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장판에 라텍스 침구 '화재 위험'..."제조사 적극적인 안내 필요"

양동훈 2023. 12. 13. 02: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추운 날씨에 몸을 따뜻하게 데워 주는 '전기장판류' 제품은 라텍스나 메모리폼 침구와 함께 사용하면 화재 위험이 크다고 합니다.

그런데 많은 소비자가 이런 사실을 잘 모르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화재 위험이 큰 만큼, 제조사와 판매자가 지금보다 더 확실히 경고 표시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양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충남 천안에 사는 A 씨는 새로 산 전기장판을 켜둔 채 외출했다 들어와 깜짝 놀랐습니다.

타는 냄새가 나서 확인해보니, 전기장판에 불꽃이 튀고 있었던 겁니다.

녹아서 끊어진 열선은 전기장판 밖으로 삐져나왔고, 이불과 침대 매트리스까지 갈색빛으로 그을렸습니다.

놀란 가슴을 쓸어내리고 제조사에 문의한 A 씨는, 전기장판을 메모리폼 매트리스 위에 올려놔서 생긴 문제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라텍스나 메모리폼은 열전도율이 낮아 내부에 열이 계속 쌓이게 되기 때문에, 전기장판과 함께 사용하면 화재 위험이 큽니다.

업체에서는 고장 난 전기장판은 환불해 주겠지만 매트리스와 이불 비용 등 화재에 대한 보상은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화재 위험을 이미 설명서 등을 통해 안내했다는 이유를 들었습니다.

하지만 안내 글자가 작고 강조 표시도 없어서 아주 꼼꼼하게 보지 않으면 A 씨처럼 모르고 사용하기 쉽습니다.

[A 씨 / 제보자 : (다른) 전기장판을 5년 정도 썼었는데 별 이상이 없어서 (설명서를) 한 번 훑어보고 (사용했는데,) 메모리폼과 같이 쓰면 안 된다는 점을 잘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지난 2018년부터 작년까지, 전기장판류 전열 기구 때문에 발생한 화재는 천179건에 달합니다.

전문가들은 이런 상황에서도 위험 안내 문구가 눈에 잘 띄지 않게 적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업체들이 사고 책임을 지지 않으려고 '면피용'으로 표시하는 수준이라는 겁니다.

[공하성 /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위험 문구를) 조그마하게 표시해 놓고, (그런데) 위험성은 상당히 높죠. 더 명확하게, 큼지막한 글씨로 소비자들이 쉽게 눈에 볼 수 있도록 주의사항을 안내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더 나아가 설명서 없이도 확인할 수 있게 제품에 직접 위험 안내 문구를 부착하거나, 삽화 등으로 더 이해하기 쉽게 화재 위험을 알리도록 표시 의무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양동훈입니다.

촬영기자 : 도경희

YTN 양동훈 (yangdh0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