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줄고 '소소하고 암울한 내 얘기' 늘었다" [한국일보 신춘문예 응모작 분석]

진달래 2023. 12. 24. 1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의 기억은 희미해졌다.

시대상을 투영하는 신춘문예에서 올해 주를 이룬 소재는 청년, 지방, 노년, 기후 등이었다.

일률적인 소재 선택으로 하나의 주제 아래 쓰는 과거 시험 같다는 평도 있었다.

동화 부문 심사위원인 김남중 작가는 "가족 해체와 치매 할머니, 고양이, 교실 등의 소재가 자주 쓰였고 유아 동화라는 하나의 패턴에서 벗어나지 못한 작품도 많았다"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4 한국일보 신춘문예, 5개 부문 2,008명 응모
이달 11일 서울 중구 한국일보사에서 2024 한국일보 신춘문예 소설 부문 심사위원들이 작품을 심사하고 있다. 백지연(왼쪽부터 시계방향) 문학평론가, 김숨 소설가, 천운영 소설가, 문지혁 소설가, 이경재 문학평론가. 윤서영 인턴기자

코로나19의 기억은 희미해졌다. 시대상을 투영하는 신춘문예에서 올해 주를 이룬 소재는 청년, 지방, 노년, 기후 등이었다. 한 개인과 가족에서 출발한 글들이 타인과 사회로 확장하지 못하는 한계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지적됐다. 팬데믹이 야기한 단절과 고립, 경쟁적 현실 속에서 느끼는 좌절감과 패배감이 예비 작가들의 시선을 내면으로 파고들게 한 것으로 보인다. 안정적인 과거의 틀을 답습하는 경향도 아쉬운 점으로 꼽혔다.

이달 16일 심사 완료된 '2024 한국일보 신춘문예' 5개 부문에는 전년(1,854명)보다 154명 늘어난 총 2,008명이 응모했다. 부문별 응모자는 시 부문이 774명으로 전년(671명)보다 100명 이상 큰 폭으로 늘었다. 동화 부문은 243명으로 전년보다 37명이 더 지원했다. 소설 부문(631명)과 동시(259명) 역시 각각 소폭 증가했다. 희곡 부문(101명)은 전년(106명)보다 소폭 줄었다.


페미니즘 소재 줄고 '암울하고 안전한 자기 이야기들'

2024 한국일보 신춘문예 응모 현황. 그래픽=김문중 기자

한때 유행처럼 각광받던 성소수자, 페미니즘, SF 이야기는 확연히 줄었다. 대신 암울한 현실이 반영된, 자기 자신에 관한 고민을 담은 글들이 많았다. 시 부문 심사를 맡은 이수명 시인은 "시작은 일상 소재라도 보편적 이야기로 확장돼야 하는데, 자신의 소소한 이야기에서 멈춘 시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희곡 부문 심사자인 이성열 인천시립극단 예술감독 및 연출가는 "사회문제를 다룬 작품과 SF 작품이 모두 적어졌다"면서 "사회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현실에서 찾지 못해서 허구의 세계로 가는 것이 SF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소설 부문에서는 '유사(類似 )'가 하나의 키워드로 떠올랐다. 유사 연대, 유사 사랑, 유사 인생 등이다. 소설 심사위원인 문지혁 작가는 "가족과도 연대하지 못하고 무언가를 흉내 내며 살아가는 처지를 슬퍼하고 자기를 비하하는 글이 많았다"고 전했다. 집을 갖지 못한 것에서 느끼는 좌절감을 소재로 한 작품도 많았는데, 이는 응모자들이 실험보다는 안정을 택하는 흐름을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발랄함과 신선함은 부족했다. 지나치게 무해하고 착한 시선으로 쓴 응모작이 많은 점도 아쉬움을 남겼다.


"어린이를 '무균실 안의 존재'로 묘사해 한계"

이달 16일 서울 중구 한국일보사에서 2024 한국일보 신춘문예 희곡 부문 심사를 맡은 이성열(왼쪽) 연출가, 장성희 극작가가 응모작들을 고심하며 읽고 있다. 김예원 인턴기자

부문별로 보면 희곡에서는 대화를 이해하는 글쓰기가 부족했다. 희곡 심사위원인 장성희 극작가 겸 평론가는 "둘이 나눈다고 대화가 아니다"라며 "시대적 문맥을 갖고 (소통하는) 대화를 이해하는 글쓰기가 굉장히 적었다"고 설명했다.

아동문학에서는 어린이를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작품이 귀했다. 어린이도 전쟁, 폭력, 불공정 등 현실 문제와 맞물려 있는데, 무균실 안에 있듯 동떨어진 존재로 상정한 응모작이 대다수였다. 동시 심사를 맡은 김개미 시인은 "감정에도 작용이 있으면 반작용이 있는데, 응모작 대부분이 분노, 슬픔, 고통과 같은 감정은 미뤄두고 고요한 세계를 써가면서 (작가가 어린이에게) 보여주길 바라는 자아만 드러낸 느낌"이라고 말했다. 일률적인 소재 선택으로 하나의 주제 아래 쓰는 과거 시험 같다는 평도 있었다. 동화 부문 심사위원인 김남중 작가는 "가족 해체와 치매 할머니, 고양이, 교실 등의 소재가 자주 쓰였고 유아 동화라는 하나의 패턴에서 벗어나지 못한 작품도 많았다"고 전했다. 당선작은 내년 1월 1일 자 한국일보 지면에 발표된다.

진달래 기자 aza@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