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日 독점 깼다"…와이엠티, PCB소재서 '우뚝'

강경주 2023. 12. 18. 17: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99년 설립된 코스닥시장 상장사 와이엠티는 인쇄회로기판(PCB)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세정, 박리(표면을 벗겨내는 과정), 최종표면처리 공정에 쓰이는 부품실장용 화학소재를 제조한다.

PCB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대부분의 전자기기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기초 화학소재다.

와이엠티는 삼성전기, 대덕전자, 비에이치, 심텍 등 국내 유수 PCB 기업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성욱 와이엠티 대표
삼성전기·대덕전자 등에 납품
영업이익 40% R&D에 투자


1999년 설립된 코스닥시장 상장사 와이엠티는 인쇄회로기판(PCB)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세정, 박리(표면을 벗겨내는 과정), 최종표면처리 공정에 쓰이는 부품실장용 화학소재를 제조한다. PCB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대부분의 전자기기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기초 화학소재다. ‘소프트 ENIG’와 ‘ENEPIG’ 등이 와이엠티가 개발한 대표 소재다. 전성욱 대표(사진)는 “유일한 기술이 없으면 글로벌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고 18일 말문을 열었다.

와이엠티가 최근 개발한 ‘나노투스 극동박’은 두께가 1.0~2.0㎛인 저조도 동박으로, 초미세 공정에 사용되는 반도체 실장기판 소재로 쓰인다. 일본이 독점하고 있는 이 시장을 나노투스 극동박이 대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와이엠티는 삼성전기, 대덕전자, 비에이치, 심텍 등 국내 유수 PCB 기업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폭스콘 등 글로벌 기업에도 재료를 수출 중이다. 금도금 분야에선 우에무라와 오쿠노(일본), 무전해 동도금 분야에선 아토텍(독일), 전해 동도금에선 JPC(일본), 다우케미컬(미국), 맥더미드(미국), 극동박에선 미쓰이금속(일본) 등 글로벌 알짜 업체들과 경쟁해 이룬 성과다.

다수의 원천 기술을 개발해 국내 최고 표면처리 전문가란 평가를 받지만 시작은 쉽지 않았다. 대학에서 금속공학을 전공한 전 대표는 1990년대 전자산업의 성장을 보며 PCB 시장이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사업에 뛰어들었다. 당시 국내엔 표면처리 전문가가 없었다. 전 대표는 “독학으로 모든 것을 공부할 수밖에 없었다”고 떠올렸다. 무전해 니켈 도금 원천 기술을 확보했지만 기술력만으로 사업이 진행되지 않았다. 한때 직원들에게 월급 줄 돈이 없어 집문서를 담보로 맡긴 끝에 한 대기업과 거래를 트면서 PCB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2013년 338억원이던 매출은 지난해 1306억원으로 늘었다. 영업이익의 40%를 연구개발(R&D)에 쏟아붓는다는 전 대표는 “전체 직원 중 30%가 R&D 인력”이라며 “박사급 7명에, 석사급도 20여 명 보유해 화학재료 쪽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탄탄한 전문가군을 구축했다”고 자부했다. 그는 “독학으로 터득한 ‘기술 감각’을 후대에 물려주는 것이 마지막 역할”이라고 덧붙였다.

인천=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