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개 시·군·구서 장기요양 재택의료서비스 시범 실시…이용 대상자 확대

황희창 2024. 1. 4. 16: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해 1월부터 장기요양보험 수급자의 집을 직접 찾아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재택의료서비스 시범사업이 서울 강북구 등 62개 시·군·구에서 실시된다.

보건복지부는 4일 62개 시·군·구, 83개 의료기관을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2차 시범사업 기관으로 선정해 새해부터 재택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새해 1월부터 장기요양보험 수급자의 집을 직접 찾아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재택의료서비스 시범사업이 서울 강북구 등 62개 시·군·구에서 실시된다.

보건복지부는 4일 62개 시·군·구, 83개 의료기관을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2차 시범사업 기관으로 선정해 새해부터 재택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이 지난해 5월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인 파티마의원(서울시 노원구 소재)에 방문, 장기요양 수급자 가정 방문진료에 동행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였다.(출처=보건복지부 누리집)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시범사업은 거동이 불편해 의료기관을 방문하기 어려운 장기요양보험 수급자의 가정에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가 방문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필요한 지역사회 돌봄자원 등을 연계해 준다.

이를 통해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이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해 결국 요양시설에 입소하거나 요양병원 등에 입원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차 시범사업은 2022년 12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실시했으며, 이용자의 의료이용변화 분석과 참여자의 만족도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의료이용변화 분석에서는 대리처방률 감소, 응급실 방문 횟수 감소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대리처방률은 32.4%에서 26.5%로 18% 감소했고 응급실 방문 횟수 0.4회에서 0.2회 줄었으며, 지난해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시범사업 평가연구(건강보험연구원) 조사대상 수급자·주수발자 중 94%, 의사·간호사 중 76%, 사회복지사 중 73%가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1차 시범사업 평가를 통해 2차 시범사업은 참여 지방자치단체와 의료기관을 확대하고, 이용 가능 대상자의 범위도 확대했다.

우선, 1차 시범사업은 28개 시·군·구에서 28곳을 운영했으나, 2차 때는 2027년 전체 시·군·구에 설치한다는 계획하에 62개 시·군·구의 83개 의료기관으로 확대했다.

시범사업 대상도 기존 장기요양 1~4등급을 5등급, 인지지원 등급까지 포함하도록 확대해 치매로 병원 방문이 어려운 어르신들도 가정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지난해 11월 15일부터 12월 8일까지 진행한 공모에서 73개 시·군·구, 110개 의료기관이 신청했으며, 62개 시·군·구의 83개 의료기관을 최종 선정해 이번 달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 제공을 시작했다.

재택의료센터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가 한 팀을 구성해 수급자 가정을 방문해 포괄평가를 실시하고 환자별 케어플랜을 수립한다.

수급자는 자신의 건강상태, 치료에 대한 욕구, 주거환경 등에 따라 방문진료 및 방문간호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사회복지사의 주기적 상담을 통해 기타 지역사회 및 장기요양 서비스와 연계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복지부는 재택의료 서비스 이용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미선정 지역을 중심으로 오는 12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추가 공모할 예정이다.

지자체는 지역 내에서 참여를 희망하는 의료기관과 업무협약 뒤 다음 달 2일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시범사업 참여기관 모집에 대한 자세한 안내 및 제출서류 등은 보건복지부 누리집(www.mohw.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염민섭 복지부 노인정책관은 “이번 시범사업 확대를 통해 어르신들이 살고 계신 곳에서 계속 거주하면서 의료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재택의료서비스가 더욱 활성화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분


시도


지자체


의료기관명


구분


시도


지자체


의료기관명


1


서울


강남구청


서울연세의원


21


경기


구리시청


느티나무의원


2


강북구청


건강의집의원


22


남양주시청


서울홈케어의원


3


서울봄연합의원


23


부천시청


부천시민의원


4


강서구청


정내과의원


24


중동한의원


5


365어울림한의원


25


성남시청


집으로의원


6


관악구청


정다운우리의원


26


수원시청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7


연세가정의원


27


홈닥터예방의학과의원


8


노원구청


서울의원


28


시흥시청


희망의원


9


파티마의원


29


안산시청


새안산의원


10


도봉구청


동동가정의학과


30


온내과의원


11


마포구청


무지개의원


31


안성시청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12


우리동네30분의원


32


서안성의원


13


성북구청


돌봄의원


33


용인시청


고려외과의원


14


송파구청


베스트의원


34


의왕시청


서울홈케어내과의원


15


은평구청


살림의원


35


의정부시청


편한자리의원


16


종로구청


종로구보건소


36


경기도의료원 의정부병원


17


서울36의원


37


이천시청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18


중랑구청


미래신경과


38


파주시청


연세송내과


19


서울신내의원


39


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


20


경기


고양시청


연세삼육오매일의원


40


포천시청


경기도의료원 포천병원


41


경기


화성시청


모두의원


62


강원


홍천군청


정성플러스의원


42


경희내외한의원


63


전남


나주시청


장수한의원


43


광주


광산구청


우리동네의원


64


담양군청


담양군보건소


44


북구청


맑은숨우리내과의원


65


순천시청


전라남도 순천의료원


45


양산한의원


66


여수시청


돌산성심의원


46


서구청


시니어통합의원


67


완도군청


고금의원


47


첨단가족연합의원


68


전북


고창군청


대산연합의원


48


대구


북구청


바른의원


69


완주군청


고산성모의원


49


수성구청


다올연합의원


70


익산시청


서동한의원


50


대전


대덕구청


민들레의원


71


전주시청


이상권가정의학과의원


51


민들레한의원


72


건강한마을한의원


52


동구청


원한의원


73


정읍시청


탑가정의학과


53


유성구청


성모외과의원


74


충남


당진시청


문속16형 대추밭한의원


54


노은바로한의원


75


천안시청


충청남도 천안의료원


55


중구청


푸른의원


76


해맑은한의원


56


김정철한의원


77


홍성군청


우리동네의원


57


부산


금정구청


민들레돌봄의원


78


충북


진천군청


진천의원


79


청주시청


김영태신경외과의원


58


인천


부평구청


평화의원


80


경남


거제시청


동방신통부부한의원


59


서구청


김성진한의원


81


경북


경산시청


소망의원


60


강원


원주시청


밝음의원


82


의성군청


의성군보건소


61


연세민내과의원


83


제주


제주시청


노형365준의원


문의 :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관 요양보험제도과(044-202-3495, 3494)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