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룡포·용궁사…'龍'의 기운 느껴지는 삼척·예천 어떠세요?

윤슬빈 여행전문기자 2024. 1. 13. 07: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관광공사 선정 1월 추천 가볼 만한 곳
새해 소망 빌고 시원한 경치도 감상하고
삼척 수로부인헌화공원의 용을 탄 수로부인 조형물(한국관광공사 제공)

(서울=뉴스1) 윤슬빈 여행전문기자 = 2024년 갑진년 청룡의 해가 밝은 지 열흘이 훌쩍 넘었다. 여전히 새해에 대한 계획을 세우지 못 했다면 우선, 용의 기운을 듬뿍 받으며 새해 소망을 빌 수 있는 국내 여행지를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국내엔 용과 관련한 시원한 장관이 펼쳐지는 여행지들이 다수 있다.

최근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용(龍)기 뿜뿜! 새해 여행' 주제에 딱 알맞는 1월 추천 가볼 만한 곳 5곳을 소개한다.

증산해변 인근에 위치한 해가사의터(한국관광공사 제공)

◇ 강원도, 삼척 수로부인헌화공원·해가사의터

'삼국유사'에 실린 수로부인 설화를 바탕으로 조성한 수로부인헌화공원과 해가사의터가 삼척 해안 남단과 북단에 자리한다.

수로부인헌화공원은 임원항 인근 남화산 정상에 있다. 지상과 산을 연결하는 높이 51m 엘리베이터를 설치해 오르기 편하다.

정상에는 용을 탄 수로부인 조형물(높이 10.6m, 무게 500t)과 막대기를 두드리며 '해가'를 부르는 백성의 모습을 담은 조각상이 설화 속 장면을 재현한다.

거대한 용과 수로부인, 웅장한 바다까지 한눈에 담으며 상서로운 기운을 느껴볼 수 있다. 바다 전망이 일품인 카페, 맑은 날에 맨눈으로 울릉도가 보이는 울릉도전망대, 해학적인 십이지신 나무 조각상 등 즐길 거리가 다양하다.

해가사의터는 삼척 최북단 해변인 증산해변 입구에 자리한다. 설화를 토대로 복원한 임해정, '해가'와 '헌화가' 내용을 담은 조형물 '드래곤볼'이 있다. 드래곤볼을 돌리며 소원도 빌 수 있어 새해맞이 여행지로 좋다.

삼척의 볼거리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촛대바위와 거북바위 같은 기암괴석이 절경을 이루는 초곡용굴촛대바위길, 2021년 일반에 개방한 덕봉산해안생태탐방로는 장쾌한 바다 기운을 맞으며 걷기 좋다.

한적하고 아름다운 풍경으로 입소문이 나면서 사진작가와 여행자가 알음알음 찾아드는 갈남항도 떠오르는 명소다.

용봉산 정상에서 본 악귀봉(왼쪽)과 노적봉(한국관광공사 제공)

◇ 충남, 홍성 용봉산

홍성에는 '제2의 금강산'으로 불리는 용봉산(381m)이 있다. 산 모양이 거침없이 나아가는 용과 상서로운 봉황의 머리를 닮아 붙은 이름이다.

용봉사와 악귀봉, 노적봉, 정상 등을 두루 감상하고 내려오기까지 2시간~2시간 30분이 걸린다. 용봉산 기슭에 용봉사가 자리한다. 여러 문화재 가운데 용봉사 영산회괘불탱(보물)이 유명하다.

지장전 뒤로 난 길을 걸어 올라가면 약 4m 높이로 조각한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보물)이 보인다. 악귀봉(368m) 가는 길에는 삽살개바위, 두꺼비바위, 물개바위 등이 있다. 노적봉(351m)을 거쳐 정상으로 향하는 구간에서는 바위틈을 뚫고 가로 방향으로 누운 듯 자라는 소나무, 행운바위와 솟대바위 등을 지나친다.

삽살개바위(한국관광공사 제공)

용봉산 정상을 알리는 표석 주변에 서면 저 멀리 병풍바위와 악귀봉, 노적봉까지 이어지는 능선이 눈에 들어온다.

홍주성역사공원에 홍성군의 역사를 둘러보기 좋은 장소가 모여 있다. 홍주읍성(사적)은 홍성군의 대표 유적지다. 원래 성벽은 길이 1722m인데 현재 남쪽 800m만 남았다.

홍주아문은 조선 시대에 관청 출입문으로, 지금도 홍성군청 입구로 사용한다. 홍성군청 뒤에 보이는 한옥은 옛날 홍성 지역을 다스린 관료가 근무한 안회당이다.

