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가 막혀, 어이 없네”…신형 카니발 타보니, ‘하극상’ 4천만원대 아빠車 [카슐랭]

최기성 매경닷컴 기자(gistar@mk.co.kr) 2023. 12. 20. 08: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짐차에서 다재다능한 패밀리카
가족 챙긴 아빠도 이젠 즐겨라
대체불가·비교불가 하이브리드
신구 카니발 비교 [사진출처=기아]
“주제파악 못하니 기가 막혀, 어이(어처구니)가 없네”

기아가 최근 출시한 신형 카니발을 타본 소감이다.

우선 카니발 자체가 어처구니없게도 자신의 주제를 모르는 ‘하극상’ 자동차다. 천대받던 ‘짐차’로 출발한 미니밴이었기 때문이다.

자웅을 겨뤘던 현대차 트라제XG가 2007년 단종된 뒤에는 ‘국가대표 미니밴’으로 자리잡았다. 더 나아가 국내에서는 인생역전 뺨치는 차(車)생역전을 통해 ‘패밀리카’로 신분 상승했다.

가격과 실용성 측면에서 수입차도 경쟁상대가 되지 않으면서 ‘대체불가·비교불가’ 다재다능한 패밀리카로 인정받았다.

여기서 만족하지 못했다. 값 비싼 하이리무진 모델은 연예인·정치인·기업인에 인기를 끌면서 ‘성공하면 타는 차’로 거듭났다.

신형 카니발 [사진촬영=최기성 매경닷컴 기자]
이 정도면 만족할 줄 알았다. 착각했다. 사람도 자동차도 욕심에는 끝이 없다.

신형 카니발의 이번 욕심은 운전을 담당하는 아빠 입장에서는 참 착하다.

패밀리카를 대표하는 아빠차, 성공하면 타는 차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운전자(주로 아빠)에게 신경쓰기 시작해서다.

‘모셔야’ 하는 2·3열 탑승자는 물론 운전자의 오감만족을 위해 디자인·성능·편의성 모두 향상했다.

더군다나 소비자들이 그토록 출시를 고대하던 하이브리드 모델(HEV)로도 나왔다. 시기도 딱 좋다.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보다 하이브리드가 각광받고 있어서다.

3년 만에 나온 상품성 개선 모델
신구 카니발 비교 [사진출처=기아]
새로 나온 더뉴 카니발은 2020년 8월 4세대 카니발 출시 이후 3년 만에 새롭게 선보이는 상품성 개선 모델이다.

가격은 290만원 가량 비싸졌다. 3.5 가솔린은 3470만원부터, 2.2디젤은 3665만원부터, 1.6 터보 하이브리드는 3925만원부터다.

얼굴은 확 바뀌었다. 기아 SUV인 쏘렌토, 대형 전기차인 기아 EV9과 형제라는 사실을 알려주도록 변경되면서 짐차 스타일에서 완전 벗어났다.

기아의 브랜드 디자인 철학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에 기반한 ‘현대적인 대담함(Modern Boldness)’을 콘셉트로 정제된 세련미와 SUV같은 강인함이 조화를 이룬 외관을 갖췄다.

신형 카니발 비교 [사진출처=기아]
전면부는 수직 형상의 헤드램프와 별자리 형상의 ‘시그니처 스타맵 라이팅’ 주간주행등(DRL)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를 구현했다. 선 굵은 패턴을 적용한 라디에이터그릴은 더 넓어졌다.

범퍼도 단순하면서도 단단하게 디자인됐다. 스키드 플레이트도 날렵하게 다듬었다.

측면부는 수직 형상의 헤드램프와 리어 콤비네이션램프가 직선의 캐릭터 라인을 따라 이어진다. 미니밴보다는 SUV에 어울리는 단단한 이미지의 알로이휠도 새로 적용했다.

후면부는 번호판의 위치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노출형 핸들을 없앴다. 더 넓고 깔끔한 테일게이트를 구현했다.

셀토스처럼 ‘스타맵 리어 콤비네이션램프’를 적용해 전면부와 통일감을 주면서 고급스러운 멋도 강화했다.

블랙 클래딩을 적용한 범퍼 하단부와 와이드한 스키드 플레이트도 단단한 이미지다.

