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월째 '이동식 주택'‥이재민들 막막한 겨울나기

이아라 2023. 12. 4. 07: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투데이]

◀ 앵커 ▶

영하의 추운 날씨가 이어지고 있는데, 지난 4월 강릉 산불 피해를 입고 갈 곳이 없어진 이웃들은 어디에서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요?

8개월째 이동식 주택에서 임시로 지내며 막막한 일상을 이어가고 있다는데, 이아라 기자가 만나고 왔습니다

◀ 리포트 ▶

송림으로 둘러싸여 아늑했던 마을.

다 타버린 소나무를 베어내고 나니 이제는 칼바람이 그대로 들이칩니다.

지난 4월 산불에 집이 전소되면서, 4인 가족 겨울옷 하나 못 건졌습니다.

[최영주/이재민] "두꺼운 옷도 하나하나 다 장만해야 되는데 또 그것도 만만치도 않고…"

바닥은 그야말로 '냉골'.

시청에서 얻은 얇은 매트리스로 찬기를 막아봅니다.

매일 찬물로 설거지하다 보니, 손이 빨갛게 텄습니다.

[김광영/이재민] "(난방이) 꺼지면 차가워졌다가 다시 안 켜져요." <그럼 자다가도 일어나셔서 다시 켜셔야겠네요?> "네네."

단열도, 난방도, 시원찮은 이동식 주택 생활은 날이 추워질수록 더 혹독합니다.

[안영자/이재민] "이런 데로 눈이 들이칠까 봐 겁나지 뭐. 비만 오면 여기 막 (들이)쳐요, 비가."

펜션과 주택 등 건물 20여 채가 있었던 펜션단지입니다.

현재 이재민들의 이동식 주택과 새로 짓는 건물들이 뒤엉켜 거대한 공사장이 됐습니다.

폐허가 된 마을에 공사를 시작한 집은 4가구뿐입니다.

자잿값이 크게 오르면서, 보상금으로는 다시 펜션을 지을 수도 없습니다.

[산불 피해 펜션 주인] "설계 도면을 뺐는데, 이걸 지으려면 15억(원)이 든대요. 근데 보험금은 한 3억 5천(만원 보상받았는데…)"

전기와 수도 등 감면 혜택도 대부분 끝났고, 은퇴 자금으로 펜션을 매입했던 사람도 많아 생계도 막막합니다.

[산불 피해 펜션 주인] <은퇴 자금으로 펜션을 지으셨던 거예요?> "네. 수입원이 아무것도 없죠. 임시 일이라도 조금 해볼까 하고…"

산불 피해로 관광객이 크게 줄면서 남은 숙박업소들도 사정이 어렵기는 마찬가지입니다.

[펜션 사장 (음성변조)] "(예약이) 없어요. 복층을 5만 9천 원에 내놨거든요. 근데도 없어요." <가격을 얼마나 내리신 거예요?> "절반."

강릉 경포 산불이 발생한 지 8개월이 지났지만, 전체 이재민 중 80%, 117세대는 아직 이동식 주택에 머물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아라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이아라 기자(ara@mbceg.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today/article/6549613_36207.html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