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고집` 비건…탄수화물 함정 빠질라 [강민성의 헬스토리]

강민성 2024. 1. 5. 18: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아이클릭아트>

최근 채소만 먹는 채식주의를 넘어서 동물에서 나오는 음식조차 철저히 먹지 않는 '비건'이 MZ세대들 사이에서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품업계는 동물성 성분이 첨가되지 않는 제품을 확대하는가 하면 뷰티 업계는 동물 실험을 하지 않는 화장품을 출시하고 있다. 또 비건식당을 찾아주는 앱이 등장하고, 채식인을 위한 배달앱도 나왔다.

직장 근처에도 샐러드나 샌드위치를 파는 식당들도 많이 생기는 등 예전보다 채식을 하기 위한 환경이 좋아지면서, '나도 한번 채식을 시작해 볼까'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같은 채식인이라도 채식주의에 동참하는 방법이 다양한 만큼 내가 어느 유형의 채식을 할지도 고민이 될 수 있다. 채식주의자 중 동물성 식품을 전혀 먹지 않는 비건인이 있고 우유와 유제품을 섭취하는 '락토베지테리언'이 있다. 또 채식을 하면서 달걀, 우유, 유제품을 먹는 '락토오보 베지테리언', 달걀, 우유, 생선까지 허용하는 페스코도 있다. 연예인 중 이효리가 페스코로 잘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붉은 육류는 아예 먹지 않지만, 닭고기는 먹는 '폴로 베지테리언'을 선택하는 사람이 있고, 평소에는 채식을 추구하지만, 직장 회식 등 상황에 따라 아주 가끔 육식을 하는 '플렉시테리언'까지 총 6가지 방법으로 분류된다. 또 극단적 채식주의자 중에서는 푸르테리언으로 과일과 곡식만 먹는 채식주의자도 있는데, 이런 유형으로 채식을 하는 사람은 아주 극소수로 알려졌다.

한 가정의학과 전문의는 "무분별한 채식은 오히려 건강을 망칠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채식을 위해는 세심하고 잘 계획된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샐러드를 판매하는 곳을 제외하고, 외부 음식점 중에 각종 나물 음식이 저렴하고 다양하게 제공되는 식당이 많이 없어 채식으로 된 식습관을 계속 유지하기 쉽지 않을 수도 있다. 채식을 하는 사람들의 공통된 고충은 바로 '허기짐'이다. 채소는 열량이 낮기 때문에 포만감을 느끼는 수준까지 도달하기 쉽지 않다.

이에 따라 과도하게 빵, 떡 등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사람이 있다고 전문의들은 경고한다. 빵과 떡이 식물성 재료로만 만들었다고 이를 과다하게 섭취한다면 신체 대사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동물성 식품이 들어있지 않다고 비건 라면 등 인스턴트 비건 제품을 즐겨먹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 역시 오히려 좋지 않은 식습관이다. 한 가정의학과 전문의는 "지금 상업적으로 유행하는 비건 가공식품들은 기존의 인스턴트를 비건 버전으로 흉내낸 것"이라고 말한다.

이에 따라 건강을 위해 올바른 채식을 하려면 라면을 포함해 빵, 국수 등 각종 화학첨가물이 든 식품을 일체 끊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비건이 트렌드화되고 상업적으로 다양한 비건식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비건식에 화학첨가물이 들어있다면 건강에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무리하게 비건식을 하다가 철분 결핍과 오메가3 지방산이 과도하게 줄어드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식을 할 경우 철분 보충제를 섭취하거나 오메가3 영양소를 먹는 등 사전에 영양 섭취에 대한 계획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같은 비건이라도 부드럽게 가공한 음식과 소금, 설탕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을 장기간 먹을 경우 몸에 해가 될 가능성이 높다.

한 채식주의자는 채식을 장기간 했는데도 탄수화물을 많이 먹어 경도비만 판정을 받는 경우도 있다. 채식을 할 경우 채식을 하지 않는 다른 사람들보다 현실적으로 음식의 선택지가 적지만, 가능하면 자연 상태의 비건식을 먹어야 하고, 채식을 하기 앞서 연령대와 질병 상태 등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 또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내가 먹는 식습관이 제대로 된 것인지 확인할 필요도 있다. 강민성기자 kms@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