외장 컬러는 이번에 추가된 아이보리 실버를 포함해 스노우 화이트 펄, 아스트라 블루, 오로라 블랙 펄, 판테라 메탈, 세라믹 실버 6종으로 구성됐다.

‘운전 고생’ 아빠도 알뜰히 챙겨드려요
신구 카니발 비교 [사진출처=기아]
실내는 평온함과 안락함에 초점을 맞춰 개선했다. A필러와 붙어있는 델타커버는 유리로 마감돼 운전시야를 좀 더 넓혀준다.

1열은 현대차 그랜저, 기아 쏘렌토와 닮았다. 각각 12.3인치인 클러스터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매끄럽게 연결해 더 고급스러워진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적용해서다.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ccNC’(connected car Navigation Cockpit)를 적용, 다양한 정보를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제공한다.

버튼 구성을 최적화한 인포테인먼트·공조 전환 조작계를 적용하고 앰비언트 라이트를 크래쉬 패드까지 확대 적용했다. 대용량 컵홀더도 적용했다.

패밀리카로 사용되는 만큼 승차감, 정숙성, 안전성에도 모두 공들였다.

카니발 하이리무진에 적용했던 쇽업소버를 최적화한 뒤 기본 적용했다. 과속방지턱 등 둔턱 통과 때 후석 탑승객의 멀미감을 개선해주고 조향 안전성을 높여준다.

흡·차음재를 보강하고 소음 발생 최소화 설계로 정숙성도 향상했다. 공간 정숙성을 강화해주는 2열 이중접합 차음 글라스도 장착했다.

신형 카니발 하이브리드 [사진촬영=최기성 매경닷컴 기자]
음성 인식으로 차량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존 음성인식’에는 1·2열 좌·우 좌석별로 발화 위치를 구분해 인식하는 기능과 웨이크-업(Wake-UP) 명령어 “헤이 기아”를 새롭게 적용했다.

넓은 공간에서 타격·진동 마사지 기능을 통해 휴식을 제공해주는 2열 다이내믹 바디케어 시트(7인승 전용), 야간에도 간편하게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2열 시트벨트 버클 조명도 달았다.

기아 디지털키2, C타입 USB 단자, 후드 가스리프터 등 고객 선호 사양도 새롭게 적용했다.

운전자를 위해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운전석 에르고 모션 시트, 디지털 센터 미러(DCM), 빌트인캠2, 지문 인증 시스템도 탑재했다.

패밀리카 가치를 높여주는 안전사양도 다양하게 구비했다. 레이더 센서 기반으로 안전사고를 방지해주는 후석 승객 알림, 8개의 에어백 등이 대표적이다.

커스터마이징 상품으로는 ‘마이컴포트 패키지’와 ‘스마트 후석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신규 적용했다.

마이컴포트 패키지는 H13 등급 헤파(HEPA)필터로 실내 공기를 정화해주는 ‘빌트인 공기 청정기’와 음료의 온도를 일정 시간 유지해주는 전자식 ‘냉온장 컵홀더(1열/2열)’로 구성됐다.

스마트 후석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14.6인치 풀 HD 듀얼 모니터를 통해 2열 좌석에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등 다양한 콘텐츠를 좌·우 독립적으로 즐길 수 있는 사양이다.

정숙하고 편안해진 하이브리드 아빠차
신형 카니발 하이브리드 [사진출처=기아]
시승차는 1.6 터보 하이브리드 모델이다. 시스템 최고출력이 245마력(엔진 180마력), 시스템 최대토크가 37.4kg.m(엔진 27kg.m)다. 복합 연비(19인치 기준)는 13.5km/ℓ다.

열선 스티어링휠과 열선(통풍 기능 포함) 시트는 꽁꽁 언 손과 몸을 빠르게 녹여준다. 대접받는 기분이 든다.

기어 변속은 신형 쏘렌토처럼 ‘어이’가 없는 다이얼 타입 전자식 변속기를 유지했다.

어이는 맷돌 손잡이(맷손)로 잘못 알려졌다. 하지만 맞춤법과 상관없이 손잡이라는 뜻으로 종종 사용된다. 자동차 기어 스틱도 어이로 해석할 수 있다.

