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건설기계, 인니 사업 본격화… "현지 톱5 업체로 도약"

자카르타(인도네시아)=김동욱 기자 2024. 1. 3. 06:1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S리포트 - '알트 차이나' 거점, 인도네시아를 가다(2부)] ⑤소매 및 PDC 사업 시행

[편집자주]인도네시아가 중국을 대체할 새로운 '기회의 땅'으로 떠올랐다. 한국은 대(對)중국 경제의존도를 벗어나기 위해 수출 다변화와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한 거점으로 인도네시아를 주목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아세안 1위, 세계 16위 경제 대국으로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도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세계 4위 규모의 인구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테스트베드로서의 잠재력을 보유해 생산거점과 소비시장으로서의 가치도 높다. 머니S는 2024년 갑진년 새해를 맞이해 인도네시아를 찾아 한국 주요 기업들의 사업 현황과 전략을 살펴봤다. 현지 관계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인도네시아 진출에 필요한 조언을 들었다.

HD현대건설기계 인도네시아 법인. /사진=김동욱 기자
▶기사 게재 순서
<1부>
①'세계 4위 인구 대국' 인도네시아를 아시나요
②니켈매장 1위 인니… K-배터리 생명줄 쥔 자원보고
<2부>
①[르포] 인니에 이식된 '제2의 포스코' 크라카타우포스코
②[인터뷰] "인니 철강 성장성 커… 투자 확대로 매출 2배 늘린다"
③[르포] LS전선의 아세안 전초기지 'LSAGI'를 가다
④[인터뷰] "인니, 플랜트 확대에 전선 수요 급증… 캐파 2배 늘릴 것"
⑤HD현대건설기계, 인니 사업 본격화… "현지 톱5 업체로 도약"
⑥롯데케미칼, '라인 프로젝트'로 인도네시아 시장 정조준
⑦LX인터내셔널, '전략 지역' 인니서 미래 유망 사업 박차
⑧현대차그룹 '아세안 전동화 드라이브' 핵심 기지
<3부>
①[인터뷰] "인니 공략 만만찮아… 韓 기업, 중·일 네트워크 뚫어야"
②[인터뷰] "단기성과 지향, 인니서 100전 100패"
③[인터뷰] "기술력 뛰어난 韓 기업… 신도시 구축 프로젝트 함께 하고 싶다"

HD현대건설기계 인도네시아 법인이 사업 확대에 나섰다. 현지 정부의 사회기반 시설 재정비와 신수도 사업 추진으로 인해 건설기계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점유율 확대를 통해 인도네시아 톱5 건설기계 업체로 도약할 계획이다.

정승용 HD현대건설기계 인도네시아 법인 관리부장은 지난해 12월 자카르타 현지 사무실에서 기자와 만나 "성장기반 확충, 서비스 고도화, 밸류체인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다"며 "현재 7위인 현지 점유율 순위를 2027년 5위로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30만달러(약 30억원) 정도에서 1100만달러(140억여원)로 확대할 것"이라고도 했다.

2008년부터 도매사업만 했던 HD현대건설기계 인도네시아 법인은 지난해 소매사업으로 영역을 확대했다. 브랜드가 직접 판매하는 제품을 찾는 고객들이 늘었기 때문이다. 정 관리부장은 "광산 개발업체 등 현지 고객들은 메이커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직판을 선호한다"며 "시장 흐름을 따라가기 위해 소매법인을 개소했다"고 설명했다. "현지 톱5 중 최근 진출한 중국업체를 포함한 3개 업체가 직판을 시행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건설기계 부품을 판매하는 부품공급센터(PDC) 사업도 2023년부터 본격화했다. HD현대건설기계 인도네시아 PDC는 9000여종의 건설기계 부품을 취급한다. 물류 거점 역할을 하며 부품 조달 기간을 기존 5일에서 2일로 단축, 고객 편의성을 높였다. 부품사업 서비스가 만족도가 높아야 고객들이 건설기계 제품을 재구매하는 점을 감안, 앞으로 PDC 사업 비중을 높일 계획이다.

HD현대건설기계가 인도네시아 사업에 집중하는 배경에는 높은 성장성이 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인 약 2억8000만명의 인구를 보유한 대국이다. 청장년층(15~64세) 인구 비율이 70%에 육박하는 등 인적자원이 풍부하다. 인구가 꾸준히 늘면서 교통 및 상하수도 시설 등 인프라 정비 목소리가 커졌고 이에 발맞춰 개발사업이 추진될 전망이다. 개발사업 확대는 건설기계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신수도 사업도 기대감을 높인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한국 세종시를 벤치마킹해 약 40조원 규모의 수도 이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통령궁, 정부청사 등 정부 핵심구역 신설을 위한 건설 사업이 착공된 상태다. 정 관리부장은 "인도네시아 정부는 오는 2045년까지 총 5단계에 걸쳐 수도를 기존 자카르타에서 칼리만탄주 발릭파판 인근 지역으로 옮길 계획"이라며 "2024년 예정된 대통령 선거가 끝나면 사업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했다.

인력 수급은 과제다. 인도네시아 건설기계업계는 유능한 경력 인력이 제한적이다. 신입을 채용하기에는 업무 성과가 우려된다. HD현대건설기계 인도네시아 법인은 현지 톱5 업체에 준하는 급여와 복리후생을 제공하며 유능한 직원들을 채용할 계획이다. 직원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하고 선진 기업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인사(HR) 인력도 강화한다.

정 관리부장은 "점유율과 영업이익을 동시에 개선하는 게 쉽지 않겠지만 치밀한 전략과 과감한 실행력으로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자카르타(인도네시아)=김동욱 기자 ase846@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