회룡포는 물이 마을을 350도 휘감고 나가는 형상이 마치 용틀임하는 듯해 회룡이라는 이름이 붙었다(한국관광공사 제공)

◇ 경북, 예천 회룡포

경북 예천군 용궁면은 지명에 '용'이 들어간 고장 가운데 하나다. 이곳에 있는 회룡포(명승)는 내성천이 산에 가로막혀 마을을 350도 휘감고 나가는 형상이 마치 용틀임하는 듯해 회룡(回龍)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비가 많이 오면 섬으로 변해 '육지 속의 섬'이라고 한다. 회룡포가 한눈에 담기는 전망대는 비룡산에 있는 회룡대다. 이곳으로 가는 길에 용왕각과 용바위도 있다. 회룡대에서 마을을 감싸듯 유유히 흐르는 강물을 보면 자연의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에 탄성이 절로 나온다.

회룡대에서 바라본 '사랑의산'(하트산)(한국관광공사 제공)

회룡포마을에 들어가려면 제1뿅뿅다리를 건너야 한다. 공사장에서 쓰는 철판으로 다리를 만들어 구멍이 숭숭 뚫렸다. 고즈넉한 마을은 산책하기 좋고 회룡포와 내성천을 미로로 표현한 회룡포미르미로공원이 눈길을 끈다.

마을에서 드라마 '가을동화'와 예능 프로그램 '해피선데이―1박 2일' 등을 촬영했다. 트로트 ‘회룡포’ 가사를 새긴 노래비도 있다. 회룡포 운영 시간은 상시(연중무휴), 입장료는 없다.

길게 뻗어 있는 암석이 사찰에서 용머리에 해당하는 용두암이다(한국관광공사 제공)

◇ 부산, 해동용궁사

바다와 맞닿은 해동용궁사는 풍경이 아름다운 사찰이다.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모시는 관음 성지로, 이곳에서 정성을 다해 빌면 한 가지 소원은 꼭 이뤄진다고 한다.

새해 첫날은 물론 사시사철 일출을 보려는 발길이 끊이지 않으며 지장보살이 자리한 제룡단 방생 터가 해돋이 명소다.

용의 머리 형상을 한 용두암을 시작점으로 사찰 곳곳에 있는 전각과 조각상 등을 이으면 꿈틀거리는 용의 전체 모습이 그려져 더욱 영험한 기운이 흐르는 듯하다. 바다를 내려다보며 자애로운 미소를 짓는 해수관음대불이 사찰의 백미다.

사찰 주변으로 암석의 균열 방향이 일정한 체계적 절리군이 발달되어 있다(한국관광공사 제공)

해동용궁사 옆 국립수산과학원 수산과학관 쪽으로 향하면 사람들이 소원을 빌며 쌓은 돌탑이 옹기종기 모인 파식대지가 있는데 사찰 전경이 한눈에 담기는 사진 명소이다. 해동용궁사는 오전 4시 30분부터 입장가능하며 오후 7시에는 관람객 전원이 외부로 나와야 한다. 입장료는 없다.

영남용바위 주변으로도 아름다운 풍경이 펼쳐진다(한국관광공사 제공)

◇ 전남, 고흥 미르마루길

전남 고흥군 용암마을에 영남용바위가 있다. 고흥10경 가운데 6경으로 꼽히는 '남열 해양 경관과 해수욕장'에 있는 이곳에 용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온다.

먼 옛날, 두 마리 용이 서로 먼저 승천해 여의주를 얻으려고 싸움을 벌였다. 마을 주민 류시인은 꿈에서 그들의 싸움을 끝낼 비책을 듣고 한 마리를 활로 쐈다.

류시인의 도움으로 싸움에서 이긴 용이 용암마을 앞 바위를 디딘 채 승천했는데, 그 흔적이 지금까지 있다는 것이다.

미르마루길 아래에 패배한 용이 숨어 있다는 용굴이 자리한다, 현재 탐방로 폐쇄로 접근 불가하다(한국관광공사 제공)

고흥군은 영남용바위와 고흥우주발사전망대 사이에 해안 탐방로 '미르마루길'을 조성했다. 미르는 용을 뜻하는 옛말이다.

길이 4km 미르마루길은 주변의 기암절벽과 몽돌해변, 탁 트인 바다를 두루 감상하며 거닐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설과 관련된 용굴, 사자바위 등도 만나보자.

미르마루길 끝에 고흥우주발사전망대가 있다.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하는 로켓의 궤적이 가장 잘 보이는 곳이다.

seulbi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