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대한노인회 찾아 민경우 '노인 비하' 사과…與 "훈훈한 분위기"

최용락 기자 2024. 1. 4. 04: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대한노인회를 찾아 민경우 전 비대위원의 '노인 비하' 발언에 대해 "다 제 책임"이라며 사과했다.

회동 내용에 대해 김예령 국민의힘 대변인은 김 회장이 △ 대한노인회법 통과 협조 △ 대한노인회 교육연수원 신축 △ 노인의 날, 어버이날 기념식 대통령 참석 및 축사 △ 노인 시내버스 무임승차 허용 △ 노인 의료혜택 확대 △ 노인 수당 △ 정년제도 폐지 등에 대해 말했고 한 위원장은 "청취하는 입장이었다"고 기자들에게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은경 '사진 따귀' 때린 노인회장, 韓엔 "안 온 이재명과 달라" 칭찬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대한노인회를 찾아 민경우 전 비대위원의 '노인 비하' 발언에 대해 "다 제 책임"이라며 사과했다. 김호일 대한노인회장은 '더불어민주당과는 대응이 다르다'며 '훈훈한 분위기' 속에 사과를 받아들였다.

한 위원장은 3일 서울 용산 대한노인회를 찾았다. 김 회장은 "반갑다", "환영한다"며 맞이한 뒤 한 위원장의 두 손을 꼭 붙들고 기념사진을 찍었다.

자리에 앉은 한 위원장은 "국민의힘은 어르신들을 공경하는 정당이고 그래야만 한다"며 "처음 출범하는 과정에서 본의 아니게 마음 아프게 해드린 것은 다 제 책임이다. 정말 죄송하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구성원 모두 더 마음을 가다듬고 더 언행을 신중하게 하고 어르신을 공경하는 마음을 말로만 아니고 실천하도록 지시했고 저부터도 그렇게 하겠다"며 "저희가 어르신들에게 정말 더 잘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당 외부 단체를 방문한 것은 오늘이 처음"이라며 "제가 부족한 것을 사과 드린다는 의미도 있지만, 산업화를 일구고 대한민국을 여기까지 일군 여러분에 대한 존중과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 제 정치의 첫 출발이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도 밝혔다.

이에 김 회장은 "한강의 기적을 이뤄 경제 10대 강국을 만들었는데, 그런 노인한테 공을 치하하고 상을 줘야 할텐데 그 노인을 '빨리 죽으라'고 하면 벼락 맞아 죽을 사람 아닌가"라며 "인사 검증이 참 어려운가보다. 대통령도 장관을 내놓으면 흠이 그리 많은 사람이 많은데 한 위원장도 하필 노인 죽으라는 사람을 뽑았을까"라고 했다.

다만 김 회장은 "전에 김은경 전 민주당 혁신위원장도 여기 앉아 호되게 혼났는데 4일만에 왔고, 이재명 대표도 사과하러 온다더니 안 왔다"며 "한 위원장은 제가 (비판) 성명을 내니까 신속하게 하루만에 그 사람(민경우 전 비대위원)을 해촉하고 민첩하게 하니까 '대응이 확실히 다르구나. 젊은 분이 다르구나. 국민의힘이 희망이 좀 있겠다' 이런 느낌이 든다"고 사과를 받아들였다.

앞서 김 회장은 '노인 비하' 논란을 일으킨 김은경 전 민주당 혁신위원장이 지난해 8월 3일 대한노인회를 찾아 사과하자 "손찌검하면 안 되니까 사진이라도 뺨을 한 대 때리겠다"며 김 전 위원장의 얼굴 사진을 때렸다. (☞관련기사 : 김은경, 나흘 만에 공식 사과…혁신 동력도 '시들시들')

김 회장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의 1등 공신이 노인과 대한노인회라고도 강조했다. 그는 "지난 (대통령) 선거 때도 60대 이상이 67%를 찍어서 노인 표 때문에 윤 대통령이 당선됐다"며 "노인은 투표 잘 하지 않나. 젊은 사람은 마음에 따라 하기도 하고 안 하기도 하지만 노인은 투표하러 간다. 노인을 잘 관리하면 승리하는 표준이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내가 시도별로 내려가 연합회장, 지회장 다 모아서 직통을 열어놓고 (윤 대통령) 전화를 내가 다 바꿔줬다. 작년에 (윤 대통령과) 밥 먹을 때도 '회장님 다니면서 전화 바꿔주고 평생 못 잊는다' 이런 인사를 받은 사람"이라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저희는 4.10 선거에서 꼭 이기고 싶지만, 안 찍어주셔도 공경하겠다. 그건 정치가 아닌 도의의 문제고 기본을 지키겠다"고 화답했다.

한 위원장과 김 회장은 이날 비공개 회동도 했다. 회동 내용에 대해 김예령 국민의힘 대변인은 김 회장이 △ 대한노인회법 통과 협조 △ 대한노인회 교육연수원 신축 △ 노인의 날, 어버이날 기념식 대통령 참석 및 축사 △ 노인 시내버스 무임승차 허용 △ 노인 의료혜택 확대 △ 노인 수당 △ 정년제도 폐지 등에 대해 말했고 한 위원장은 "청취하는 입장이었다"고 기자들에게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굉장히 훈훈한 분위기로 어르신들 좋은 말씀을 들었다"며 "어르신을 공경하고, 현실적인 건강과 안전 등 시스템을 정비해나갈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3일 민경우 전 비대위원의 '노인 비하' 논란 사과를 위해 용산구 대한노인회 중앙회를 방문해 김호일 회장을 만나고 있다. ⓒ연합뉴스

[최용락 기자(ama@pressian.com)]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