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자신을, 그다음 세상을 사랑하라[책과 삶]

이영경 기자 2024. 1. 5. 07: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상을 받아들이는 방식
메리 올리버 지음 | 민승남 옮김
마음산책|232쪽|1만6000원

자연의 경이감과 생의 기쁨을 영혼을 울리는 시어로 노래해 온 메리 올리버(1935~2019)의 시집 <세상을 받아들이는 방식>이 출간됐다. 전미도서상과 퓰리처상을 수상한 올리버가 일흔 중반에 접어들어 쓴 시들이다. 자연과 깊이 교감하며 느끼는 경이를 변함없이 노래하면서도 생의 끝자락에서 느끼는 삶의 유한성을 담담하고도 명징하게 전한다.

“가끔 나는/ 어디서든/ 그저 서 있기만 해도/ 축복받지.”(‘이른 아침’)

이런 지극한 행복의 감각은 어디서 오는 걸까. 올리버는 스물아홉에 첫 시집을 낸 후 미국 매사추세츠 프로빈스타운에 자리 잡고 매일 새벽같이 일어나 숲과 들판, 바닷가를 걸으며 그 모습을 눈에 담고 가슴에서 차오르는 기쁨을 노트에 받아적었다. 그는 들판에 숨겨진 새 둥지에서 따스한 알들을 발견하고는 “뉴욕시의 전기를 다 합친 것보다/ 더 큰 경이를 느끼”는 사람이다. 그렇기에 “예순을 넘어 조금 더 나이를 먹었고, 날개를 단 기분을 느끼는 날들도 있지”(‘할렐루야’)라고 노래한다.

노년의 올리버는 생과 사를 삶과 자연의 섭리로 받아들인다. 연못가에서 발견한 기러기 새끼 여섯 마리 가운데 한 마리는 날지 못하자 “내가/ 세상을 받아들이는 방식-/ 훨훨 날아간/ 그 다섯 마리 새끼와// 두 부모에 대해선/ 기뻐하고/ 남아야만 했던 날개 없는 한 마리는/ 가슴에 품어주었지”(‘연못에서’)라고 노래한다. 시인은 과거의 고통을 내려놓고 한결 자유로워진 모습을 보인다. 올리버는 유년 시절 아버지에게 성적 학대를 당했고, 집 밖으로 나와 숲속을 거닐며 상처를 회복하고 기쁨을 찾았다고 한다. 그리하여 시인이 발견하고, 전하고픈 “내 앎의 전부인 이 진실”은 이렇다. “먼저 자신을 사랑하기를. 그다음엔 그걸 잊어./ 그다음엔 세상을 사랑하는 거지.”(‘우선, 달콤한 풀’)

이영경 기자 samemind@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