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화이트로 채운 복층 아파트 인테리어 리모델링 사례

조재희 2023. 11. 27. 09: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복층의 이점을 살린 아파트 리모델링 사례.

홍예디자인은 건축주의 취향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블랙, 그레이, 화이트 컬러를 바탕으로 메인이 되는 층에는 LDK와 침실 등 일상적인 공간을, 복층에는 프라모델을 만들고 전시할 수 있는 취미 공간을 배치했다.

집안의 어느 곳도 허투루 낭비되지 않는 옹골찬 공간 구성과 건축주의 필요가 여실히 반영됐으며, 취향이 듬뿍 담긴 모던한 복층 아파트 리모델링이 완성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상과 취미를 조화롭게 누리는 공간



복층의 이점을 살린 아파트 리모델링 사례. 편리한 동선과 탁 트인 개방감, 취미까지 모두 누리는 모던하면서도 중후한 공간이 완성됐다. 깔끔하고 직선적인 집에서 보낼 앞으로의 시간은 다채롭고 유연할 것이다.

건축주는 평범하고 획일화된 아파트 평면에서 벗어난 나만의 공간 구성에 대한 열망으로 홍예디자인에 리모델링을 의뢰했다. 건축주는 40대 남성이고 직업은 건축가이며 직선적이고 깔끔한 모던 스타일을 선호하였다. 또한 영화 감상, 프라모델 조립 등의 취미생활을 할 수 있는 독립된 공간과 함께 완성된 프라모델을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을 원했으며 가족들과 지인들이 며칠씩 머물 수 있는 게스트룸도 필요로 했다.

(위, 아래)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메인 생활공간.
아일랜드는 거실을 향하도록 하고, 한쪽 벽면 전체에는 키큰장을 적용해 수납과 정리, 생활에 편의를 더한 주방. 간단한 식사는 아일랜드 바 테이블에서, 편안하게 식사를 할 때는 아일랜드 뒤쪽, 창 앞의 식탁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볼륨감 있는 조명 대신 심플한 라인등을 매입해 모던한 분위기를 더했다.



SECTION




기존 아파트는 연식이 오래됐고 확장도 되어 있지 않은 상태였다. 그러나 가장 꼭대기 층이어서 내부에 있는 계단을 통해 복층으로 올라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홍예디자인은 건축주의 취향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블랙, 그레이, 화이트 컬러를 바탕으로 메인이 되는 층에는 LDK와 침실 등 일상적인 공간을, 복층에는 프라모델을 만들고 전시할 수 있는 취미 공간을 배치했다. 이때 이 집의 가장 큰 특징인 복층 구조를 부각해 시원하고 입체적인 공간을 만드는 데 중점을 뒀다.

더구나 복층의 바닥, 즉 메인층의 천장이 콘크리트 슬래브가 아니라 철거가 가능한 구조물이었던 덕분에 일반 아파트에서는 보기 드문, 개방감이 느껴지는 거실을 만들 수 있었다. 게다가, 복층의 천장이 박공모양이어서 개방감은 더욱 극대화되었다.

(왼쪽) 면적이 넓지는 않지만 투명한 강화 유리 중문을 설치해 답답한 느낌을 없애고자 한 현관. 현관에서부터 복도를 따라 위치한 세 개의 실로 들어가는 도어는 미니멀하고 깔끔한 디자인을 위해, 손잡이 없이 라인만 보이는 히든도어로 설치했다. / (오른쪽) 건식공간과 습식공간을 분리한 욕실은 화강암을 연상시키는 타일로 전체 마감해 강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느낌을 줬다. 천장 매립형 샤워수전을 설치한 샤워 공간과 타일로 마감하고 데크형 수전을 설치한 욕조, 가운데 금속선반을 넣은 매입박스까지 군더더기 없는 공간이 되었다.
(위, 아래) 복층에 올라오면 정면에 보이는 공간은 전시실로 구성했다. 장식장은 유리장을 설치하는 대신, 벽에 홈을 파서 유리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시공했으며 가구에 조명을 설치해 화려한 분위기를 냈다.

복층 슬래브 측면으로는 라인등을 매입해 조도를 확보하고, 100인치의 큰 TV가 설치된 벽을 따라서는 세로로 간접등을, TV 하부로는 긴 금속선반을 설치해 전체적으로 똑 떨어지는 라인이 강조된 공간이 만들어졌고 천장에는 블랙 컬러의 실링팬을 달아 세련되면서도 중후하며 무게감 있는 분위기를 연출했다.

주방은 큰 창이 있고 거실과도 이어진 트인 공간이었지만 복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아일랜드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었다. 따라서 계단의 옆 벽과 난간이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계단실 중간 이상 높이부터는 릴유리 파티션을 설치했다. 릴유리 파티션을 적용한 계단실은 주방과 거실을 구분하는 요소이자 하나의 디자인 포인트가 되었다.


INTERIOR SOURCE
현장 위치 : 서울특별시 동작구
인테리어 면적 : 241.32㎡(73평)
거주인원 : 1명
내부마감재 : 벽 – 벤자민무어 OC-17 WHITE DOVE, LG 베스띠 T1059-1 페인팅 화이트 / 천장 –LG 베스띠 T1059-1 페인팅 화이트 / 바닥 – TNP 세라믹 MB3 EMATITE 600x1,200, 디앤메종 텍스쳐 빅 블랙 125x1,203x7.5T
욕실 및 테라스 타일 : 윤현상재, 팀세라믹
수전 등 욕실기기 : 아메리칸스탠다드, 대림바스
주방가구 및 붙박이장 : 자체 제작
현관문 : 기존 방화문 위 LG 베니프 필름 마감
중문 : 강화 유리도어+손잡이 자체 제작
방문 : 목도어 자체 제작
스위치·콘센트 : JUNG, 르그랑
침대 헤드등 : 까사인루체 로더벽등 블랙
인테리어 설계·시공 : 홍예디자인 02-540-0856 | http://hongyedesign.co.kr

안방으로 들어서면 바로 세면대 겸 파우더 공간이 나오고, 세면대 앞으로 파티션을 세워 분리한 침실 공간이 나온다. 침대헤드의 기능도 겸하는 파티션은 템바보드로 장식하고, 양쪽에는 독서등을 설치했다.
계단실 난간에는 강화유리를 적용하고 계단실 옆으로는 크기가 큰 창을 내 개방감을 놓치지 않았다.
복층에 위치한 널찍한 규모의 테라스는 다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건축주의 기본 생활 공간인 안방과 드레스룸, 거실, 주방 이외에도 현관을 따라 난 히든도어를 열면 운동실, 창고, 게스트룸이 등장한다. 복층에 올라서면 정면에 프라모델 전시실이 나오고, 복층 주방 옆 공간은 프라모델을 만들 수 있는 작업실로 꾸몄다. 집안의 어느 곳도 허투루 낭비되지 않는 옹골찬 공간 구성과 건축주의 필요가 여실히 반영됐으며, 취향이 듬뿍 담긴 모던한 복층 아파트 리모델링이 완성됐다. 아파트이지만 단독주택 못지않은 탁 트인 개방감과 공간마다의 연결성으로 시야와 동선, 조망과 채광에 막힘이 없는 집으로 탈바꿈한 것이다.

거실은 지붕의 박공선을 따라 적용된 고층창을 통해 자연광을 충분히 받아들인다.


구성_오수현  |  사진_쏘울그래프 포토그라피 / 진성기

ⓒ 월간 전원속의 내집   2023년 11월호 / Vol.297  www.uujj.co.kr



Copyright © 월간 전원속의 내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