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디비피아, 새해 첫 추천 논문에 ‘김건희 member yuji’ 선정

고병찬 기자 2024. 1. 1. 14: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학술 논문 검색 기관인 디비피아(DBpia)가 공식 에스엔에스(SNS)에 올해 첫날 추천 논문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의 'menber yuji' 논문을 소개했다가 한 시간 만에 삭제했다.

디비피아는 한겨레가 해당 게시글이 올라온 인스타 계정을 통해 새해 첫날에 김 여사의 논문을 추천한 이유를 묻자 답변 없이 업로드 1시간 만에 해당 게시글을 내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려
학술 논문 검색 기관인 디비피아(DBpia)가 1일 오전 11시께 공식 인스타그램에 올린 오늘의 논문추천 게시글. 디비피아는 이날 ‘menber yuji’로 논란이 된 김건희 여사의 ‘온라인 운세 콘텐츠의 이용자들의 이용 만족과 불만족에 따른 회원 유지와 탈퇴에 대한 연구’ 논문을 추천했다. 해당 게시글은 업로드 1시간 만에 삭제됐다. 인스타그램 게시글 갈무리

학술 논문 검색 기관인 디비피아(DBpia)가 공식 에스엔에스(SNS)에 올해 첫날 추천 논문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의 ‘menber yuji’ 논문을 소개했다가 한 시간 만에 삭제했다. 디비피아는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전날인 지난해 11월15일 수능 성적과 임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논문을 ‘수능을 잘 봐야 임금을 많이 받는다’는 취지로 소개하며 수능 응원 메시지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려 논란이 되기도 했다.

디비피아는 1일 올해 첫날 추천 논문으로 ‘온라인 운세 콘텐츠의 이용자들의 이용 만족과 불만족에 따른 회원 유지와 탈퇴에 대한 연구’를 선정해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렸다. 디비피아는 게시글을 올리며 ‘운세’, ‘새해’라는 해시태그를 달았다. 디비피아는 400만편의 전문 학술 콘텐츠를 전국 4년제 대학, 전문대학, 공공기관, 국책연구기관, 기업체, 글로벌 기관 등 2000여 곳에 서비스하고 있는 학술서비스로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 등을 통해 매일 1∼2편의 논문을 추천하고 있다. 해당 계정은 3만1000여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2007년 ‘한국디자인포럼’ 17호에 발표한 ‘온라인 운세 콘텐츠의 이용자들의 이용 만족과 불만족에 따른 회원 유지와 탈퇴에 대한 연구’ 표지

디비피아가 추천한 논문은 김건희 여사가 국민대 대학원 재학 시절 발표한 것으로 ‘회원 유지’를 가리켜 ‘member yuji’로 표기하는 등 부실·표절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지난해 9월 전국 14개 교수·학술단체가 모인 ‘김건희 여사 논문표절 의혹 검증을 위한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논문의 총 118개 문장 중 50개 문장이 그대로 복사하여 붙인 것”이라고 했다. 디비피아는 한겨레가 해당 게시글이 올라온 인스타 계정을 통해 새해 첫날에 김 여사의 논문을 추천한 이유를 묻자 답변 없이 업로드 1시간 만에 해당 게시글을 내렸다.

누리꾼들은 “디비피아가 또 사고를 쳤다”는 반응을 보였다. 앞서 디비피아는 지난해 수능 전날인 11월15일 엑스(X·옛 트위터) 공식 계정에 수능 성적과 임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논문을 ‘수능을 잘 봐야 임금을 많이 받는다’는 취지로 소개해 논문의 취지를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수험생에게 ‘성적이 전부’라는 메시지를 주는 게 적절치 않다는 비판을 받았다.

한 트위터 이용자는 해당 게시글을 갈무리한 사진을 올리며 “디비피아가 또…”라고 적었다. 해당 게시글을 본 박아무개(32)씨는 “어떤 의도에서 올렸는지는 모르겠지만, 디비피아를 운영하는 누리미디어에 세무조사가 들어가는 거 아닌지 걱정된다”라고 했다.

고병찬 기자 kick@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