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꽃게가 서러워"…연평어장 대풍년에 가격 폭락, 어민은 `한숨`

박양수 2023. 11. 28. 09: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서해 연안의 수온이 높아지면서 연평어장의 꽃게 어획량이 가을 어기 기준으로 최근 5년간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인천시 옹진군에 따르면 올해 봄 어기(4∼6월)와 가을 어기(9∼11월 23일 기준) 연평어장의 꽃게 어획량은 169만2000㎏로, 2019년부터 올해까지 최근 5년간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올 가을에 꽃게 어획량이 급증한 이유는 가을 어기에 서해 연안 수온이 높아지자 꽃게가 연평어장으로 모여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해 연안 수온 높아지자 꽃게 몰려들어
5년만의 최대 어획량에 뚝 떨어진 꽃게값
어획고 늘었지만 어획량 못 따라잡아
경매 중인 연평도 가을 꽃게. [연합뉴스]

올해 서해 연안의 수온이 높아지면서 연평어장의 꽃게 어획량이 가을 어기 기준으로 최근 5년간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인천시 옹진군에 따르면 올해 봄 어기(4∼6월)와 가을 어기(9∼11월 23일 기준) 연평어장의 꽃게 어획량은 169만2000㎏로, 2019년부터 올해까지 최근 5년간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연평어장의 꽃게 어획량은 2019년에는 72만1000㎏, 2020년 102만1000㎏, 2021년 136만3000㎏, 2022년 112만8000㎏이다.

올해는 가을 어기 어획량이 126만6000㎏로 전년 같은 기간의 69만5000㎏보다 배 가까이 늘어 '꽃게 풍년'을 이뤘다.

올 가을에 꽃게 어획량이 급증한 이유는 가을 어기에 서해 연안 수온이 높아지자 꽃게가 연평어장으로 모여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서해 연안 수온은 올 가을 들어 점차 올라 지난 10월 중순에 최고 20도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같은 달의 18도보다 2도 높은 수치다.

이수정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연구사는 "꽃게가 수온에 민감한 어종이어서 더 높은 수온 쪽으로 몰리는 경향이 있다"며 "이 때문에 온도가 높은 서해 연안으로 꽃게가 모여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연구사는 "지난 10월 셋째 주에 연평어장 수온이 가장 높은 20도를 기록했고, 이때부터 어획량이 많이 늘었다"고 말했다.

옹진군에 따르면 10월에 잡힌 연평 꽃게는 61만5000㎏에 달해 가을 어기 전체 어획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9월 꽃게 어획량인 30여만㎏의 두배가 넘는 어획량이다.

이같은 꽃게 대풍년을 맞았지만, 총판매액인 어획고는 어획량 증가 추이에 못 미쳤다. 꽃게 공급이 수요를 초과해 위판 가격이 낮아진 데 따른 것이다.

올해 가을 암꽃게 활어의 kg당 최고 경매가는 1만1000원대로, 지난해 1만3000원대보다 낮았다. 최저 경매가도 6000원대까지 떨어져 지난해 1만2000원대의 절반 수준이었다.

그로 인해 올해 어획량이 지난해보다 50% 넘게 늘어난 반면 어획고는 166억원으로 지난해 112억원보다 48% 늘어나는 데 그쳤다.

어민들도 어획량 증가만큼 실제로 손에 쥐는 수입이 늘지 않아 실망하는 분윈기다. 연평도 주민 김모씨는 "어민들이 우스갯소리로 올해 꽃게가 '똥값' 됐다고들 한다"며 "꽃게가 적게 잡혀도 걱정이지만 많이 잡혀도 위판가가 뚝 떨어지기 때문에 걱정이 더 많다"고 말했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