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⑰스크리닝→선별검사…과기정통부 전문용어표준화협의회 표준용어

박정연 기자 2023. 12. 5. 10:2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편집자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가 어느 정도 진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우리 사회는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기상 재해 등 과학기술과 관련된 이슈가 지속적으로 불거지고 있습니다. 우주개발, 양자컴퓨팅, 챗GPT 등 첨단 과학기술도 어느새 피부로 체감할 정도로 성큼 다가오고 있습니다. 정부는 국가전략기술을 선정하고 과학기술 중심의 패권 경쟁을 선도하겠다고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알려지는 다양한 전문용어는 국민들이 편하게 받아들이기에는 너무 어렵습니다. 동아사이언스는 국어문화원연합회와 수년째 과학기술, 의학 용어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높이는 방안을 찾는 기획을 진행했습니다. 올해는 정부가 의지를 보이고 있는 국가전략기술 관련 용어들을 들여다보고 국민들의 세금이 투입되는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기획을 진행합니다.

외래어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과학기술분야 전문용어는 일반 국민이 즉각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각 용어가 통일되지 않은 채 사용되는 일도 흔하다. 유통이나 생산 과정에서 혼란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정부 차원에서 전문용어 표준화 작업에 나선 이유다. 앞서 지난 2018년 제정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훈령에 따라 과기정통부 전문용어표준화협의회가 구성됐다. 이 협의회는 과기정통부 국어책임관이 위원장을 맡으며 국어전문가와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가 등 민간위원 5명 이상이 참여한다. 

협의회는 2021년 전문용어표준화협의회 의결을 거쳐 이듬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시를 통해 '과학기술 분야 전문용어 표준화' 작업 목록을 발표했다. 당시 등장한 최신과학기술 용어들을 다뤘다.

협의회 고시 최신판에는 총 72개 용어에 대한 표준 용어가 담겼다. 각 대상용어와 최종화 작업이 이뤄진 표준 용어(괄호 안)는 다음과 같다.

과학기술 분야에선 15개 용어가 표준화 대상이 됐다. CCS(탄소포집저장), IP(지식재산), ISS(국제우주정거장), SI(선택성지수), TEM(투과성 전자 현미경), 그레인(결정구조), 데이터사이언스(데이터과학),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디지털전환), 스크리닝(선별검사), 씨드볼트(종자보관소), 트랜스미션(변속기/변속장치), 프로톤(양성자), 하울링(소리울림), 회전블레이드(회전날개), 데이터 디바이드(데이터격차) 등이다. 

방송통신 분야에선 57개 용어가 표준화 대상이 됐다. 먼저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등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이는 16개 용어다. OTT(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PP(방송 채널 사용 사업자), SO(종합 유선 방송 사업자), ROS(원격 조작 서비스), 언택트(비대면), 공격용 툴킷(공격 도구 모음), 그린 IT(녹색정보기술/친환경정보기술), 노치 필터(특정 주파수 차단기),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잠입형 악성코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디엠비), 디지털 셀프출판(전자책 자가출판), 매니지드 서비스(위탁관리 서비스), 멀티 플랫폼 게임(다중 플랫폼 게임), 무선 랜(무선랜),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가입자 식별 칩/유심(USIM), 블루투스(블루투스) 등이 있다.

어플리케이션(앱)과 같이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서비스와 관련된 용어들도 대상 용어에 선정됐다. 킬러 앱(돌풍 앱), 사운드 카드(사운드카드), 소모(모바일 사무실), 쇼퍼라마(드라마 쇼핑), 스마트폰(스마트폰), 스파이웨어(스파이웨어), 스팸(스팸), 안티 사이트(반대 사이트), 앱 스토어(앱 장터), 얼리어답터(앞선사용자), 엔스크린(스크린 이어보기), 오디오 북(소리책), 웹마스터(누리지기), 위젯(위젯), 유비쿼터스(두루누리/유비쿼터스), 유에스비(유에스비(USB)), 재난 방송(재난방송), 전자 바우처(전자이용권), 전자파 장해(전자파 장해), 좀비 PC(좀비피시(PC)), 증강 현실(증강현실), 지상파 DMB(지상파 디엠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초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 초기화(초기화), 클라우드 컴퓨팅(클라우드 컴퓨팅, 구름 컴퓨팅), 클릭랩 라이선스(화면 계약), 키 로거 공격(자판 정보 탈취), 키보드 보안(자판 보안) 등이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 등도 표준화 대상 용어에 포함됐다. 탈옥폰(해제폰), 템피스트(누설 전자파 감지 기술/템페스트),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투명)휘는 디스플레이), 파워블로거(유명 블로거), 블러그 앤 플레이(바로 사용/플러그 앤 플레이), 하이브리드(혼합형/하이브리드), 혼 스피커(나팔 스피커), 홈 네트워크(홈 네트워크), AT·적정 기술(적정 기술), DTG ·디지털 운행 기록계(디지털 운행 기록계), NUI(동작 인식 인터페이스/앤유아이(NUI)), PDA·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개인용 정보 단말기), URL·인터넷 위치(인터넷 주소) 등이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