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박웅서 박사, 한국경제 발전사 다룬 '신국부론' 영문판 출간…세계 개발도상국 '경제 성공 바이블' 역할 기대

안수민 2023. 12. 4. 16: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박웅서 박사의 신간 영문 저서 '신 국부론, 한국경제 기적의 반복(New Wealth of Nations; Repeating the Korean Economic Miracle)'에 대한 평가다.

박웅서 박사는 1940년대부터 현재까지 경제,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관점에서 한국경제의 발전을 다루고 있다.

한국경제의 발전을 세계에 대변하기 위해 전문 용어가 아닌 알기 쉬운 단어를 사용해 영어로 출간했다.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국부론

'신국부론은 한국 경제 발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변화하는 한국 사회의 성격과 그 성격을 소개하는 신념, 한국의 정치적·군사적 상황 그리고 그 밖의 많은 것들을 다룬 한국경제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를 훨씬 뛰어넘는다' -드와이트 H. 퍼킨스 하버드대 교수-

'신국부론은 한국에 관심이 있다면 누구나 꼭 읽어야 할 책이다. 이를 통해 한국의 성공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한국이 세계에서 경제 강국으로 발전한 방법을 문화, 정치, 글로벌 상황에 대한 설명을 통해 제시한다.' -조 듀베리 KAIST 교수-

박웅서 박사

박웅서 박사의 신간 영문 저서 '신 국부론, 한국경제 기적의 반복(New Wealth of Nations; Repeating the Korean Economic Miracle)'에 대한 평가다. 박웅서 박사는 1940년대부터 현재까지 경제,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관점에서 한국경제의 발전을 다루고 있다.

호주 멜보른 대학교 경제학 교수, 한국 산업연구원 연구부장 등을 거쳐 1983년 이병철 회장 직속 삼성그룹 국제화 계획·반도체 전략팀에 몸담으면서 산업계에 첫발을 내딛었다. 이후 삼성전자 부사장, 삼성석유화학 사장, 삼성 경제 연구소 사장을 지낸 그는 한국경제 발전사의 굵은 획을 그은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박웅서 박사는 외국인 독자를 겨냥해 영문판으로 출간했다. 그는 “지난 70여 년에 걸쳐 한국은 세계 최빈국에서 10대 선진국이 되었고, 국방력과 방위 산업 기술에서 4대 강국이 되었다”면서 이는 인류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며, 이 거대한 변환의 궤적은 그 자체가 모든 개발 도상국가들이 배우고 반복해야 할 위대한 체험이며 지적 자산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은 90대가 된 개발 세대부터 MZ세대까지 각 개인적 목표와 국가적 목표를 배합해 오늘의 기적적 결과를 초래했다”면서 “지혜로운 공동의 노력을 가감없이 기술하고 이를 모든 개발도상국에 알리기 위해 영어로 기술했다”고 설명했다. 한국경제의 발전을 세계에 대변하기 위해 전문 용어가 아닌 알기 쉬운 단어를 사용해 영어로 출간했다.

박웅서 박사는 “신국부론에서 한국의 성공이 모든 세계인의 희망인 이유를 찾기를 바란다”면서 '제 1장 한국의 패러독스(Ⅰ. The Korea Paradox)' 부터 시작해 제 12장에 걸쳐 다음과 같이 그의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다.

-토지개혁과 전쟁으로 2500만의 농노와 소작농을 일시에 자산보유 중산층으로 만들어 미래 한국경제 성장의 수혜자가 되게 만든 이야기.(19445-1950)

- The story about how Korean land reform and the following war transformed 25 million serfs and tenant farmers into an asset-owning middle class at once, making them beneficiaries and participants of Korea's economic growth. (19445-1950)

- 20년 후 미래 소득을 위해 열화같이 교육에 투자하는 특이한 국민성과 고졸 80%가 대학에 가는 가분수 교육 구조로 오늘에는 필요 불가결한 고급 인재를 대량 키워온 맹목적 교육열과 인간 가치 상승 작업의 이야기. (1945-전기간)

- A story of an unusual national character that invests heavily in education for future income of 20 years ahead and the blind belief that education will raise their human market values. The top-heavy educational structure, where 80% of high school graduates go to college that turned into a blessing in disguise by providing the indispensable high-quality professionals later. (1945-now)

