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가 꿀팁 저장소라는데"…승무원 어떻게 준비할까요[금준혁의 온에어]

금준혁 기자 2023. 11. 25. 07: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항공사 채용 늘고 있지만…취준생은 "채용정보 여전히 부족해"
항공사 취업 희망 대학생 415명 설문조사…"채용 관계자가 직접 답합니다"

[편집자주] 하루에도 수십만명이 오가는 공항, 하루하루가 생방송입니다. 주인공은 당연히 비행기와 승객입니다. 이 수많은 '설렘'들을 무사히 실어나르기 위해 오늘도 묵묵히 항공사와 공항의 온갖 조연들이 움직입니다. 이들에게서 듣는 하늘 이야기, '온에어'입니다.

30일 오전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제선청사에서 열린 2023 항공산업 잡 페어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2023.10.3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서울=뉴스1) 금준혁 기자 = "내가 준비하고 있는 것이 맞는지 의구심이 들 때가 가장 힘들었습니다."

객실승무원을 준비 중인 한 학생의 말이다. 코로나19 이후 억눌린 여행 수요가 폭발하며 항공사들의 채용이 공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최소한 서류합격 기회를 늘려줬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나올 정도로 일반적인 기업과 비교해 정보가 부족해 항공사 취업 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취업 준비생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에 <뉴스1>은 지난 10월22일부터 11월12일까지 3주간 한서대학교, 한양여자대학교 항공 관련학과 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눈여겨볼 점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취업에 관련한 정보를 얻는 학생의 수가 188명으로 전체의 45.3%에 달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에는 항공사 취업 준비생을 위한 정보정리 게시글을 올리는 계정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과거와 달리 SNS가 발달하며 채용 정보를 얻는 경로가 다양해졌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오히려 학원 및 과외를 진행 중인 학생은 3.4%인 14명에 불과했다. 한달 수강비용은 학원에 따라 30만원에서 50만원 사이였고 한번 결제를 하면 계속 수강이 가능한 방식으로 100만~200만원대의 금액을 받는 곳도 있었다. 490만원을 지불했다는 학생도 있다.

대체로 항공사 출신의 교수진이 있는 대학교 수업이나 항공사에서 주최하는 채용박람회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현직 승무원을 만나며 현실적인 조언을 얻을 수 있었고 동기부여가 됐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특히 항공사 채용박람회에 참여해본 경험이 있는 학생은 전체의 44.3%인 184명으로 이중 96.2%(177명)가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다만 올해부터 재개된 항공사들의 채용에도 불구하고 17.6%(73명)의 학생만이 시험에 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대한항공(003490)은 2024년 신입·경력사원 공개 채용을 통해 150여명의 승무원을 채용한다고 발표했다. 저비용항공사(LCC) 중에서는 제주항공(089590)이 올해 3차례 걸쳐 전 직군에서 공채를 실시했으며 진에어(272450)와 티웨이항공(091810)도 올해 두 차례의 채용을 진행했다.

30일 오전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제선청사에서 열린 2023 항공산업 잡 페어에서 시민이 팸플릿을 살펴보고 있다. 2023.10.3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다음은 질의를 바탕으로 한 제주항공 채용 관계자와의 일문일답.

-합격자 스펙이 천차만별인데 항공사 채용공고에 명시한 것 이상으로 원하는 스펙 요건이 있나. ▶객실 승무원 지원자격 기준은 TOEIC 600점 이상, TOEIC Speaking IM1 이상, OPIc IM1 이상이다. 기준만 충족된다면 어학시험 종류 및 점수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일본어, 중국어 회화가 우수한 경우 어학특기 전형으로 지원할 수 있다. 그 외에 별도로 우대되는 자격증이나 제2외국어 등은 없다.