스티어링휠에는 어처구니 없게도 고성능 차종에 주로 장착되는 ‘패들 시프트’가 달렸다. 주제 모르고 장착한 게 아니라 달리는 맛도 꽤 쏠쏠하다는 ‘무언의 증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도 짐차에서 벗어나 고급스러운 멋을 더해준다. 기아 차종 최초로 헬스케어 사양인 UV-C 살균 암레스트 수납함, 에어컨 광촉매 살균 시스템도 달았다.

다만 비용절감을 위해 플라스틱 소재로 마감된 도어 트림과 센터 콘솔박스는 ‘싼티’가 좀 난다.

신형 카니발 하이브리드 [사진출처=기아]
드라이브 모드는 에코, 스포츠, 스마트로 구성됐다. 역시 하이브리드다. 에코 모드에서는 조용하게 움직인다. 도로에서도 정숙한 편이다.

기존 카니발 디젤 모델을 타봤을 때 기분 나쁘게 타고 올라왔던 소음과 진동은 하이브리드 모델로 완전히 종식됐다.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가속할 때는 힘 부족이 느껴진다. 일상적인 주행에서는 문제 삼을 수준은 아니다. 운전이 불편해질 때가 되면 허리 디스크 보호 기능이 작동한다.

스포츠 모드로 바꾸면 에르고 모션 시트가 몸을 살짝 조여 준다.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을 밟으면 반 박자 반응이 빨라지고 치고 나가는 맛도 꽤 쏠쏠하다. 괴성을 내지르지는 않는다.

패들시프트로 수동 변속 기분을 느끼면서 달릴 수도 있다. 코너링 구간도 덩치에 비해 안정적으로 통과한다.

신형 카니발 하이브리드 주행 [사진출처=기아]
기아는 구동모터를 활용한 기술인 E-라이드(E-Ride), E-핸들링(E-Handling), E-EHA(Electrically Evasive Handling Assist)를 탑재해 승차감과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결과라고 설명했다.

E-라이드는 과속 방지턱을 통과하거나 가속하는 상황에서 구동모터 토크를 조정해 차량 흔들림을 줄여준다.

E-핸들링은 곡선로 진입과 탈출 때 구동모터의 가감속 제어를 통해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조향 응답성과 선회 안정성을 증대시켜 준다.

E-EHA는 전방 충돌을 피하기 위한회피 기동 때 전·후륜 하중을 제어해 회피 능력과 회피 후 차체 안정성을 향상시켜 준다.

왕복 80km 정도 되는 구간을 스포츠·에코·스마트 각각 3분의 1 정도씩 배분해 달렸다.

스포츠 모드에서는 급가속과 급출발도 수시로 테스트했다. 시승이 끝난 뒤 측정한 연비는 11.7km/ℓ로 나왔다.

에코 모드로 출발한 뒤 시속 20~100km/h로 3분의 1 정도 주행했을 때 연비는 16km/ℓ였다. 토요타 시에나 하이브리드만큼은 아니지만 꽤 괜찮은 연비효율성을 갖췄다.

보는 맛, 타는 맛, 달리는 맛 모두 ‘하극상’
신형 카니발 하이브리드 주행 [사진출처=기아]
신형 카니발은 가족에게 사람받는 다재다능한 패밀리카로 인기다. 차량 2~3대 역할까지 수행하기 때문이다.

상황에 따라 나들이용, 캠핑카, 화물운송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9인승 모델은 6명 이상 탑승하면 버스전용차로까지 이용할 수 있다.

더뉴 카니발은 가족을 위해 희생했던 아빠도 챙겨준다. 짐차 흔적을 완전히 없앴기 때문이다.

디자인은 투박함에서 탈피해 보는 맛이 난다. 운전자를 챙겨주는 허리 디스크 보호 기능과 에르고 모션 시트, 열선 기능은 타는 맛이 난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정숙하면서 기름 값도 아껴준다. 달리는 맛도 괜찮다.

가족도 아빠도 모두 알뜰히 챙겨주기 위해 상품성 개선을 넘어 혁신을 추구했다. 덩달아 ‘대체불가’ 아빠차 매력도 더 강화됐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