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도설] 것 같아요, 왜

정상도 기자 2023. 11. 23.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축구대표팀 승전보가 반갑다.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이끄는 대표팀은 21일 중국 광둥성 선전 유니버시아드 스포츠센터에서 중국팀을 3-0으로 눌렀다.

"선수들과 같이 이겨낼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습니다."

"승점 3점을 딸 수 있어서 매우 기쁜 것 같아요."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축구대표팀 승전보가 반갑다.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이끄는 대표팀은 21일 중국 광둥성 선전 유니버시아드 스포츠센터에서 중국팀을 3-0으로 눌렀다. 2026북중미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 C조 2차전이다. 대표팀 기둥 손흥민이 2골 1도움으로 펄펄 날았다. 경기 전 상대가 숨도 못 쉬게 해주겠다는 다짐을 실현했다. 자랑스러운 손흥민의 인터뷰가 빠질 수 없다. “선수들과 같이 이겨낼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습니다.”


손흥민이 넣은 2골 가운데 두 번째 골은 그와 차세대 기둥 이강인의 합작품이어서 더욱 빛났다. 전반 45분, 이강인이 오른쪽 코너에서 차올린 공을 손흥민이 머리로 방향만 바꿔 득점했다. 4만 여 중국 관중을 얼어붙게 만들었다. 이강인은 경기 후 말했다. “승점 3점을 딸 수 있어서 매우 기쁜 것 같아요.”

두 사람은 실력과 인성을 고루 갖췄다. 태극마크를 향한 자부심, 국가를 위한 헌신이 느껴진다. 그런데, 두 사람 육성을 들으며 아쉬운 점이 생겼다. 왜 “좋았습니다, 기뻐요” 하지 않고 “같습니다, 같아요” 할까. 두 사람을 탓하자는 게 아니다. 이런 언어 습관이 우리 생활에 뿌리 깊다는 사실이 마뜩잖다는 이야기다.

“‘것 같다’는 추측을 나타냅니다. 자신의 감정을 나타낼 때는 ‘것 같다’를 쓰지 않아야 합니다.” 부산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이 운영하는 ‘우리말배움터’에 있는 설명이다. ‘사고가 난 것 같다’거나, ‘비가 올 것 같다’처럼 추측하는 말에는 쓸 수 있으나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말하면서 ‘좋은 것 같아요’라는 식으로 표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우리말과 글을 지키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남용 사례가 너무 많다. 방송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부작용, 제역할을 못하는 언어 교육, 무의식적인 잘못된 습관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중첩된 결과다. ‘것 같아요’는 그 가운데 하나다. 말과 글에서 인격과 사고의 깊이가 드러난다. 우리 사회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가다듬어야 한다.

지난 17일 ‘햇귀’ ‘봄기’ ‘윤슬’ ‘웃비’ 등 아름다운 우리말 기념우표가 나왔다. 자연과 우리말이 함께 어우러진 삽화로 각 단어를 표현해 앙증맞다. 한 주가 지나서야 우표 16장짜리 한 세트를 사서 살펴보며 든 생각이다.

그러고 보니 ‘어린놈’ ‘암컷’ 등 시정잡배나 쓰는 말이 오가는 정치권도 반성이 필요하다. 우리말 우표에 등장하는 네 단어의 뜻 찾아보기와 ‘것 같아요’란 표현 줄이기를 정치권이 먼저 실천해야 하지 싶다.

정상도 논설주간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