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닷없는 '푸바오 할부지' 악플에 에버랜드까지 나섰다는데···도대체 무슨 일

이종호 기자 2023. 12. 31. 08: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자이언트 판다 '푸바오 할아버지'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에버랜드 강철원 사육사가 일부 네티즌들의 도를 넘은 악플에 시달리고 있어 에버랜드 측이 우려를 표하고 나섰다.

30일 에버랜드 유튜브 채널 '뿌빠TV'는 입장문을 내고 "최근 푸바오의 환경이 변화하는 것을 두고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다"며 "바오 패밀리를 사랑해주시는 마음은 감사하나, 사육사 개인을 향한 지나친 비난 또는 팬들의 과열된 댓글이 늘어나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푸바오와 할부지'
[서울경제]

자이언트 판다 ‘푸바오 할아버지’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에버랜드 강철원 사육사가 일부 네티즌들의 도를 넘은 악플에 시달리고 있어 에버랜드 측이 우려를 표하고 나섰다.

30일 에버랜드 유튜브 채널 ‘뿌빠TV’는 입장문을 내고 “최근 푸바오의 환경이 변화하는 것을 두고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다”며 “바오 패밀리를 사랑해주시는 마음은 감사하나, 사육사 개인을 향한 지나친 비난 또는 팬들의 과열된 댓글이 늘어나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직접적인 비방·욕설이 아니더라도 타인에게 불편감·불쾌감을 주는 댓글은 지양해달라. 타인을 저격하고 비난하는 글 또한 마찬가지”라며 “이에 해당되는 댓글들은 관리자의 모니터링 하에 삭제 조치될 예정”이라고 경고했다.

강 사육사는 35년간 에버랜드에서 여러 동물을 관리해 온 베테랑 사육사로 알려진 인물이다. 2016년부터 에버랜드 '개장 40주년'을 기념해 국내로 반입된 '러바오'와 '아이바오'를 돌봤고, 2020년 국내 최초로 판다의 자연분만 번식에 성공해 푸바오를 얻었다. 이후 올해에도 쌍둥이 판다 '루이바오'와 '후이바오'를 얻어냈다.

최근 푸바오가 지내던 실내 방사장 구조가 바뀐 게 알려지면서 팬들 사이에서는 “푸바오가 벌써 떠나는 게 느껴져 아쉽다”는 등의 반응과 함께 “홀대하는 것 아니냐”는 등의 주장이 나왔다.

왼쪽부터 '푸바오 할부지'로 불리는 강철원, 송영관 사육사. 아래에는 푸바오. /사진=삼성물산 제공

전날 강 사육사는 유튜브를 통해 “푸바오가 가기 전에, 그리고 아기 판다들이 나오기 전에 시설 보완을 해서 모두 즐겁게 지낼 수 있도록 한번 바꿔봤다”며 달라진 실내 방사장을 소개했다. 지난 7월 쌍둥이를 출산한 아이바오가 조만간 새끼들을 데리고 방사장으로 나올 것에 대비한 변화다.

영상에는 아직 어린 쌍둥이 판다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놀이봉을 아래쪽으로 옮겨 달고 바닥에 매트를 새로 설치하는 등 바뀐 방사장 모습이 담겼다. 이에 대해 일부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푸바오가 불편해 보인다”는 등의 지적이 나왔다.

강철원 사육사는 지난 7월 출산한 아이바오와 쌍둥이 새끼 판다들이 나오기 전 변화를 준 실내 방사장의 모습을 소개했다. 사진 유튜브 캡처

앞서 에버랜드 측은 최근 육아에 전념하고 있는 아이바오와 푸바오가 만나지 못하는 상황을 두고 네티즌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자 “현재 소통을 시키는 것은 독립의 완성단계에 있는 푸바오에게도, 육아 중인 아이바오에게도, 열심히 성장하고 있는 쌍둥이 아기들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설명한 바 있다.

푸바오는 내년 초 중국 반환이 예정된 상태다. 워싱턴 조약에 따르면 중국은 세계의 모든 판다를 자국 소유로 하고 해외에 대여하는 방식으로 수출하고 있다. 푸바오 역시 한국 출생이지만, 소유권은 중국 정부에 있어 만 4세 성체가 되는 즈음에 중국으로 돌아가야 한다.

이종호 기자 phillies@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