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일반고 '콩나물' 교실 된 이유...황금돼지띠 때문?

임예은 기자 2024. 1. 10. 10: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고등학교 교실 10곳 중 2곳은 과밀 학급
"특목고보다 일반고에서 과밀학급 비중 높아"
〈사진=연합뉴스〉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는 과밀학급이 줄어드는데, 고등학교는 10곳 중 2곳 넘는 교실이 과밀학급인 걸로 나타났습니다. 과밀학급은 한 교실에 학생이 28명 넘는 교실입니다.

이은주 정의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초·중·고 전체 학교급에서의 과밀학급은 해마다 줄고 있습니다. 2021년 23.2%에서 2022년은 19.0%, 지난해엔 18.1%까지 줄어들었습니다.

고등학교는 예외였습니다. 고교 내 과밀학급 비중은 2022년 18.1%에서 작년 22.3%로 4.2%포인트 늘었습니다. 고등학교에서만 총 2천 300여개의 콩나물 교실이 생겨난 겁니다.

저출생 여파로 학령인구 감소세가 지속되자 올해 초등학교 입학생은 역대 최저치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문을 닫는데, 고등학교에서는 과밀학급은 늘어난 겁니다.

그 배경엔 2007년에 태어난 '황금돼지띠' 학생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비교적 출생아 수가 많은 시기인데, 이 학생들 지난해 고등학교를 입학했습니다.

고등학교 중에서도 과학고와 외고·국제고 등 특목고보단 일반고등학교에서 과밀학급을 찾아보기 쉬웠습니다.

지난해 일반고 학급 10곳 중 3곳 꼴로(27.0%)과밀학급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제고 2.0%, 외고 1.7%, 과학고 0%보다 훨씬 높은 수치입니다.

송경원 정의당 정책위원은 "출생아 수 추이를 교육당국이 파악 가능한 만큼, 중장기적으로학생을 배치하고 학교를 신설하는 등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