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릉으로 향한 940번의 여정…조선시대 왕의 '능행'은 어땠나

김예나 2024. 1. 9. 11: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시대 국왕은 종종 궁궐이나 도성 밖으로 나갔다.

조선 후기에는 별도 사당에서 지내던 제사를 왕릉에서 지내고, 왕이 직접 행하는 의례 절차를 확대하는 등 능행이 왕조의 정통성을 확인하는 행사라는 점도 강조됐다.

보고서에는 조선시대 왕의 능행 경로를 추론하고, 조선시대 도로망을 바탕으로 한 지리정보시스템(GIS) 프로그램을 활용해 왕릉을 오가는 경로를 표시한 지도 등도 담겼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궁능유적본부, 능행 목적·의미 등 연구 성과 담은 보고서 펴내
시기 따라 행차 구성·규모 변화…'국왕의 정통성' 확인 의미도
정조의 현륭원 행차 그림 (華城陵幸圖·화성능행도) 정조가 1795년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에 행차한 뒤 연회를 베풀었던 일을 그린 그림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11일 배릉제(拜陵祭) 뒤에 능에 오를 것이니 제반일을 미리 준비하라." (인종실록 1545년 3월 9일 기사)

조선시대 국왕은 종종 궁궐이나 도성 밖으로 나갔다.

왕이 행차하는 날에는 도성의 공식 업무도 잠시 멈췄고, 왕의 모습을 보기 위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많은 사람이 몰렸다. 그야말로 국가적 행사였다.

그중에서 선대 왕이나 왕비의 능에 제사를 지내거나 참배하기 위해 왕이 행차하는 능행(陵幸)은 왕조의 정통성을 확인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컸다.

정조의 현륭원 행차 그림 부분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조선시대 국왕의 능행 목적과 의미, 실체 등을 규명하기 위해 진행한 연구 성과를 담은 보고서를 펴냈다고 9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선이 건국된 1392년부터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순종(재위 1907∼1910)이 사망한 1926년까지 535년 동안 총 940회의 능행이 이뤄졌다. 한 해 평균 1.76회 왕릉으로 향한 것이다.

강제훈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 연구팀은 보고서에서 "조선 왕릉은 살아있는 사람이 의례를 행하는 공간을 죽은 자의 공간 못지않게 크고 중요하게 조성했다"며 공간적 의미를 짚었다.

1777년(정조 1) 능행로(출궁) 지도화 예시 연구에서 밝혀낸 내용을 토대로 경희궁에서 나와 파주삼릉 내 영릉, 고양 서삼릉 내 희릉과 효릉, 고양 서오릉 내 홍릉으로 이동한 경로를 표시한 지도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조선 후기에는 별도 사당에서 지내던 제사를 왕릉에서 지내고, 왕이 직접 행하는 의례 절차를 확대하는 등 능행이 왕조의 정통성을 확인하는 행사라는 점도 강조됐다.

보고서는 능행 행차 구성과 규모가 시기적으로 변화하는 모습도 밝혀냈다.

조선 초에는 시위 병력과 의장, 문무백관 등을 포함해 약 4천500명 내외로 행렬이 구성됐으나 이후에는 대략 2천900∼4천명, 많으면 6천400명까지 다양하게 구성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연산군 대부터 현종 대까지인 1494∼1674년에는 능행이 백성에게 부담이 된다는 인식과 더불어 전후 회복을 위해 능행 횟수가 급격히 감소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경기 구리 동구릉, 고양 서오릉 등과 같은 왕릉군은 무덤이 늘면서 왕릉 구성도 달라지는데, 이에 따라 능행 양상이 변화하는 내용을 분석한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1777년(정조 1) 능행로(환궁) 지도화 예시 연구에서 밝혀낸 내용을 토대로 홍릉에서 모화관 앞길, 하연대, 숭례문 앞길, 경희궁 흥화문, 광달문으로 이동한 경로를 표시한 지도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능행에서 곡을 연주하던 악대도 주목했다.

조선 초기에는 임금이 타던 가마 앞에 악대가 있었으나, 후기에 들어서는 임금의 군사보좌관으로 활약하던 선전관이 근무하던 관청 소속 악대가 앞뒤로 배치된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에는 조선시대 왕의 능행 경로를 추론하고, 조선시대 도로망을 바탕으로 한 지리정보시스템(GIS) 프로그램을 활용해 왕릉을 오가는 경로를 표시한 지도 등도 담겼다.

궁능유적본부 관계자는 "연구 성과는 조선왕릉길 여행 프로그램의 경로를 기획하거나 향후 왕릉 내 역사문화관 전시를 개편할 때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문화재청과 궁능유적본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구 보고서 표지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