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방렴에 멸치 씨가 말랐다…"30년 만에 처음"

김영민 2023. 11. 27. 22: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멸치잡이로 유명한 전통적인 어구인 죽방렴에서는 요즘 멸치를 구경하기조차 힘듭니다.

어민들은 30년 만에 처음 보는 광경이라며 망연자실한 모습입니다.

김영민 기자입니다.

[기자]

깔때기 모양의 구조물이 바다 한가운데 설치돼 있습니다.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고기잡이 방식인 '죽방렴'입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이곳에서는 하루 평균 100kg가량의 멸치가 수확됐지만, 올해는 사정이 다릅니다.

배를 타고 죽방렴 안으로 들어가 봤습니다.

고기가 모이는 곳인 '발통'은 텅 비어있습니다.

죽방렴에서 방금 건져낸 그물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꽃게와 정어리 등이 전부입니다.

멸치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바닷속을 들여다봐도 부유물만 보일 뿐, 멸치 떼를 찾긴 어렵습니다.

어민들은 수확량이 이렇게 줄어든 건 30년 만에 처음이라고 말합니다.

<박대규 / 죽방렴 자율관리공동체위원장> "이맘때쯤 되면 멸치가 죽방렴 가득 차서 사흘 나흘 이동시켜야 하거든요. 그렇게 가공한다고 힘들었는데…."

최근 3년간 죽방 멸치 수확량은 지난 2020년 55톤에서 2021년 31톤, 지난해에는 30톤으로 점차 줄어들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여름철 고수온 등을 이유로 보고 있는데, 아직 명확한 원인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문성용 / 남해수산연구소 연구사> "지난 8월 남해 연안에서 형성된 평년 대비 1.5 ~ 2.5도 높은 이상 고수온 영향으로 멸치 어군들이 남해 주 어장 밖으로 분산됐습니다."

세계농업유산 등재 심사를 앞둔 죽방렴 어업.

어민들은 멸치가 잡히지 않으면 농업유산도 아무런 의미가 없다며, 금어기 시기 조정과 혼획 금지와 같은 규제 완화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영민입니다.

#멸치 #남해 #죽방렴 #정어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