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착카메라] "등불 같은 곳"…일요일만 문 여는 병원을 아시나요

권민재 기자 2023. 12. 27. 20:4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은 몸이 아파도 제때 병원을 찾아가 치료 받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이들을 26년째 무료로 돌봐주는 진료소가 있는데, 이주노동자들에겐 등불 같은 존재라고 합니다.

밀착카메라 권민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이른 아침부터 사람들이 모여 있습니다.

안쪽에 자리가 없어서 바깥쪽까지 줄을 섰는데요. 정부지원금 없이 기부와 봉사만으로 이뤄지는 이곳에선 이주노동자라면 누구나 무료로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성북구에 있는 라파엘 클리닉입니다.

이주 노동자들이 쉬는 일요일에만 문을 엽니다.

[지쿠치/나이지리아 이주노동자 : 오늘 제가 첫 번째로 도착했어요. 8시 5분에 왔어요.]

대부분 몸으로 하는 일이다 보니 성한 곳이 없습니다.

일하며 다치는 건 일상입니다.

[무하마드 시리프/이주노동자 : 손을 다쳤어요. 일하다가 다쳤어요.]

라파엘 클리닉엔 보통의 병원과 다른 풍경이 많습니다.

이렇게 접수하는 곳이 영어로도 안내돼 있고요.

진료 접수를 하고 나면 접수번호를 칠판에 하나하나 적어서 순서대로 진료를 받을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김창덕/라파엘클리닉 대표이사 : 크게…숨 크게 쉬세요. 크게 쉬세요.]

휴대폰 번역기에는 며칠을 끙끙 앓았던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제때 진료를 받지 못하다 보니 병을 키우는 경우도 많습니다.

[김만진/라파엘클리닉 치과의사 : 잇몸 아프다고 오셨는데 염증이 좀 심하네요 지금. 이가 썩어 문드러져서 오는 분들이 많아요. 치료를 못 받으시니까.]

이곳에서 목숨을 건진 이주노동자들도 있습니다.

9전 전 얼굴을 다친 레놀씨는 긴급수술을 받았습니다.

[레놀/필리핀 이주노동자·봉사자 : 토도 하고 피도 나왔어요. 그래서 선생님이 '빨리빨리 응급'이라고…]

고마운 마음에 지금은 다른 환자들의 통역을 돕고 있습니다.

타국에서의 겨울이 더 추울 이들에게 도움이 되고픈 마음은 모두 같습니다.

[박소윤/라파엘클리닉 약사 : 약사님들이 많이 못 오실 줄 알고, 시간 내서 온 건데 다들 그런 마음으로 오셨더라고요.]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은 체류 신분이 불안정 합니다.

보험 혜택도 받을 수 없습니다.

그렇다보니 조건없이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곳이 절실합니다.

[메꼬눈/에티오피아 난민 : (친구가) 보험이 없어서 돈 없어서. 여기 무료잖아요. 그래서 왔어요.]

하지만 아프다고 다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병원이 자원봉사로 유지가 되다보니 원하는 과목의 진료를 받지 못할 때도 있습니다.

그럴 땐 매주 오기도 합니다.

[다음 주에 다시 오세요. 오늘은 꽉 찼어요.]

누구든, 어디에서 왔든, 아프면 치료를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이 진료소가 26년째 문을 열고 있는 이유입니다.

[작가 강은혜 / VJ 박태용 / 취재지원 황지원]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