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1급 ‘저어새’ 지키는 고교생… “인천서 돌본 새끼 홍콩서 다시 만났죠”

지건태 기자 2024. 1. 17. 11: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저어새의 발목에는 빨간색 가락지(표식)를 채워줘요. 홍콩은 초록색, 대만은 파란색으로 구별해 얘(저어새)들 고향이 어디인지 알 수 있는 거죠."

천연기념물이면서 멸종위기 1급인 저어새 '지킴이'를 자처하는 곽기범(18·인천 작전고 2·사진) 군은 지난 8일부터 12일까지 인천에서 약 3000㎞ 떨어진 홍콩 마이포(Mai Po) 습지를 다녀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천 철새이동 협력사업 일환
‘마이포 습지’ 방문한 곽기범군
지난 10일 홍콩 마이포 습지에서 발견된 저어새의 오른쪽 발목에 빨간색 가락지가 부착돼 있다. 곽기범 군 제공

인천=지건태 기자 jus216@munhwa.com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저어새의 발목에는 빨간색 가락지(표식)를 채워줘요. 홍콩은 초록색, 대만은 파란색으로 구별해 얘(저어새)들 고향이 어디인지 알 수 있는 거죠.”

천연기념물이면서 멸종위기 1급인 저어새 ‘지킴이’를 자처하는 곽기범(18·인천 작전고 2·사진) 군은 지난 8일부터 12일까지 인천에서 약 3000㎞ 떨어진 홍콩 마이포(Mai Po) 습지를 다녀왔다. 이번 홍콩 방문은 국제적인 철새 보호기구인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사무국이 한국과 대만, 홍콩 등 해당 국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협력사업의 일환이다. 곽 군은 이곳에서 자신이 돌보던 저어새를 단번에 알아볼 수 있었다. 발목에 K-34라고 적힌 빨간색 가락지 덕분이다.

“렌즈 너머로 저 친구(저어새)를 찾고는 그만 큰 소리를 낼 뻔했어요. 새들을 놀라게 하면 안 되는 줄 알지만 수천㎞를 날아와 어린 새끼를 품고 있는 녀석이 너무 대견해 보였거든요.”

주로 동아시아에 서식하는 저어새는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6600여 마리가 관측됐다. 이 중 1740마리가 인천에서 번식한다. 매년 3월 이곳에서 새끼를 낳고 10월에 따뜻한 홍콩과 대만으로 날아가 월동한다.

철새에 대해 더 많은 공부를 하고 싶다는 곽 군은 중학교 때부터 유독 저어새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2년 전에는 ‘저어새와 친구들’이란 시민단체에 가입해 전 세계 최초로 일컬어지는 도심 속 저어새 번식도 지켜봤다. 인천 남동 유수지에는 인근 갯벌 매립으로 서식지를 잃은 저어새를 위한 인공섬이 조성됐다. 곽 군은 2주에 한 번 이곳 유수지와 주변을 돌며 저어새 둥지를 관찰한다. 곽 군은 지난해 이곳에서 부화한 저어새 새끼 10마리에게 가락지를 직접 부착해 주었다. 그리고 용돈을 모아 산 카메라로 1만 장이 넘는 저어새 사진을 찍었다.

“저어새는 다른 새들에 비해 못생겼고, 먹이도 잘 물어오지 못해요. 어렵게 잡은 물고기는 왜가리나 백로류 같은 새에게 뺏기기 일쑤죠.”

저어새가 국내에 없는 이번 겨울 곽 군은 인천시가 운영하는 한 생태학습관에서 저어새와 환경을 주제로 한 강좌를 맡을 예정이다.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