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할 오늘] 파스칼이 옷 속에 간직한 메모의 의미

최윤필 2023. 11. 23. 04: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5, 16세기 르네상스는 고대 그리스 문화를 되살렸고 종교개혁은 신의 섭리로 모든 것을 설명하던 중세의 자연·천문 물리에 대한 그리스적 의문에 불을 지폈다.

그들 신플라톤주의자들이 개척한 근대적 자연관을 토대로 새로운 과학의 시대가 열렸다.

17세기는 과학혁명의 시대였다.

'팡세'의 작가 블레즈 파스칼(1623~1662)도 그들 과학혁명의 기수 중 한 명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1.23 블레즈 파스칼
블레즈 파스칼의 옷 속에서 발견된 메모로 종교·과학계의 희비가 엇갈렸다. 위키피디아

15, 16세기 르네상스는 고대 그리스 문화를 되살렸고 종교개혁은 신의 섭리로 모든 것을 설명하던 중세의 자연·천문 물리에 대한 그리스적 의문에 불을 지폈다. 그들 신플라톤주의자들이 개척한 근대적 자연관을 토대로 새로운 과학의 시대가 열렸다. 17세기는 과학혁명의 시대였다.

영국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이 실험과 귀납법으로 과학적 진실에 도달하는 길을 열었고 르네 데카르트는 가설·연역법이라는 과학적 방법론을 제시했다. 영국에서는 왕립학회가 프랑스에서는 왕립과학아카데미가 각각 설립됐다. 코페르니쿠스의 후예들, 특히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그의 동지들이 우주의 질서를 재정립했고 아이작 뉴턴은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로 고전 역학의 세계를 완성했다. 그들이 중세 형이상학의 베일을 찢고 경험과 합리와 계몽의 시대를 열었다.

‘팡세’의 작가 블레즈 파스칼(1623~1662)도 그들 과학혁명의 기수 중 한 명이었다. 어려서부터 수학과 기하학에 심취해 만 12세에 삼각형 내각을 독학으로 깨우쳤다는 그는 10대에 이미 프랑스 일류 수학자들과 정기적으로 회동하며 ‘파스칼의 삼각형’ ‘파스칼의 정리’ 등을 완성하고 최초의 계산기라 불리는 ‘파스칼 라인’을 발명했고, 20대엔 도박의 점수·상금 배분 원리를 정립함으로써 확률론의 기초를 다졌다.

평생 병약해 누군가의 보살핌을 받았다는 그는 1654년 말 심각한 마차 사고로 몸져눕게 됐고, 4년 뒤 두통과 경련, 정신착란 증세를 겪다 숨졌다. 사후 그의 옷 속에서 저 유명한 메모가 발견됐다. 1654년 11월 23일 그가 보았다는 은총의 불꽃에 대한 체험 기록. “아브라함의 신, 이삭의 신, 야곱의 신, 지식인과 철학자의 신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의 신. 확신, 감각, 기쁨, 평화(중략).”

종교계는 그의 메모를 과학에 대한 종교의 승리 즉 회심의 물증으로, 근대 과학계는 천재 과학자의 학문적 요절의 단서로 여긴다.

최윤필 기자 proose@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