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국방대 이전 약속 '체력단련장 지원' 이행

윤신영 기자 2023. 12. 14. 14: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방대학교의 충남 논산 이전 약속인 체력단련장 조성을 위해 충남도가 나섰다.

도와 국방대, 논산시, 국방대발전기금은 14일 도청 상황실에서 '국방대 체력단련장 조성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도는 2007년 국방대의 논산 이전이 확정된 이후 2010년 이전 지원 계획을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에 제출하고 2020년 '이전 지원 사업에 관한 협약'을 체결, 이전 종사자 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해오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방기관 이전·유치 협력 약속도
충남도와 국방대, 논산시, 국방대발전기금은 14일 도청 상황실에서 '국방대 체력단련장 조성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왼쪽부터 백성현 논산시장, 김태흠 충남도지사, 임기훈 국방대 총장, 황인무(재)국방대발전기금 이사장. 사진=충남도 제공

국방대학교의 충남 논산 이전 약속인 체력단련장 조성을 위해 충남도가 나섰다.

도와 국방대, 논산시, 국방대발전기금은 14일 도청 상황실에서 '국방대 체력단련장 조성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김태흠 도지사와 임기훈 국방대 총장, 백성현 논산시장, 황인무 국방대발전기금 이사장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국방대는 1955년 8월 15일서울에서 국방대학으로 창설돼, 지난 2007년 12월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논산 이전을 확정한 이후 10년 만인 2017년 7월 논산시 양촌면 일원 69만 7202㎡부지에 완공됐다.

도는 2007년 국방대의 논산 이전이 확정된 이후 2010년 이전 지원 계획을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에 제출하고 2020년 '이전 지원 사업에 관한 협약'을 체결, 이전 종사자 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해오고 있다.

이번 협약은 지난 2020년 체결한 이전 지원 사업에 관한 협약의 지원 사항 등을 현실화시키기 위해 추진됐으며, 협약 기관은 앞으로 국방기관의 충남 이전·신설에 관한 협력관계도 강화할 방침이다.

주요 협약 내용은 △체력단련장 조성 사업비 지원 △각종 인허가 등 행정절차 적극 지원 △국방 관련 기관 이전·신설 및 지역발전 협력 등이다.

특히 도는 협의를 통해 체력단련장 이용 대상을 국방대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 앞으로 도내 이전·신설되는 국방기관까지 넓혀 국방기관의 도내 이전·신설의 이점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조성 중인 국방대 체력단련장은 논산시 양촌면 국방부 부지 내 24만 7084㎡(9홀) 규모로 클럽하우스, 그늘집, 카트보관소, 코스 관리소 등으로 구성되며 2025년 9월 건축공사를 완료하고 시험 운영해 오는 2026년 초 개장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으로 기존 288억 원(국비 98억 원, 도비 190억 원)에서 도비 110억 원이 늘어 총 398억 원을 투입한다.

김 지사는 "이번 협약은 충남에 대한 국방대의 믿음에 답하는 자리"라며 "국방대가 충남을 믿고 이전한 만큼 도는 당초 190억 원이었던 사업비를 300억 원으로 늘리고, 조속한 행정절차로 임기 내 사업을 마무리 지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민선 8기 도는 국방클러스터의 완성이라는 큰 틀 안에서 국방기관을 유치하고 있다. 국방대가 있고 3군본부와 육군훈련소가 있는 논산과 계룡에 국방기관이 집중돼야 한다"며 "앞으로 도는 국방미래기술연구센터를 유치한 것처럼 국방기관 이전과 지원에 도정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며 국방대의 협력을 요청했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