- 정미소, 차 정비소, 건어물 도매상 주인들과, 트럭 운전수들을 강제로 국제적 기업가로 변신시킨 군사 정권의 경제 계획. 고품질 경공업 제품의 대량 생산과 수출주도 성장모델. 종합상사의 방대한 해외 지점망 구축으로 중소 생산업체들의 수출 창구 대행. 전 국가와 기업을 수출 일꾼으로 변신시킨 이야기 (1960 - 1970)

- economic plan that forced owners of rice mills, car repair shops, dried fish wholesalers, and truck drivers to transform into international entrepreneurs. Mass production culture of high-quality light industrial products settled in Korea and an export-led growth model was born. Integrated Trading Houses with massive number of foreign offices became the export windows for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This is a story of transforming entire country, companies, and people into export agents (1960 - 1970)

- 어떤 외국인도 직접 투자하지 않는 휴전중인 국가. 외자 차관형 성장 모델과 경영 의사결정의 독립. 세계 은행도 거부한 중화학 전자공업에 무리한 진출. 때마침 다가온 1차 석유 위기로 한국의 중화학, 전자,기계 산업이 달러박스 중동에 진출, 교두보 구축에 성공(1970 년대 초)

Korea was a country under cease-fire and no foreign investors wanted to send their capital and technology. A model of economic development by borrowing was born. Nobody wants to compete in the international markets with the products made by their Korean subsidiary. This investment by borrowing gave Korean corporations the independent managerial decision-making power that they used in heavily investing in electronics, machinery and automobiles, ship-building, and petrochemicals in early 70s, which the world thought unreasonable and irresponsible. The arrival of the first oil crisis saved this Korean adventure by the equally venturesome orders from the Mid-Eastern dollar boxes. (early 1970s).

-월남전 종식과 주한미군 철수 시작으로 기업별 무기산업 강제 진입. 군사정권 종식과 초기 민주주의 제도 운영의 한계로 중진권 정체 징조. 선진권 진입을 위한 무리한 경제 관리로 97년 위기 초래. 재도약의 발판 제공 (1970-2000)

With the end of the Vietnam War and the withdrawal of US troops from Korea, nearly all Korean major companies were forcefully assigned with a part of weapons industry. Role of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hit the wall and full democratic system was restored but instantaneous and massive freedom led to a massive chaos showing the sign of middle income country stagnation syndrome. The weak spot of over-borrowing hit with a crisis. (1970-2000)

- 우리경제의 암이라 불리던 대기업 의존형 성장의 공과. 거대 기술, 자본집약 산업 중심 모델. 고급 일본제품과 저가 중국제품 사이에서 탈출. 선진국 최상위와 결판. 산업별로 최정상 안착. 대기업 중심의 한국 모델로 최첨단 기술 도전 성공.. (1960 - 2010)

- Growth led by large corporations was regarded as a cancer of our economy. Unlike that of Taiwan, this is a model that challenges the best and strongest of the global industries requiring massive capital and the best technology. Escaping squeeze between high-end Japanese products and low-priced Chinese products required a showdown with the top among the developed countries. Korea survived in this ultimate survival game. Jaebol model worked.(1960 - now)

- 기술 민족주의를 무기로 기술 자립에 전 국가가 도전. 정부주도 대학, 기업 연구소 협력으로 목표 지향성 공동 협력 연구 체계가 미국 모델 능가. 초기부터 기술 실용주의적 발전전략의 지배. 소련의 붕괴로 기술과 기술자 유입. 유럽이 포기한 제조업을 유지 발전시켜 중진국 정체를 사전 방지, 성장 에너지 유지 (1965-전기간)

- The entire country challenges technological independence using technological nationalism as a weapon. Goal-oriented collaborative research system through cooperation between research centers of government, universities and corporations proved cheaper than the DARPA model. Techno-pragmatism culture prevailed.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led to an influx of Russian technology and technicians. Middle-income country stagnation was prevented by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at many European countries abandoned. (1965-now)

- 90년대 세계경제의 디지털화를 앞두고, 무조건 전국을 인터넷 망으로 연결, 이제는 세계 제1의 디지털 경제 달성. 제조업 기술과 디지털 연결성을 융합하여 존재하지 않던 세계최초 신제품 신경제 발명. (2000-전기간)

Ahead of the digitalization of the global economy in the 1990s, the entire country was forcefully and inexpensively connected with the Internet network. Now Korea became the most connected country. By combining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digital connectivity Koreans now habitually invent and install the world's first new product and service that did not exist. (2000 - now)

안수민 기자 smah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