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잠뱅이탕’ ‘간자미 무침’ ‘굴구이’...미식(美食)도시 보령에서 제철 음식 맛보세요

강태우 2024. 1. 11. 07: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충남 보령시가 겨울철 미식 도시로 떠오르고 있다.

○제철 음식 물잠뱅이탕·굴찜·구이물잠뱅이는 한국 최초의 어류학서 자산어보(玆山魚譜)에 '맛이 순하고 술병에 좋다'고 했을 정도로 조상들이 즐겨 먹었다.

김동일 보령시장은 "물잠뱅이탕, 굴구이, 간자미 무침 등 겨울철 음식으로 건강도 챙기고, 서해안을 대표하는 대천해수욕장에서 겨울 바다의 추억도 남기는 일석이조 여행지로 각광받고 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령 대천항 물잠뱅이탕 맛보며
대천해수욕장 거닐며 추억 만들고
천북 굴구이·찜, 오천항 간자미 등
겨울 건강식으로 몸·마음도 ‘활력’
충남 보령은 서해안을 대표하는 대천해수욕장을 비롯해 겨울철 별미인 '물잠뱅이탕' '간자미 무침' '굴구이·찜'이 유명하다. 사진은 하늘에서 본 대천해수욕장 스케이트장. 보령시 제공

충남 보령시가 겨울철 미식 도시로 떠오르고 있다. 주말과 휴일이면 보령 대천항과 오천항, 천북굴단지에는 제철 음식을 즐기려는 관광객들로 붐빈다.

큰 입, 머리와 같은 크기로 길게 뻗은 몸통, 미끌미끌한 껍질, 흐물흐물한 살집 등 음식으로 먹을 수 없을 것 같은 물고기가 있다. 표준어로는 꼼치, 지역에 따라서는 물메기나 물텀벙이, 보령에서는 ‘물잠뱅이’로 불린다. 매년 이맘때면 대천항 인근 수산물센터나 대천해수욕장 주변 음식점에는 시원한 국물이 일품인 물잠뱅이탕과 찜을 맛볼 수 있다. 물잠뱅이는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가 산란기로 가장 맛이 좋다.

충남 보령의 겨울철 음식 '물잠뱅이탕'. 보령시 제공

○제철 음식 물잠뱅이탕·굴찜·구이
물잠뱅이는 한국 최초의 어류학서 자산어보(玆山魚譜)에 ‘맛이 순하고 술병에 좋다’고 했을 정도로 조상들이 즐겨 먹었다. 물잠뱅이는 날씨가 추워지는 겨울에 가장 맛있는 생선으로 유명하다. 해장국으로 유명한 ‘물장뱅이탕’은 다른 양념은 특별히 넣지 않고 신김치를 넣고 끓여야 담백하고 시원한 맛을 낼 수 있다. 물잠뱅이는 살이 연해 숟가락으로 떠서 먹는 유일한 생선이다. 시원한 맛 때문에 주로 해장국으로 이용되지만 추운 날씨에 건조해 찜을 하기도 한다.

찬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생각나는 음식이 또 있다. 보령의 겨울 별미로 꼽히는 천북면의 굴이다. 천북 굴은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살이 가장 많고, 맛도 좋기로 유명세를 치르면서 인기가 높다. 바다의 우유로 불리는 굴은 칼로리와 지방 함량이 적어 다이어트에 좋고 칼슘이 풍부하다. 철분과 구리가 함유돼 빈혈에 좋고, 타우린이 많아 콜레스테롤과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충남 보령 천북굴단지 굴구이. 보령시 제공

천북면 장은리 굴 단지에 가면 관광객들이 숯불에 굴을 굽거나 찜통에 직접 쪄서 먹을 수 있다. 굴이 입을 벌리기 시작할 때 속살을 발라먹는 굴구이는 맛은 물론 까먹는 재미까지 있다. 숯불에 구워 먹다 보면 굴 껍데기가 ‘탁탁’ 소리를 내거나 ‘펑’ 하는 소리와 함께 굴 껍데기가 튀어 오르는 경우도 있어 색다른 경험을 선사한다. 굴 껍데기에 맞거나 놀라기 싫다면 굴찜으로 먹는 것을 추천한다. 굴은 구이나 찜 말고도 굴밥, 굴 칼국수, 굴전, 굴 회무침 등 다양한 요리로도 맛볼 수 있다.

○새콤달콤 오천항 간자미 무침
간자미는 갯벌이나 모래가 발달한 수심 50m 전후에서 많이 서식하는 가오리과 생선이다. 간자미는 암수 구분이 쉬운데 수컷은 몸통 아래에 두가닥의 생식기가 달렸다. 식감은 암컷이 좀 더 부드럽게 씹혀 횟감으로 알맞고 수컷은 찜으로 먹기 좋다.

간자미는 연골 뼈가 연하게 씹히는 식감이 특별한 음식이다. 씹히는 맛이 좋아지려면 연골이 물렁물렁해야 하는데 겨울에서 봄까지가 그 맛이 최고다. 이 기간 간자미는 살이 오르고 뼈가 연해 별미인 지느러미살을 뼈째 씹어 먹기 좋다. 여름이 되면 깊은 물 속으로 들어가 뼈도 억세진다.

충남 보령의 제철 음식인 간자미 무침. 보령시 제공

쫄깃한 식감에 담백한 맛의 간자미에 새콤달콤한 양념장과 식초, 신선한 채소를 버무리면 인기 만점 간자미 무침이 된다. 간자미는 겨울철 별미로 지방이 적고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해 원기 회복에도 제격이다.

김동일 보령시장은 “물잠뱅이탕, 굴구이, 간자미 무침 등 겨울철 음식으로 건강도 챙기고, 서해안을 대표하는 대천해수욕장에서 겨울 바다의 추억도 남기는 일석이조 여행지로 각광받고 있다”고 말했다.

보령=강태우 기자 ktw@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