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은 사랑, 비평은 중독… 우리는 진창에서 별을 보죠”[오경진 기자의 노이즈캔슬링]

오경진 2023. 12. 29. 05: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설과 시를 읽는다는 게 잘 맞는 사람과 푹 빠져서 하는 사랑이라면, 비평은 지긋지긋하게 날 괴롭히지만 그래도 짜릿한 쾌락을 주는 중독적인 사랑이죠."

'문학동네' 겨울호에 실린 '비평과 사랑'이라는 글을 읽고 문학평론가 인아영(33)에게 다소 짓궂은 질문을 던지고 싶어졌다.

"사랑하면 각(角)이 생긴다." 그의 글 '비평과 사랑'은 이렇게 시작한다.

문학평론가 중에는 소설가나 시인을 함께 꿈꾸는 이들도 있지만, 인아영은 처음부터 비평이라는 행위에 관심을 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 90년생 문학평론가 인아영
사회 권력관계 헤집는 지성과
약자 향한 애정 돋보이는 신예
“세대론에 특별한 관심 없어요
‘구획’ 짓는 관성, 답습 아닐지…”
28일 서울 합정동 카페꼼마에서 만난 문학평론가 인아영은 “글을 잘 쓴다는 평가도 좋지만 ‘인성이 좋은 평론가’로 기억되고 싶다”면서 “속이 좁고 다른 사람을 존중할 줄 모르는 사람이 좋은 글을 쓴다는 건 상상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안주영 전문기자

“소설과 시를 읽는다는 게 잘 맞는 사람과 푹 빠져서 하는 사랑이라면, 비평은 지긋지긋하게 날 괴롭히지만 그래도 짜릿한 쾌락을 주는 중독적인 사랑이죠.”

‘문학동네’ 겨울호에 실린 ‘비평과 사랑’이라는 글을 읽고 문학평론가 인아영(33)에게 다소 짓궂은 질문을 던지고 싶어졌다. 시·소설 읽기와 비평 쓰기 중 무엇을 더 사랑하느냐고. 잠시 웃음 짓더니 이렇게 대답했다. “둘 다 사랑하죠. 조금 다른 방식으로요.”

신문과 문예지를 넘나들며 활약 중인 인아영은 요즘 문단에서 주목하는 신예 평론가다. 한국 사회의 권력관계를 헤집는 냉철한 지성과 함께 문학과 약자를 향한 애정 어린 시선이 돋보이는 글을 쓴다. 28일 서울 합정동 카페꼼마에서 만난 인아영은 “자신의 문제의식과 욕망이 무언지 알고 그것을 설명할 수 있는 언어가 있는 글은 좋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사랑하면 각(角)이 생긴다.” 그의 글 ‘비평과 사랑’은 이렇게 시작한다. 여기서 그는 비평이 ‘편집증적 읽기’와 ‘회복적 읽기’ 사이에 있는 그 무언가일 가능성을 탐구한다. 비평은 그동안 욕 아니면 칭찬 둘 중 하나였는데, 이제 ‘중간 지대’를 향할 때가 됐다는 얘기다. 인아영은 “텍스트에 충분히 푹 빠져서 고양되고, 나의 체험까지 뒤섞였을 때 비로소 (텍스트와) 거리가 생긴다”라고 했다.

학부에서 인류학·미학을 공부한 뒤 국문학 박사과정까지 수료했다. 그는 “인간 전반에서 예술, 그리고 문학으로 관심사를 점점 좁히는 과정이었다”고 설명했다. 문학평론가 중에는 소설가나 시인을 함께 꿈꾸는 이들도 있지만, 인아영은 처음부터 비평이라는 행위에 관심을 뒀다.

“글을 쓰는 매순간 고통을 느낍니다. 무슨 부귀영화를 누리려는 건지. 그러나 마감하고 나면 또 다음에 쓸 글을 생각하며 설레요. 좋은 소설과 시를 보면 흥분되고…. 아마 중독이 된 거겠죠. 종종 하는 게임에서 좀비나 몬스터를 죽일 때보다 비평을 쓸 때 도파민이 더 크게 분비되는 것 같아요.”

본인이 젊은 평론가임에도 ‘세대론’에는 특별한 관심이 없다고 했다. 한국 사회가 2030을 이른바 ‘MZ세대’로 이름 짓고 바라보는 것처럼 문학계에도 세대를 구분해서 바라보는 관성이 있는데, 이것이 자칫 ‘구획’과 ‘명명’이 필요한 윗세대의 시각을 비판 없이 답습하는 것은 아닐지 검열하고 반성하는 차원이다.

최근 출간된 인아영의 평론집에 붙은 ‘진창과 별’이라는 제목은 오스카 와일드의 희곡 ‘윈더미어 부인의 부채’에 나오는 한 대사를 인용한 것이다. “우리는 모두 진창에 있어요. 하지만 그중 누군가는 별을 보고 있죠.” 하지만 인아영은 진창과 별이 오히려 한없이 가깝다고 했다. 이 세계가 진창인 것은 알겠으나, 도대체 별은 어디 있다는 말인가.

“별은 아름다운 대상 그 자체라기보다는 그걸 추구하는 마음에 더 가깝습니다. 문학은 나를 형성한 조건과 행위의 관계를 사유하게 합니다. 나를 진창에 뒹굴도록 만든 현실이 있다고 했을 때 문학이 있다고 해서 여기서 바로 벗어날 순 없어요. 하지만 주어진 조건을 알아야 그다음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할 수 있잖아요. 더러운 현실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마음은 그래서 분리될 수 없는 것입니다.”

문학평론가 인아영은 1990년생으로 서울대에서 인류학·미학을 전공하고 국문과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18년부터 비평 활동을 시작했으며 현재 계간 ‘문학동네’ 편집위원이다.

오경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