-항공사에서 선호하는 인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해달라. ▶제주항공의 핵심가치인 안전, 저비용, 신뢰, 팀워크, 도전 역량을 두루 갖춘 지원자를 선호한다. 기내의 안전요원인 만큼 안전에 대한 책임의식이 있는지, 저비용 항공사에 대한 이해도와 그에 따른 업무상 특성을 이해하고 있는지, 구성원으로서 신뢰할 수 있고 팀워크를 발휘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지, 더 큰 목표를 향해 도전할 수 있는 정신이 있는지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항공사가 선호하는 인재상을 어떤 식으로 가꿔나가야 하나. ▶흔히 제주항공은 '감귤상'을 선호한다고 많이 얘기하는데, 특정 이미지를 선호하지는 않는다. 제주항공이 밝은 이미지라 객실 승무원도 밝고 통통 튀는 인재를 선호한다고 생각하는데 다양성을 존중하는 문화가 반영된 것일 뿐 신뢰와 팀워크, 도전 정신이 함양된 지원자를 선호한다. 개인의 개성이 중요하고, 기내 안전요원이자 서비스 제공자라는 객실승무원의 직무 특성에 부합하는 본인의 역량을 잘 발굴해 면접이나 자기소개서에 어필하는 것이 중요하다.

-평균적인 합격 컷이라든지 합격자의 후일담을 공개할 수는 없나. ▶앞서 말한 것처럼 다양성을 존중하는 문화로 평균적인 합격 컷이라는 것은 없다. 다만 제주항공 공식 유튜브에 가면 합격 후기, 면접 꿀팁 등 채용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항공사가 면접에서 지원자에게 중요하게 보는 요소들은 어떤 것인가. ▶어떤 경력이나 경험이 있는지가 중요하다기보다 그것들을 통해 무엇을 배웠고 어떤 도움이 되는지가 더욱 중요하다. 안전과 서비스를 담당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과 관련된 직간접적인 경험과 서비스 마인드를 기를 수 있는 경험들이라면 무엇이든 좋다. 이러한 경험들 속에서 배운 것뿐만 아니라 부족했던 점은 무엇이었고 어떻게 개선하고자 했는지도 고민해보면 좋을 것 같다.

-항공산업 이슈나 시사상식은 어느 수준까지 인지하고 있어야 하나. ▶항공산업은 빠르게 변화하고 발전하는 산업으로 항공산업에 대한 이슈를 잘 알고 있는 것이 업무 환경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면접 시 항공산업이나 제주항공 이슈, 시사에 대한 질문을 하는 경우도 있으니 항공사에 대한 직접적인 기사뿐만 아니라 항공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화, 규제, 환경에 관련된 것들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는 것이 좋다.

-항공사에 대한 정보는 어느 범위까지 알아야 하나. 예컨대 제주항공은 최근 B737-8을 새로 도입했는데 기종의 전반적인 정보를 알아야 하는가. ▶면접과정에서 지원자의 직무 적합성을 보는 것이기 때문에 본인의 직무 환경에 대한 이해도는 필수사항으로 볼 수 있다. 그런 차원에서 항공사에 대해서 언론을 통해 알 수 있는 정보 정도는 숙지하고 면접에 임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기종에 대한 정보 또한 본인이 근무하는 장소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에 사전에 이해할 필요가 있다.

-채용설명회가 자주 있었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는데. ▶코로나19 이전에는 객실승무원 공채 시기에 서울, 부산, 광주 등 지역별로 찾아가서 채용설명회를 진행했었다. 올해는 상황상 자체 설명회는 진행하지 못했지만, 외부 채용박람회에서 많은 요청을 받아 전국에 걸쳐 총 8번의 채용박람회에 참여했다. 단독 설명회는 아니었더라도 해당 박람회에 참여했다면 제주항공에 대한 채용 정보를 많이 얻어갈 수 있었을 것이다.

-항공사가 자체적인 SNS를 활발하게 하면서 이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는 의견도 있는데 눈여겨볼 만한 포인트가 있을지. ▶제주항공은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통해 활발하게 고객들과 소통하고 있다. 특히 현직 승무원들이 크리에이터가 되어 만들어가는 '감귤항공' 콘텐츠는 회사가 영위하는 사업, 조직문화 및 객실승무원 직무에 대해서 직간접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

rma1921k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