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나도 스마트폰 도파민 중독?…자가진단 테스트

장나래 기자 2024. 1. 11. 07: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5시간에 이른다.

깨어 있는 시간의 3분의 1가량을 스마트폰과 함께하는 셈이다.

이용 시간이 늘면서 스마트폰 이용을 스스로 조절하지 못하는 '과의존 위험군'도 늘고 있다.

9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앱 사용 데이터 분석업체 데이터에이아이(data.ai)가 발표한 '2023년 모바일 현황'을 보면, 지난해 앱 사용 시간 기준 한국인의 하루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5시간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파민 인류② 도파민을 얻고 집중력을 잃다
한국인 ‘넷 중 하나’ 스마트폰 중독
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5시간에 이른다. 깨어 있는 시간의 3분의 1가량을 스마트폰과 함께하는 셈이다. 이용 시간이 늘면서 스마트폰 이용을 스스로 조절하지 못하는 ‘과의존 위험군’도 늘고 있다.

9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앱 사용 데이터 분석업체 데이터에이아이(data.ai)가 발표한 ‘2023년 모바일 현황’을 보면, 지난해 앱 사용 시간 기준 한국인의 하루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5시간이었다. 인도네시아(5.7시간), 브라질(5.3시간), 사우디아라비아(5.3시간), 싱가포르(5.3시간)에 이은 세계 5위였다.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테스트

세계 5위 스마트폰 과소비 국가인 만큼 스마트폰 이용 조절력이 떨어지는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도 증가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2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를 보면 만 3~69살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 위험군은 23.6%였다. 국민 4명 중 1명이 스마트폰에 ‘중독’돼 있다는 뜻이다. 이들 중 74%는 ‘스마트폰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지 못하면 불안하다’고 했고, 75.8%는 ‘스마트폰 배터리가 부족해지면 초조함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과의존 위험군에서 유아와 청소년의 비율도 높아지고 있다. 2022년 조사에서 과의존 위험군 중 청소년(만 10~19살) 비율은 40.1%로 가장 높았다. 유아 등(만 3~9살)은 26.7%로 뒤를 이었다. 청소년과 유아를 합친 ‘미성년자’ 비중은 2020년 63.1%에서 2년 사이 66.8%로 늘었다.

장나래 기자 wing@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