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리바트 `맞춤형 공간 설계` 통했다

김수연 2023. 12. 28. 12: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대리바트가 경기 침체 속에서도 오피스 가구 부문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오피스 테일러는 개인의 체형에 맞춰 옷을 재단하는 테일러(재단사)처럼 현대리바트의 전문 컨설팅 팀이 각 기업의 업무 특성 및 조직문화 등을 고려해 최적의 공간 구성·키(Key) 컬러, 가구 사양 등을 제안하는 서비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리바트 오피스 가구 홍보 이미지. 현대리바트 제공

현대리바트가 경기 침체 속에서도 오피스 가구 부문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업종과 인원 등을 고려한 맞춤형 공간 컨설팅 서비스를 비롯해 유명 디자이너와 협업한 특화 제품 등을 앞세워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다양한 고객사 확보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현대리바트는 올해 자사의 오피스 가구 부문 매출이 역대 최대 규모인 1500억원에 달할 전망이라고 28일 밝혔다.

현대리바트 관계자는 "오피스 가구 부문 매출은 지난해 처음으로 1000억원을 돌파(1248억원)한데 이어 올해도 월평균 20% 수준의 고신장세를 기록 중"이라며 "부동산 경기침체로 가구시장이 전반적인 한파를 겪고 있는 와중에 오피스 가구 부문이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현대리바트는 사무가구 라인을 프리미엄 사무가구 '리바트 오피스'와 홈 오피스&사무가구 브랜드 '리바트 하움'으로 이원화해 오피스 가구 시장을 공략해왔다.

현대리바트 측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크게 변한 오피스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점이 사업 성장의 밑거름이 됐다고 보고 있다.

강민수 현대리바트 오피스사업부장 상무는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수평적 조직문화가 확산되고 휴식과 소통 기능이 중요하게 떠오르는 등 오피스 문화가 크게 변화한 점에 주목했다"며 "엔데믹 이후 오피스 시장 수요 증가에 맞춰 단순한 사무용 가구 공급 방식이 아닌 고객 니즈에 맞춘 차별화 콘텐츠 전략을 세운 것이 주효했다"고 말했다.먼저 기존 사무가구 업체들과 차별화된 '라운지 공간' 구현 역량이 매출 호조를 이끌었다고 보고 있다. 현대리바트는 우수한 업무 환경을 하나의 '복지' 개념으로 생각하는 MZ세대를 겨냥해 다채로운 색상과 디자인의 소파·테이블 등 오피스 라운지 전용 제품군을 선제적으로 개발했다.

현대리바트 관계자는 "국내 사무가구 브랜드 중 오피스 라운지 공간에 특화된 별도의 제품 라인업을 갖춘 곳은 현대리바트가 유일하다"며 "고객 사무 공간별 크고 작은 별도의 맞춤형 라운지 공간을 제안하고 있는데, 올해 고객사를 대상으로 한 사무공간 만족도 조사에서도 해당 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조사됐다"고 말했다.

또 현대리바트는 지난해 맞춤형 오피스 공간 컨설팅 서비스 '오피스 테일러'를 도입했다. 오피스 테일러는 개인의 체형에 맞춰 옷을 재단하는 테일러(재단사)처럼 현대리바트의 전문 컨설팅 팀이 각 기업의 업무 특성 및 조직문화 등을 고려해 최적의 공간 구성·키(Key) 컬러, 가구 사양 등을 제안하는 서비스다.

신규 서비스 도입 이후 오피스 가구 매출의 60%가 맞춤형 제작 물량일 정도로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또 누적 상담 신청 건수가 서비스 도입 1년만에 300건을 넘겼으며, 고객층도 스타트업 등 크고 작은 IT기업 등으로 다변화 되는 등 새로운 성장 요인이 됐다.

브랜드 고급화의 일환으로 글로벌 유명 디자이너와 협업 등을 통한 특화된 디자인과 기능을 갖춘 오피스 가구 라인업 강화도 눈길을 끈다. 현대리바트는 허먼 밀러의 대표 디자이너 출신인 제프 웨버와 손잡고 오피스 의자 '유니온 체어' 3종을 선보였다. 또 최근에는 최대 138°까지 기울어지는 '테크닉 의자'를 선보여 삼성·LG·HD현대 등에 도입했다.

현대백화점그룹 지주회사 현대지에프홀딩스 관계자는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며 "가정용 가구 시장을 넘어 오피스 가구 사업 부문에서도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시장 트렌드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말했다.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