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알리·테무 공습에..."국내 소상공인 다 죽는다"

김민우 기자 2023. 11. 30. 16:2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 관세, 환경부담금 내가며 장사할 때...중국 기업은 혜택만
소상공인들 "기울어진 운동장 바로 잡아야"

알리익스프레스(알리), 테무 등 중국 직접구매(직구) 쇼핑몰의 고속 성장으로 초저가 가성비 제품을 팔아온 국내 중소상공인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국내 소상공인들은 중국 기업이 직접 판매하는 상품들이 가격 경쟁력에 무료배송까지 무기로 장착한데다 국내 소상공인들에게만 부여된 각종 의무로 인한 '기울어진 운동장' 때문에 경쟁이 어렵다고 토로한다.

국내 소상공인들은 상품 제조, 수입을 위해 관세, 통관비용은 물론 환경부담금까지 부담해야 하는 반면 중국 판매자들은 이같은 우리 정부의 규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30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 3분기 중국 직구액은 8193억원으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뛰었다. 3분기 전체 해외직구액 1조6300억원의 절반이 중국 직구액이다.

중국 직구가 커지면서 해외직구 무역수지 불균형은 더 커졌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누적 직구·역직구 수지 적자는 3조 6811억 원으로, 이미 연간 기준 역대 최대치였던 지난해(3조 4823억 원)를 넘어섰다.

알리와 테무, 쉬인 같은 중국 앱들의 '초저가 공세'가 고물가를 맞아 국내에서 특수를 누리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알리의 10월 사용자수는 613만명으로 지마켓(582만명)을 제치고 국내 쇼핑몰 3위에 올랐다. 지난 7월(476만명)과 비교해 3개월 만에 약 140만명 가량 늘어났다.

문제는 급성장으로 패션·잡화·가전·공산품 등 초저가 상품을 팔아온 국내 소상공인들이 직격탄을 맞게 됐다는 점이다.

알리가 판매하는 주력 상품 상당수는 단돈 몇백원에서 1만원 이하 가격대의 상품군이다. 초저가 상품인데다 무료배송을 해주다 보니 상품가격이 5000원 미만인 생활용품점 다이소에 납품하는 중소기업들과 오픈마켓 등에 1만원대 전후 물건을 판 초저가 셀러들이 직접적인 사정권에 놓였다.

해외에서 수입을 하는 국내 소상공인들이 취급하는 물품은 통관비용·관세·물류비 등을 감안하면 제품 가격이 20~30%씩 비싸질 수밖에 없다. 반면 알리 등을 통해 국내 소비자들에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들은 구매자가 1회 구매비용을 150달러를 넘지 않으면 무관세 혜택을 적용받는다. 150달러를 넘더라도 관세는 소비자가 부담하는 형태다.

게다가 국내 인건비 등을 감안할 때 품질을 낮춰도 알리와 비슷한 가격대의 '메이드 인 코리아' 제품을 만들기도 어렵다. 중국 판매자들은 무료 배송 프로모션 혜택을 누리고 있지만 한국 소상공인들은 배송대행업체를 써가며 물류비에 적지 않은 돈을 써야한다.

ㄱ휴대폰 케이스 업체 대표 최모씨는 "중국 OEM 공장에서 폰케이스를 들여오려고 했는데 알리에 동일 제품 판매가가 우리 조달가격이랑 같아 수입을 여러 번 포기했다"며 "삼성이나 LG 노트북 보호필름이나 액세서리 등 알리가 이 분야에서 상품 전선을 확대해나갈 경우 타격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소연했다.

부산의 ㄴ여성화 제조업체 대표 김모씨도 "신발업에 뛰어든 지 20년 만에 최대 위기"라고 했다. 그는 국산 공장에서 만드는 제품 50%, 나머진 해외 병행수입(OEM)으로 온라인 쇼핑몰에 2~3만원대 '초저가 가성비' 신발을 팔아왔다.

김 대표는 "플라스틱 슬리퍼 100족을 수입하면 연간 최소 200만~300만원을 부담금으로 내야 해서 상품에 100~200원의 원가가 붙는다"며 "알리에서 신발을 수만개씩 파는 셀러들이 그런 부담까지 떠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현재 중국 직구 플랫폼의 국내 진출로 인해 커진 중국 직구 시장은 '공평한 경쟁의 장'이 아니라 '기울어진 운동장' 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내년에는 알리가 한국에 물류센터를 본격적으로 설치하는 등 중국 직구 쇼핑몰의 한국 시장 진출이 더욱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황이 이러다 보니 한국 정부에서 국내 소상공인 생태계를 보호할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알리가 국내 이커머스 시장 잠식을 넘어 소상공인들의 생존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만큼, 정부가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할 시점"이라고 했다.

김민우 기자 minuk@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