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심 “아들 상장·수료증, 위조는 아니지만... ‘셀프 수여’ 반성”

유종헌 기자 2023. 12. 18. 18: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들이 혐의 인정한 데 대해 “믿으면 안 돼” 주장도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아내 정경심 전 동양대 교수가 18일 아들 조원씨의 입시 비리 혐의와 관련된 2심 재판에서 아들 조원씨의 수료증이나 상장이 위조는 아니라면서도 이 같은 행위가 ‘셀프 수여’로 오해받을 수 있다는 생각을 못한 점을 반성한다고 했다. 정 전 교수가 피고인 신문에 응한 것은 2019년 9월 자녀 입시 비리 등 혐의로 기소된 이래 처음이다.

정 전 교수는 이날 서울고법 형사13부(재판장 김우수) 심리로 열린 공판에서 이 같이 증언했다. 정 전 교수는 그간 피고인 신문을 거부해오다 입장을 바꾼 데 대해 “이번이 아니면 기회가 없겠다는 생각에 정직하고 진실하게 이야기해보려 피고인 신문을 자청했다”면서 “우리 가족은 다 잃었고 다 내려놨다”고 했다.

자녀 입시비리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정경심 전 동양대 교수가 18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2심 속행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뉴스1

정 전 교수는 조원씨를 양육할 당시 유학 등 사정으로 제대로 돌보지 못했다면서 “늘 마음속에 아픈 손가락으로 남아 있다”고 했다. 특히 조씨가 고등학교 재학 시절 학교 폭력을 당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됐을 당시 “뒷통수를 세게 맞은 것 같았다”면서 “극단적 선택을 막으려면 제가 24시간 관리해야 한다는 생각밖에 없었다”고 했다.

그는 이런 사정 때문에 자신이 교수로 재직하던 동양대에 아들을 데려와 방학 프로그램에 참여시키고 격려를 위해 수료증과 상장, 봉사활동 확인서 등을 발급했던 것일 뿐 이것이 추후 문제가 될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감옥에서 깨달은 것은 이런 게 ‘셀프 스펙’이고 ‘셀프 상장’으로 보일 수 있겠다는 것이었다”라고 했다.

아들이 조지워싱턴대에 재학할 당시 조 전 장관 부부가 온라인 퀴즈를 대신 풀어줬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아들이 대인 기피증이 있어 스터디 그룹에 들지 못했다”면서 “혼자 공부하기 힘들다 그래서 ‘까짓것, 2인 스터디 하자’며 제가 도와주겠다고 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당시에는 부정행위라는 인식이 없었다”면서 “아들 친구들은 도서관에 모여서 문제를 푸는데, 아들은 혼자 기숙사에서 하니까 (도와주려 한 것)”라고 했다.

정 전 교수는 아들 조씨가 동양대 영어영재 멘토링 프로그램 봉사활동이 허위라고 인정한 데 대해서는 “제 아들 말을 진실이라고 믿으면 안 된다”는 주장도 폈다. 정 전 교수는 “(조씨와 함께 프로그램을 수료했던) 10대, 20대 애들이 전부 거짓말을 하더라”라면서 “아들이 검사님들한테 끌려가서 제정신으로 대답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또 서울대 공익인권법센터 인턴십 활동 예정 증명서 발급과 관련해선 “내가 직접 서울대 한인섭 교수에게 아들의 인적사항을 전달했다”는, 기존에는 하지 않았던 주장도 했다. 조 전 장관 부부는 1심에서는 조 전 장관이 한 교수에게 부탁해 인턴십 활동 예정 증명서를 발급받았다고 했었다. 검사가 “이 진술은 재판 들어와서 처음 하는 것 아니냐”고 하자, 정 전 교수는 “수사 때는 변호인이 진술을 거부하라 해서 안 했었고 오늘은 마지막으로 진실을 밝혀야겠다는 생각에 처음 말하는 것”이라고 했다.

남편인 조 전 장관에 대해서는 “한국 남자 중에서도 가장 아이들 교육에 관심 없는 아빠 중 하나로 부산 남자라 대화를 많이 하는 스타일이 아니다”라며 “원칙주의자로, 제가 거의 협박을 해야지 도와달라는 것을 도와주는 정도”라고 말했다.

정 전 교수는 증언 중간중간 울먹이기도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