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년 전 멸종한 줄 알았던 황금두더지…보더콜리가 찾았다

김지숙 2023. 12. 4. 10: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모습을 감춰 멸종된 줄 알았던 황금두더지가 86년 만에 발견됐다.

이번에 남아프리카공화국 놀로스 항구 인근 해변에서 발견된 디윈턴황금두더지(Cryptochloris wintoni)가 마지막으로 목격된 것은 1937년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애니멀피플]
1937년 목격 이후 처음 발견돼
황금두더지 절반이 멸종위기종
1937년 이후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던 디윈턴황금두더지가 86년 만에 발견됐다. 장 피에르 르루 제공

2차 세계대전 이후 모습을 감춰 멸종된 줄 알았던 황금두더지가 86년 만에 발견됐다. 이번에 남아프리카공화국 놀로스 항구 인근 해변에서 발견된 디윈턴황금두더지(Cryptochloris wintoni)가 마지막으로 목격된 것은 1937년이다. 황금두더지는 반질반질한 털과 눈이 퇴화한 얼굴 탓에 ‘대충 생겨 귀여운 두더지’로 유명하다.

황금두더지는 아프리카 남부 지역 토착종으로 모래를 파고 들어가는 습성을 지닌 소형 식충 포유류다. 종에 따라 크기는 다르지만, 평균 8~20㎝ 정도로 작은 몸집을 지니고 있으며 털에는 기름진 분비물이 흘러 몸이 ‘황금빛’을 띠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름진 털 덕분에 모래 터널을 잘 만든다고 한다. 모래 속에 몸을 숨기고 있어 발견이 어려운 종이기도 하다. 21종의 황금두더지 가운데 10종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야생동물 보호활동가들은 2년간 남아프리카 서해안 지역을 조사했다. 장 피에르 르루 제공

야생동물 보호활동가들은 2년간의 노력 끝에 디윈턴황금두더지 발견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레토리아 대학 사만다 민하르트 박사와 멸종위기 야생동물 기금(Endangered Wildlife Trust, EWT) 활동가들은 과학저널 ‘생물다양성과 보전’ 최근호에 “남아프리카 서해안의 토양 환경디엔에이(eDNA) 연구를 통해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한 디윈턴황금두더지 존재를 확인했다”고 지난달 11일 밝혔다.

어두컴컴한 땅속에서 생활하며 눈이 퇴화한 황금두더지 소리와 진동을 민감하게 감지한다. 연구진은 땅속을 재빨리 파고 숨는 황금두더지를 찾기 위해 보더콜리종 탐지견 ‘제시’의 도움을 받았다. 후각으로 황금두더지를 찾도록 훈련받은 제시는 모래사장에서 황금두더지의 냄새를 맡으면 멈춰 섰고, 연구진은 이때 모래 샘플을 채집했다.

연구진은 하루 최대 18㎞의 모래 언덕을 수색했고, 총 100개의 샘플을 채집했다. 이들은 환경 디엔에이 기술을 이용해 황금두더지가 굴을 파고 이동할 때 모래에 남겨진 피부 세포, 소변, 대변, 점액 등을 검출했다. 그 결과, 모래에서는 두 마리의 디윈턴 황금두더지의 흔적이 검출됐다. 연구진은 2021년 현장 조사 때 디윈턴황금두더지를 실제로 목격했지만, 황금두더지들은 종이 달라도 겉모습이 흡사하기 때문에 발견 사실을 확정하지 못했다. 이번에 환경 디엔에이분석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디윈턴황금두더지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확인한 것이다.  

1937년 이후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던 디윈턴황금두더지가 86년 만에 발견됐다. 리와일드(re:wild) 제공

코버스 테론 멸종위기 야생동물 기금 선임 활동가는 “많은 사람들이 디윈턴황금두더지가 살아있다는 사실을 의심했지만 저는 아직 멸종하지 않았다는 믿음이 있었다. 이제 우리는 디윈턴황금두더지가 여전히 살아있다는 미스터리를 풀었을 뿐 아니라 멸종위기에 처한 다른 종을 조사할 수 있는 환경디엔에이 추적법을 알게 됐다”고 가디언에 말했다. 환경디엔에이 분석은 생물이 환경에 남기는 극미량의 유전자를 증폭해 어떤 종인지 가려내는 연구법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디윈턴황금두더지의 생존을 확인했을 뿐 아니라 멸종위기에 처한 다른 세 종의 황금두더지 개체군을 추가로 발견했다. 이들은 디윈턴황금두더지가 발견된 놀로스 항구 인근에 건강한 개체군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만 이곳은 다이아몬드 광산이 있는 채굴 지역으로 황금두더지들의 서식지 위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 논문: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DOI: 10.1007/s10531-023-02728-2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