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움을 보자 의로움을 잊다, 올해의 사자성어 '見利忘義'

정순민 2023. 12. 10. 15: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교수신문이 2023년 올해의 사자성어로 '견리망의(見利忘義)'를 꼽았다.

교수신문은 올해 전국 대학교수 1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견리망의'가 응답자 30.1%(396표)의 지지를 얻어 가장 많이 꼽혔다고 10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수신문이 2023년 올해의 사자성어로 ‘이로움을 보자 의로움을 잊다’라는 뜻의 '견리망의(見利忘義)'를 꼽았다. 사진=뉴시스

교수신문이 2023년 올해의 사자성어로 '견리망의(見利忘義)'를 꼽았다. 논어 헌문편에 나오는 이 말은 '이로움을 보자 의로움을 잊다'라는 뜻이다.

교수신문은 올해 전국 대학교수 1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견리망의'가 응답자 30.1%(396표)의 지지를 얻어 가장 많이 꼽혔다고 10일 밝혔다.

'견리망의' 휘호를 직접 쓴 김병기 전북대 명예교수는 "지금 우리 사회는 견리망의 현상이 난무해 나라 전체가 마치 각자도생의 싸움판이 된 것 같다"며 "정치란 본래 국민들을 '바르게 다스려 이끈다'는 뜻인데 오늘 우리나라 정치인들은 바르게 이끌기보다 자신이 속한 편의 이익을 더 생각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개인 생활에서도 분양사기, 전세사기, 보이스피싱 등 '나만 잘 살면 된다'는 생각이 정당화되다시피 해 씁쓸하다"며 "사회 전체가 견리망의의 전시장이 된 느낌"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당장 내 아이의 편익을 위해 다른 아이나 선생님의 피해를 당연시하는 사건들도 올해 유독 많았다"며 "견리망의 하면 우선은 풍요를 누릴 수 있을지 모르나 결국은 모두가 공멸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교수신문은 이밖에도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의 '적반하장(賊反荷杖)'을 비롯해 '함부로 피리 부는 사람의 숫자를 채운다'는 뜻의 '남우충수(濫竽充數)', '흙탕물이나 숯불 속에 떨어졌을 때의 괴로움'을 뜻하는 '도탄지고(塗炭之苦)', '여러 의견이 뒤섞여 혼란스럽다'는 의미의 '제설분분(諸說紛紛)' 등이 뒤를 이었다고 밝혔다.
#사자성어 #교수신문 #견리망의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