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캐프리오도 줄선 아트페어 …'K미술' 美친 존재감

김슬기 기자(sblake@mk.co.kr) 2023. 12. 7. 17: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슈퍼볼급 미술장터
아트바젤 마이애미비치
VIP 1만명 1시간 줄서 입장
'밤의 화가' 264억원에 판매
"美 미술시장 회복력 확신"
이우환·박서보·이승택 …
韓작가들에 뜨거운 관심
지난 6일(현지시간)미국 마이애미에서 열린 아트바젤 마이애미비치 머리디언스 섹션에 이승택의 '지구놀이'가 설치된 모습. 아트바젤

미국 최대 아트페어에 지구가 두둥실 떠올랐다. 거장 18명의 미술관급 규모 전시를 선보이는 '머리디언스' 섹션에는 이승택의 1990년대 대표작 '지구놀이'가 설치됐다. 지구 위성사진을 유화로 그린 7m 크기 집채만 한 풍선 앞에서 관람객들은 사진 촬영에 여념이 없었다. '슈퍼볼급 아트페어(미술장터)'에 상륙한 이승택을 비롯해 이우환, 박서보, 하종현, 이불, 서도호 등 한국 작가들의 존재감은 남달랐다.

아트바젤 마이애미비치가 지난 6일(현지시간) VIP 프리뷰를 시작으로 10일까지 이어지는 5일간 여정에 돌입했다. 마이애미비치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올해 마지막 초대형 아트페어에 이목이 집중되는 것은 불황의 여파가 내년에도 영향을 끼칠지에 대한 가늠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놀랍게도 이날 최고가 3500달러(약 462만원)에 달하는 티켓값에도 VIP 관람객 1만여 명이 쏟아져 들어왔다.

이번 아트페어에는 34개국 277개 화랑이 참가했다. 미국 대표 휴양도시 플로리다에서 열리는 만큼 참가 화랑 60%가 북미와 남미 지역인 것이 특징이다. 마약과 총격이 연상되던 '범죄도시' 마이애미를 미술의 수도로 만들어내는 기적을 쓴 아트페어는 21년째 '순항' 중이다.

264억원에 팔린 필립 거스턴의 '밤의 화가'. 하우저앤워스

6일 오전 11시부터 파트너사인 BMW의 반짝이는 세단을 탄 VIP들이 차례로 도착했다. 우아한 복장으로 들어선 '큰손'들의 줄이 끝없이 늘어서 입장에만 무려 1시간 넘게 걸렸다. 화려한 휴가를 즐기는 인파는 오후로 갈수록 늘어났다. VIP 중에는 배우 리어나도 디캐프리오와 재러드 레토, 세리나 윌리엄스 등이 보였다.

불황 우려 속에서 메가 화랑들은 신중하게 중고가 위주 작품을 걸며 '체급 조절'에 나섰다.

뉴욕의 헬리 나마드 갤러리가 파블로 피카소, 프랜시스 베이컨, 장 뒤뷔페 작품을 걸었고 애쿼벨라 갤러리는 앙리 마티스와 피카소 작품 등을 소개했지만 고전 걸작이 많지는 않았다. 전반적으로 1000만달러(약 130억원)를 넘는 고가 작품은 실종됐지만 10만~30만달러 중고가 작품들은 불티나게 팔렸다.

이번 페어 최고가 작품은 야레스 아트가 출품한 프랭크 스텔라의 1958년 검은 회화 '델타'로 4500만달러(약 600억원)였다. 메가 화랑 가고시안도 간판 작품으로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추상화'(1000만달러)와 제프 쿤스의 '깨진 달걀'(500만달러)을 대표작으로 걸었다.

리슨갤러리에 설치된 이우환의 '관계항'과 '조응'. 마이애미 김슬기 기자

구매는 신중해졌지만 일부 슈퍼 리치는 거침없었다. 개막 직후 하우저앤워스 갤러리는 필립 거스턴의 걸작 '밤의 화가'(1979년)를 개인 소장가에게 2000만달러(약 264억원)에 팔았다. 이날만 조지 콘도의 '웃는 귀족'을 240만달러에, 헨리 테일러의 '메이드 인 멕시코'를 100만달러에 파는 등 수천만 달러 판매액을 올렸다.

마크 페이요 하우저앤워스 회장은 "미국 미술 시장의 힘과 회복력에 대한 엄청난 확언을 얻은 날"이라며 "첫 1시간 동안 수집가, 큐레이터, 박물관에 대부분의 작품을 팔았다"고 말했다.

지구 반대편 마이애미와 한국은 그동안 인연이 많지 않았다. 이번에도 국내 참가 화랑은 두 곳뿐이다. 국제갤러리는 장미셸 오토니엘이 플로리다에서 거주하던 시기 만난 패션플라워를 그린 연작 페인팅과 대형 조각만으로 '솔로 부스'를 꾸렸다. 갤러리현대는 신성희, 유근택 등 처음 소개한 한국 작가 작품을 판매한 데 이어 4억원대 이건용 추상화와 3억원대 정상화·이승택의 작품 등을 팔았다.

놀랍게도 한국 미술은 해외 화랑을 통해 '훨훨' 날았다. 리슨갤러리에는 이우환의 초대형 돌과 철판을 이용한 '관계항'이 추상화 '조응'과 나란히 설치돼 눈길을 끌었다. 런던 화이트큐브 부스에는 박서보의 1975년작 '묘법'이 걸렸고, 페이스에서는 이우환과 이건용의 추상화가 소개됐다.

[마이애미 김슬기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