 회사는 향수를 만드는 에어컴퍼니다. 에어컴퍼니는 CO₂를 에탄올로 바꾼 뒤 에센셜오일(방향유) 그리고 물과 섞어 향수를 생산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제품 ‘에어 오 드 퍼퓸’(Air Eau de Parfum)은 샤넬의 대표 향수인 넘버 5보다 약 50% 비싸다. 포장에는 ‘CO₂를 아름다운 것으로 바꾼다’고 쓰여있다. 50㎖ 한 병에 들어가는 CO₂는 3.6g에 불과하지만, 포집된 온실가스의 사용 방법의 하나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밖에 클린오투는 난방 보일러에서 포집된 CO₂로 비누를 만들고 있고, 뉴라이트 테크놀로지는 공기에서 직접 뽑아낸 탄소를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바꾼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2019년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약 2억3000만t의 CO₂가 재활용되고 있다. 다만 세계는 앞으로 수십 년 안에 매년 수십억t의 온실가스를 포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재생에너지와 전기차만으로 CO₂배출량을 ‘0(영)’으로 만들기엔 역부족이다. 하지만, 탄소 포집·활용(CCU) 업체들에는 CO₂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추가 비용에 따른 경제성과 신기술에 대한 구매자들의 의구심 등이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이현욱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